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해분석을 통한 정전기 안전관리 수준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Electrostatic Safety Management Level through Injur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5, 2019년, pp.37 - 45  

최상원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정성춘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박재석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양정열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변정환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 of fire and explosion related to electrostatic dischar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 electrostatic charge and discharge phenomenon in addition to the large human and material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disasters related to electrostatic in fi...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공정에서의 현장조사 또는 평가는 접지 및 본딩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과 작업자를 포함하여 접지되지 않은 도전성 물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당 시점에서 전하의 축적 증거가 없더라도 정전기 발생 위험 장소를 확인하여야 한다.
  • 또한, 한국과 일본의 정전기 관련 재해현황 분석⋅ 비교를 통하여 발생원인 조사체계 및 산업재해통계 분류 방법의 개선과 산업안전보건법 반영 필요성 검토및 제안 등 제도적⋅관리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안전관리 수준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재해분석을 실시하여 기술적, 관리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안전관리 수준 향상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정전기 관련 사고⋅재해 발생현황 비교⋅분석하였으며 산업현장에서 정전기 관련 사고⋅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설비 및 인체 상호간의 시스템적 관점에서 정전기 발생수준을 안전한 상태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제도적⋅관리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다만, 실태조사 결과 사용⋅목적상 희소성으로 인해 국내에서 개발된 정전기 방전 검지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국외 제품의 경우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의 활용성은 아주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국외 제품의 국산화를 통하여 국내 사업장 및 관계기관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대량 보급하고 정전기 안전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폭구조 정전기 방전 검지기를 개발 필요성을 제안한다.
  •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안전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정전기의 위험성 평가 및 위험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공정 작업은 개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물질의 노출범위에 대하여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물질의 체적 도전율과 표면 도전율은 주변 온도와 상대습도와 연관성을 가지므로 이는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에너지 관련 화재⋅폭발 사고의 예방법은? 또한, 정전기 방전 관련 화재⋅폭발 사고의 특성은 인적 ⋅물적 피해가 크다는 것 외에도 정전기 대전⋅방전 현상의 재현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관련 사고⋅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산업설비 및 인체 상호간의 시스템적 관점에서 정전기 발생수준을 안전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2).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및 생산 공정상 정전기에 의한 재해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 (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에서는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및 생산 공정상 정전기에 의한 재해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지, 도전성 재료 사용, 가습 및 제전기 사용 등의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조치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 정전기 관련 사전적 예방조치 관점의 관련 기술, 기준 및 제도가 필요하나, 우리나라의 안전관리 수준은 아직까지는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정전기 사고의 문제점은? 실제로 전기에너지 관련 화재⋅폭발 사고에서 발생원인을 정전기라고 대부분 추정하고 있으나 실제로 과학적 실험을 통한 실증적 원인규명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정전기 방전 관련 화재⋅폭발 사고의 특성은 인적 ⋅물적 피해가 크다는 것 외에도 정전기 대전⋅방전 현상의 재현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관련 사고⋅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산업설비 및 인체 상호간의 시스템적 관점에서 정전기 발생수준을 안전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he YTN News, 29 March, 2019. 

  2. S. W.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ng Tool for Evaluation of Electrostatic Discharge, J. Korean Soc. Saf., Vol. 26, No. 3, pp. 15-22, 2011. 

  3.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2000-2017. 

  4. National Fire Agency, http://www.nfa.go.kr. 

  5. IEC 60079-32-1 [Explosive Atmospheres-Part 32-1 (Electrostatic hazards-Guidance)] 

  6. D. H. Lee and J. H. BYEON,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Comparison(IEC 60079-32-2) of Flammable Liquid Conductivity", J. Korean Soc. Saf., Vol. 34, No. 4, pp. 22-31, 2019. 

  7. https://www.jniosh.johas.go.jp/en/groups/investigation.html 

  8. J. H. BYE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and Related Equipment Explosion Proof Technology, 2018-OSHRI-898, 2018. 

  9. NFPA 77 (Recom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2014. 

  10. IEC 60079-32-2 [Explosive Atmospheres-Part 32-2 (Electrostatic hazards-Test)] 

  11. K. T. Moon, A Sudy on Ignition Hazard Caused by Electrostatic Discharge of Gasoline Used in the Gas Station, J. Korean Soc. Saf., Vol. 25, No. 4, 2010. 

  12. G. H. Lee and J. H. Chung,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ectrostatic in Working Clothes at the Gas Station", J. Korean Soc. Saf., Vol. 24, No. 6, pp. 39-44, 2009. 

  13. S. W. Choi and J. H. BYE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Standard/Guideline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s, 2017-OSHRI-1077, 2017. 

  14. S. H. Song,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lectrostatic Coordinator Certification, Kats, 2006. 

  15. S. H. Song, "The Standard Execution & Economic Evolution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nd the States of the Industry", Journal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Vol. 1, No. 1,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