$\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서 실내공간의 화학적 유해인자 2차노출과 실내공기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Secondary Exposure to Chemicals and Indoor Air Quality in Fire Sta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4, 2019년, pp.140 - 151  

김수진 (서울소방학교 소방과학연구센터) ,  함승헌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전정석 (서울소방재난본부) ,  김원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들이 화재현장에서 복귀 후 소방청사 내에서 2차적으로 노출된 화학적 유해물질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4개 소방서를 선정하였고, 그 중 2개 소방서는 실제 화재현장에서 소방활동 종료 귀소 후에, 다른 2개 소방서는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출동과 상관없이 평소 수준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다. 소방안전지도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모든 화재사고에 대하여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중급규모 이상의 사고에서 실험군이 출동하게 되는 경우 귀소 후 바로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다. 11개 유해물질 항목(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PAH, VCM, 산류, 석면, CO, CO2, NO2, O3)을 공정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유해물질 11종 중 3종이 국내·외 기준을 초과하였고 1종은 국외기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황산은 각 2.5배, 2.2배, 1.1배가 환경부 및 고용노동부 기준보다 높았다. 또한, 포름알데히드와 황산의 경우, 실험군보다 대조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특별시 소방청사 내 실내공기질 개선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to assess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chemical hazardous materials exposed to the fire after firefighters returned to the fire scene. The research subject randomly selected four fire stations located in Seoul, Korea. Two fire stations were set up as control groups after the return of the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의 국내 연구는 직접 소방관에게 1차적으로 노출이 되는 화학적 유해인자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었고, 제한적이었으며 2차노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소방청사 내 화학적 유해물질의 2차적 노출평가를 수행한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시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현장에 출동하여 화재진압 활동을 종료한 이후 소방관들이 귀소한 소방청사의 실내공기질과 소방관들이 귀소 후 탑승하였던 소방차량 내부의 실내 공기질 평가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방청사 내 실내공기질 측정결과를 통해 화재현장 소방활동 종료 후 귀소 시 조치사항과 평소 소방청사 내 실내공기질의 안전범위 유지를 위해 관리와 더불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4개 소방청사 실내공기질 측정을 통하여 2차노출의 특성을 평가 하였다. 그 중 2개소는 화재출동 후 소방관들이 귀대한 후 30분 이내의 상황에서 소방서 실내공간과 소방차량 내부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였고, 2개소는 평소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현장에 출동하여 화재진압 활동을 종료한 이후 소방관들이 귀소한 소방청사의 실내공기질과 소방관들이 귀소 후 탑승하였던 소방차량 내부의 실내 공기질 평가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방청사 내 실내공기질 측정결과를 통해 화재현장 소방활동 종료 후 귀소 시 조치사항과 평소 소방청사 내 실내공기질의 안전범위 유지를 위해 관리와 더불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사고현장에서 노출된 유해인자 차단을 위한 소방차량 및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첫째, 사고현장 출동단계에서 귀대 후 개인보호장비 관리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소방 출동시스템의 문제는 펌프차량 내 비치되어 있는 소방 방화복, 방수화 등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여 화재현장을 출동하고 현장 활동 후 유해물질에 노출된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여 소방서로 복귀하게 된다.
  •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첫째, 평가대상인 소방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서울시 24개 소방서 중 4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도출한 결과이므로 본 결과를 일반화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결과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 Blair, D. Blask, M. Bratveit, T. Brock, J. L. Burgess, G. Costa, S. Davis, P. A. Demers et al, "Painting, Firefighting, and Shiftwork",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olume 9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2010). 

  2.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Firefighter Exposure to Smoke Particulates" (2010). 

  3. J. I. Lee, "The Risk and Countermeasures of Asbestos Exposure at the Scene Activities of Fire Official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4, No. 5, pp. 68-78 (2010). 

  4. J. I. Kim, "Characterization of Firefighter Exposures during Fire Overhaul and Investig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34-40 (2008). 

  5. S. H. Jin, T. S. Kang, J. H. Park, Y. S. Yang, J. Y. Yu and C. S. Yoon, "Firefighters' Exposure Assessment to Chemical Hazard in Fireplace", Journal of Fire Science Research, pp. 60-83 (2013). 

  6. D. Y. Park, Y. S. Bae, D. S. Lim, H. S. Kwak, J. H. Sung and S. R. O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and Fire Protection Equipment Management Standard to Prevent Secondary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in Fire Fighting Offices", NEMA (2013). 

  7. M. Oakes, N. Rastogi, B. J. Majestic, M. Shafer, J. J. Schauer, E. S. Edgerton and R. J. Wever, "Characterization of Soluble Iron in Urban Aerosols using Near-real Time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5, pp. 1-12 (2010). 

  8. D. Ivy, J. A. Mulholland, A. G. Russell, "Development of Ambient Air Quality Population-Weighted Metrics for Use in Time-Series Health Studie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58, pp. 711-720 (2008). 

  9. P. Burge, "Sick Building Syndrom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1, No. 2, pp. 185-190 (2004). 

  10. D. M. Bolstad-Johnson, J. L. Burgess, C. D. Crutchfield, S. Storment, R. Gerkin and J. R. Wilson, "Characterization of Firefighter Exposures during Fire Overhaul", AIHAJ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Vol. 61, No. 5, pp. 636-641 (2000). 

  11. M. A. Elliott, G. J. Nebel, F. G. Rounds, "The Composition of Exhaust Gases from Diesel, Gasoline and Propane Powered Motor Coaches",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n, Vol. 5, No. 2, pp. 103-108 (1955). 

  12. M. Oliveria, K. Slezakova, A. Fernandes, J. P. Teixeira, C. Delerue-Matos, M. D. C Pereira, S. Morais, "Occupational Exposure of Firefighters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Non-fire Work Environmen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592, pp. 277-287 (2017). 

  13. M. Oliveria, K. Slezakova, M. J. Alves, A. Fernandes, J. P. Teixeira, C. Delerue-Matos, M. D. C. Pereira, S. Morai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t Fire Stations: Firefighters' Exposure Monitoring and Biomonitoring, and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to Total Internal Dos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323, Part A, pp. 184-194 (2017). 

  14. C. S. Baxter, J. D. Hoffman, M. J. Knipp, T. Reponen and E. N., Haynes, "Exposure of Firefighters to Particulate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J. Occup. Environ. Hyg., Vol. 11, Issue 7, pp. 85-91 (2014). 

  15. NFPA, Code 1402, "Guide to Building Fire Service Training Centers", USA (2019). 

  16. NFPA, Code 1403, "Standard on Live Fire Training Evolutions", USA (2018). 

  17. NFPA, Code 1500, "Standard on Fire Department Occupational Safety, Health, and Wellness Program", USA (20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