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후주문(方後注文)의 해석을 통한 『상한론(傷寒論)』 연구(硏究)
A Study on 『Shanghanlun』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Post-formula Instructions(方後注文)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2 no.4, 2019년, pp.1 - 15  

방정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broaden understanding of "Shanghanlun", this paper analyzes and interprets its Post-formula instructions(方後注文). Methods : From the contents of Post-formula instructions that follow formulas in "Shanghanlun", the effects, administration instructions, deco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치자시탕의 용토 효능에 대해서는 그 논쟁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논자는 이와 관련하여 치자가 고한(苦寒)하며 무게가 가벼워 내열(內熱)을 식히고 화울(火鬱)을 풀어서 펼치는 효능이 있는 것39)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치자시탕과그 변방(變方)들의 전탕법(煎湯法)에 있어서 치자시탕·치자감초시탕·치자생강시탕은 치자를 먼저 넣고 달이고, 치자후박탕·치자건강탕은 치자를 다른 약물과 함께 넣고 달인다.
  • 방후주문에 기술된 처방의 효능은 발한(發汗)·최토(催吐)·이소변(利小便)·하혈(下血)·하리(下利)등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발한(發汗)과 최토(催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방후주문의 다양한 정보 가운데 처방의 효능(效能)·복용법(服用法)·전탕법(煎湯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처방 뒤의 방후주문(方後注文)의해석을 통해 『상한론』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한론』에 기록된 처방은 후세방의 처방과 비교할 때 매우 적은 수의 약물로 구성되어있다.
  • 한편 돈복의 표현은 없지만 십조탕(十棗湯)의 경우도 평단(平旦)에 1회 복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건강부자탕과 계지감초탕을 중심으로 돈복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몇몇 약물의 경우 약효가 발휘되는 부위에 따라, 혹은 약의 기(氣)와 미(味) 가운데 어느 것을 취할 것인가에 따라 각각 다른 전탕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상한론』에서 제시한 전탕법을 분류하여 기술해 보고자 한다.
  • 병위가 흉격이기 때문에 최토의 치법이 적절할 수 있지만, 무형의 열을 치료하는데 최토의 치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그 논란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이상에서 나타나듯이 방후주문과 관련된 연구가 국소적이거나 또는 원론적인 수준에서 머물러 있어서, 방후주문만을 전문적으로 다룬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논자는 본 논문에서 방후주문을 중심으로 『상한론』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방후주문의 다양한 정보 가운데 처방의 효능(效能)·복용법(服用法)·전탕법(煎湯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한론에 대한 연구로 어떤 것이 있는가? 동한말(東漢末)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이하 『상한론(傷寒論)』으로 약칭)은 저술된 이후 한의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현재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상한론』에 대한 연구가이루어져 왔다. 육경(六經)의 본질에 대한 연구, 조문의 분석, 처방과 처방을 구성하고 있는 약물에 대한 분석, 각 병증(病證)에 대한 연구, 판본의 비교를 통한 교감과 조문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최근 들어 한의학 임상가에서 『상한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상한론』의 임상 활용이 증가하고 있어 『상한론』의 계승 발전에 유의미한 결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되고있다.
소시호탕(小柴胡湯)과 대시호탕(大柴胡湯)의 특징은? 이 병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곳에 편중되지 않는 치법이필요하니, 이에 해당하는 것이 화해법이다. 『상한론』 에서 화해법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처방이 소시호탕(小柴胡湯)과 대시호탕(大柴胡湯)인데, 이들 처방은 약물의 구성에 있어서 발한과 사하에 치우치지 않는 특징이 있는데, 전탕법에 있어서도 2번 달이는 방법인 재전(再煎)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69)70). 2번 달이는 이유는 약효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또 약효를 완화(緩和)시키고자 해서이다.
상한론은 어디에서 정리되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양표증의 사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발한제를 사용할 때 치료 원칙을 “미사한(微似汗)”으로 규정한 것은 『상한론』이 정리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한론』은 중국의 강남지역에서 정리되었으니11), 이 지역은 양자강 이북 지역인 북방지역에 비해 지대가 낮고 고온다습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평소에 땀의 배출이 많은 상황에 노출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류도저우 지음, 정창현.김혜일 옮김. 劉渡舟傷 寒論講義. 경기도. 물고기숲. 2014. 

  2. 류제헌. 중국역사지리.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9. 

  3. 裵永淸. 傷寒論臨床應用五十論. 北京. 學苑出版社. 2000. 

  4. 成無已. 註解傷寒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5. 孫中堂 主編. 尤在涇醫學全書.傷寒貫珠集.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6. 孫洽熙 主編. 黃元御醫學全書.傷寒懸解.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7. 吳謙. 醫宗金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3. 

  8. 王??, 李林 主編. 唐容川醫學全書.傷寒論淺注補正.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9. 陸拯 主編. 王肯堂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0. 李培生 編著. 柯氏傷寒論注疏正.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11. 張子和. 子和醫集. 北京. 인민위생출판사. 1996. 

  12. 張仲景. 仲景全書. 서울. 大星文化社. 1989. 

  13. 錢潢. 傷寒溯?集. 北京. 學苑出版社. 2009. 

  14. 蔡仁植. 傷寒論譯詮. 서울. 高文社. 1991. 

  15. 홍원식, 윤창렬 편저. 중국의학사. 서울. 一中社. 2001. 

  16.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17. 김강, 맹웅재. 桂枝湯 方後註文에 관한 硏究. 한국의사학회지. 2010. 23(1) 

  18. 김준기. 傷寒論 第28條에 대한 文獻的 考察.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8. 12(1). 

  19. 裵永淸. 傷寒論 硏究十三法. 中國醫藥學報. 1993. 8(5) 

  20. 이광재, 방정균. 傷寒論에 나온 梔子의 涌吐 효능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5. 1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