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 실화재 훈련에서 사용하는 압축목재 가연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from Combustible Compressed Wood Used during Live Fire Training for Firefighter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5, 2020년, pp.555 - 564  

이용호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진희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의진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최원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완형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강성규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소연 (국립소방연구원 소방정책연구실) ,  함승헌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when compressed wood was burned at a live fire-training center. Methods: Four types of compressed wood that are actually used in live fire training were burned in a chamber accor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앙소방학교 실화재 훈련장에서 압축목재들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여 연소물의 특성 평가를 하였다. 다양한 가스상 물질이 발생하였고, 특히 발암성, 생식독성, 급성, 만성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들이 검출되어 훈련교관과 훈련생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훈련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실화재 훈련장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소방학교 실화재 훈련장에서 훈련을 할 때 사용하는 압축목재들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종류 및 농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 검지관, 개인시료채취기를 동시에 사용하였다 (Table 2). 소방환경 특성상 측정방법이 없고, 발생 물질과 양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지관을 사용한 이유는 정성분석이 주 목적이었으며, 측정이 가능한 범위의 농도라면 눈금을 읽어 정량 분석을 하였다. 개인시료채취기는 근로자의 노출을 평가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지역시료 채취 개념으로 측정을 하였다.
  • 소방훈련을 할 때 교육하는 훈련교관이나 훈련생들이 다양한 유해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실험실이 아닌 실제 실화재 훈련장에서의 개인노출 측정 및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 분석결과 농도가 높아 대부분 파과되었으며, 결과 해석을 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파과가 되었을 경우에 저유량, 단시간 측정 전략으로 변경 하여 다시 채취를 하지만 소방활동 환경의 경우에는 한번 실험을 시작하면 장비를 외부로 꺼낼 수 없고 부득이하게 파과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파과가 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방활동 환경 측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1명으로 나타났다.14) 시안화수소는 800 ppm 이상인 경우 피부에 흡수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15)
  •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실화재 훈련에 참여하게 되면 체온이 높아진다.19) 소방관들의 개인보호구도 특수하게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기후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의 경우 체온보다 높은 날씨가 많기 때문에 발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개인보호구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관은 실화재 훈련 중 어떤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나요? 이때 화재를 인위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가연물을 사용하는데 우리나라와 일부 국가에서는 압축목재를 사용하고 있다. 실화재 훈련 중에 소방관은 화학적 유해인자(입자상 물질, 가스상 물질), 물리적 유해인자(소음, 고열 등)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노출관리방법이 없다면 소방관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5)
실화재 훈련장에서 압축목재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측정 결과 어떤 물질들이 검출됬나요? 1,3-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 포름알데히드, 염화수소,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메탄올, 일산화탄소, 질산이 검출되었다. 발암성 1A 물질인 1,3-부타디엔, 벤젠, 포름알데히드가 노출기준을 초과하였고, 급성중독물질인 시안화수소와 일산화탄소도 높은 농도가 검출되었다.
실화재 훈련 중 압축 목재 연소로 발생하는 유해물질 발생원 특성의 파악이 중요한 이유는? 1) 특히 우리나라 실화재 훈련장에서 사용하는 압축목재를 연소하였을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실화재 훈련 중에는 공기호흡기(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를 착용하지만 훈련장 외부로 누출되는 유해물질의 양도 적지 않아 훈련을 대기하는 훈련생들은 SCBA를 착용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노출평가를 위해서 발생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rk, KM, Michael BL. Exposures to air contaminants in compartment fire behavior training (CFBT) using particleboard fuel. J Occup Environ Hyg. 2019; 16(7): 432-439. 

  2. US.NIOSH. Preventing Deaths and Injuries of Fire Fighters During Training Exercises, 2016 Available: https://www.cdc.gov/niosh/docs/wp-solutions/2017-113/pdfs/2017-113.pdf?id10.26616/NIOSHPUB2017113 [accessed 04 October 2020]. 

  3. IARC. monograph 98.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3. 

  4. Pukkala E, Martinsen JI, Weiderpass E, Kjaerheim K, Lynge E. Tryggvadottir Demers, PA. Cancer incidence among firefighters: 45 years of follow-up in five Nordic countries. J Occup Med. 2014; 71(6): 398-404. 

  5. NFPA, 1403, Standard on Live Fire Training Evolutions, 2018. 

  6. KS F 2271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9. 

  7. Kim JB, Lee SY. Toxicity Evaluation of the Combustion Products from Synthetic Wood as Internal Finish. Fire Sci. Eng. 2016; 30(2): 7-18. 

  8. 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9. Delzell E, Sathiakumar N, Hovinga M. A follow-up study of synthetic rubber workers. Toxicology. 1996; 113: 182-189. 

  10. Macaluso M, Larson R, Delzell E. Leukemia and cumulative exposure to butadiene, styrene and benzene among workers in the synthetic rubber industry. Toxicology. 1996; 113: 190-202. 

  1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Benzene. U.S. Public Health Servic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tlanta, GA. 2007.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on Benzene.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ashington, DC. 2009. 

  13. United Stat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Medical Surveillance-Formaldehyde (1910.1048 App C).Available: https://www.osha.gov/laws-regs/regulations/standardnumber/1910/1910.1048AppC [accessed 4 October 2020]. 

  14. Yoon DK, Namgoung SJ, Kong HK, Hong HJ, Lim HB, Park SH et al. Assessment of Exposure to and Risk of Formaldehyde and Particulate Matter (PM10 and PM2.5) by Time Activity Applying Real-Time Indoor and Outdoor Monitoring. J Environ Health Sci. 2019; 45(6): 646-657. 

  15. Gaskin S, Pisaniello D, Edwards JW, Bromwich D, Reed S, Logan M, Baxter C. Chlorine and hydrogen cyanide gas interactions with human skin: In vitro studies to inform skin permeation and decontamination in HAZMAT incidents. J. Hazard. Mater. 2013; 262: 759-765. 

  16. Ham SH, Choi WJ, Lee JH, Lim YS, Kang JH, Kang SK. Acute Hydrogen Cyanide Poisoning in a Plating Worker and Workplace Measurement. J Korean Soc of Occu and Env Hyg. 2019; 29(3): 336-342. 

  17. Kim IB.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DF Plywood. Korean Chem. Eng. Res. 2014; 52(2): 256-260. 

  18. Brickman CP. Fit-testing for firefighters. Occupational Health & Safety 1999; 68(1): 56-58. 

  19. Smith DL, Horn GP, Petruzzello SJ, Freund GG, Woods JA, Cook MD. Effect of obesity on acute hemostatic responses to live-fire training drills. Am J Cardiol. 2014; 114(11): 1768-1771. 

  20. Kim KS, Yoo SW, Won YL, Lee MY. Duty-Dependent Changes in Stress Hormones of Firefighters. J Environ Health Sci. 2012; 38(3): 195-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