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현장 가설기자재 운영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the Deduction of Improvement Measure Regarding the Scaffolding and the Related Components at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5, 2019년, pp.63 - 71  

정진우 (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  김용곤 (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 Guideline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was revised in July 2017, and it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scaffolding in South Korea. The on site investigation and survey was performed on manufacturers, leasing companies, and quality inspection agencies regarding the compliance with the guide...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 기자재를 설치하는 건설 현장, 생산업체, 임대업체, 품질 검사 전문기관 등을 방문하여 품질관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불량 가설 기자재가 건설 현장에 반입되지 않고 품질기준에 적합한 자재가 사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가설 기자재는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국토교통부)], [안전인증(12종 33품목)에 대한 지침]으로 국내사용되는 가설 기자재를 관리하기에는 품질관리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기자재에 대한 실질적 품질관리를 위하여 법령 개정부터 현장사용까지 관리 절차 개정을 제안한다.
  • 가설 기자재의 관리는 정부 기관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및 가설 기자재 판매⋅임대⋅사용⋅시험을 하는 공인시험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기관에 대한 관리 지침을 분석하여, 분야별 전문 업체에 대해서 지침 준수 여부와 이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 불합격이 높은 이유는 가설 기자재와 관련된 법규 및 지침 적용 시기가 2017년 7월 착공한 현장부터 적용으로, 법을 적용받지 않은 건설 현장에서는 기존 생산된 재사용 가설기자재를 반입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가설 기자재는 불량 가설기자재임에도 폐기처리 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생산된 재사용 자재에 대한 불량 가설기자재 반입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생산부터 현장 설치까지의 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방문 및 시험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사용 전 기준에 적합한 가설기자재가 반입 및 설치하도록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 기준에 대해서 건설 현장 적용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 셋째. 위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 기자재에 대한 품질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둘째. 가설 기자재 시험비용을 설계단계부터 반영 또는 시험비용에 대한 계상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하면 수시로 시험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또한 가설 기자재의 가장 큰 문제는 현재 생산되는 제품이 아니라 기존 생산된 재사용 가설 기자재이다. 현재 법으로 규정된 시험은 하중에 관한 시험밖에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설 기자재는 무엇인가? 가설 기자재는 현장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을 하기위한 작업 통로, 작업 공간 확보 및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자재로써,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단관비계 또는 시스템 비계나 콘크리트 타설 전⋅중⋅후 다양한 하중을 지지하는 동바리 등을 말한다. 한편, 가설 기자재는 일반 주택 등 소규모 건축공사에서부터 대중시설물인 도로, 교량, 아파트, 정유 시설 등 토목, 건축, 플랜트 등 모든 건설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설 기자재에 관한 관심이 감소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감사원 감사 결과 및 국토교통부 가설 기자재 지침이 개정된 지 2년이 지났지만, 현재 가설 기자재에 관한 관심은 오히려 점차 감소하고 있다. 지속적 가설 기자재에 대한 품질 향상 및 시공사의 관심을 두기 위해서는 철근, 레미콘 등 주요자재 수준으로 관리가 필요하며, 생산, 임대, 설치, 해체 시까지 균일한 자재의 품질 유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가설 기자재가 사용되는 분야는? 가설 기자재는 현장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을 하기위한 작업 통로, 작업 공간 확보 및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자재로써,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단관비계 또는 시스템 비계나 콘크리트 타설 전⋅중⋅후 다양한 하중을 지지하는 동바리 등을 말한다. 한편, 가설 기자재는 일반 주택 등 소규모 건축공사에서부터 대중시설물인 도로, 교량, 아파트, 정유 시설 등 토목, 건축, 플랜트 등 모든 건설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가설 기자재는 건설현장에서 구조물을 완성하는 과정에 설치하며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재해 예방의 필수 안전시설물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 H. Won, "Cert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afety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6. 

  2. I. S. Chio,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Construction Materials(Centering on Temporary Equipment)",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pp. 38-45, 2016.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ork Guideline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2017.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eneral Items of Construction Work" (KCS 2110 00), 2016. 

  5. B. H. Won, K W. Yoon and S. S. Jeon, "Survey and Improvement Scheme for Safety Certification System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Issue 7, pp. 92-102, 2016 

  6. D. W. Kim, J. H. Won, Y K Park and S. J. L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 Mark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emporary Equipments at Construction Site (I): Stakeholder Cognition Analysis and Marking Contents", J. Korean Soc. Saf., Vol. 32, No. 4, pp. 59-65, 2017. 

  7. C. W. Bae and H. K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Testing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Focused on the Construction Sit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 

  8. J. S. Lee, "Study on the Safety Assurance for the Temporary Structures", J. Korean Soc. Saf. Vol. 33, No. 1, pp. 73-80, 2018. 

  9. S. C. Jeong and H. K. Lee,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lity Mamagement System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2, Issue 9, 2016. 

  10. J. S. Lee, S. O. Moon and N. K. Lim, "Development of Standard Drawings of Temporary Structures and Quality Management Guideline of Temporary Equipments", Conference Proceeding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6. 

  11. J. K. Park,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Improvement of Used Pipe Support(V2)", J. Korean Soc. Saf. Vol. 34, No. 3, pp. 36-41, 2019. 

  12. KOSHA, "Guidelines for Performance Standards of Reuse Temporary Equipment", (KOSHA GUIDE C-25-2016), 2016. 

  13. W. S. Choi, "Assessment of Appropriate Commodity Safety Certifications in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14. B. S. Kim et al.,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 System by Aluminum Form on Construction Temporary Equipment "Conference Proceeding of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1, No. 2, pp. 271-272, 2011. 

  15. J. S. Lee, S. O. Moon and N. K. Lim, "Development of Standard Drawings of Temporary Structures and Quality Management Guideline of Temporary Equipments", Conference Proceeding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