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지와 낙관적 편견이 여대생의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gnition and Optimistic Bias on the Intention to Visiting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Wome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2 no.1, 2019년, pp.22 - 29  

추예린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  박지연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  안희송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  배경의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ntion of visiting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considering their perception and optimistic bias.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35 female college students under the age of 25.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a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병원으로의 접근성은 높아진 반면, 산부인과의 경우 사회의 부정적 시각으로 인해 방문을 꺼리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그래서는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여성들의 산부인과 방문을 격려하고자 한다. 사람들의 건강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행동에 대한 변수가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
  •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방문의도를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미혼여성에 있어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행동을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방문의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2]. 그러므로 본 연구를 확장, 재검토하여 여대생의 방문의도에도 인지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한다.
  • 사람들의 건강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행동에 대한 변수가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히 드러내고자 인지와 낙관적 편견을 고려하여 여성들의 산부인과 방문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이를 위해 대상자 설문조사 시 익명성 보호에 대한 필요가 강조된다. 더불어, 연구의 확대를 위해 산부인과로의 접근성 등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칠수 있는 변인의 적용을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하는 바다.
  • 본 연구는 만 25세 이하의 여대생의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낙관적 편견이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혼의 25세 이하 여대생의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경험, 인지, 낙관적 편견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밝혀졌다.
  • 본 연구는 인지와 낙관적 편견이 여대생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인지 변인에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가 포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와 낙관적 편견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추후 여대생 생식기 관리와 산부인과 방문을 유도하는 캠페인과 관련된 교육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혼 25세 이하 여대생의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것은 어떤 것들인가? 본 연구는 미혼의 25세 이하 여대생의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경험, 인지, 낙관적 편견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밝혀졌다. 여대생의 일반적인 생활 습관에서는 음주습관이 흡연습관보다 많았고, 참여자의 52.
낙관적 편견이란 무엇인가? 또한 대상자의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자의 건강행위에 대한 심리적 요인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그중 낙관적 편견(optimistic bias)이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부정적인 사건을 겪을 가능성이 적다고 믿는 편향된 경향으로[3], 최근 여성 복지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여성의 건강행위에 대한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 연구에 따르면 한국 여대생들은 자궁경부암에 대해 보편적으로 높은낙관적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4], 기존의 연구는 질병과 낙관적 편견의 관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낙관적 편견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재하였다.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은 어떤 인식을 말하는가? 낙관적 편견은 긍정적인 일과 부정적인 사건에 있어 나에게 더 유리하게 발생한다는 편향된 지각을 말한다[5].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을 ‘나보다 타인이 자궁경부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으로 정의하고, 구윤희와 노기영[6]이 유방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자궁경부암으로 수정하여 5점 Liket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의 선행연구[6] 신뢰도 Cronbach’s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SR. Study on the measures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pregnant health before pregnant women in the childhoo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KiHASA, 211-214. 

  2. Min JW, Cha HW. The effect of fear and social norm on unmarried womans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application of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7;61(1):217-250 

  3. Weistein ND. Why it won't happen to me: Perceptions of risk factors and susceptibility. Health Psychology, Health Psychol. 1984;3(5):431-457. 

  4. Cho S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cancer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optimistic bias among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018;26(3):101-124. https://doi.org/10.23875/kca.26.3.5 

  5. Sohn Y, Lee B.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behavior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2;56(6):127-161. 

  6. Ku Y, Noh GY. A study of the effects of self-efficancy and optimistic bias on breast cancer screening intention-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8;34(2):73-109 

  7. Ajzen I.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 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2;32(4):665-683.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2.tb00236.x 

  8. Lee SO. Effect of sex knowledge, intention to visit obstetricsgynecology, awareness of visit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reproductive heat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9;23(2):84-92. https://doi.org/10.21896/jksmch.2019.23.2.84 

  9. Ajzen I. From intention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New York: Springer-Verlag; 1985. p. 11-39. 

  10. Jeff K, Charles EI Jr, George S, Susan GM. Optimistic bias in adolescents with hemophilia. Pediatric Research. 1987;21:176. https://doi.org/10.1203/00006450-198704010-00057 

  11. Jung EC, Jin CH. Breast and cervical cancer communication channels and screening intention. Korean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1;19(20):139-162. 

  12. Kim BC, Choi YH. Cultural difference study on optimistic bias of AIDS: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Kenya. Korean Society for Advertising Education. 2006;0:139-152. 

  13. Park SH, Lee SH, Ham EM.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tic bias about health crisis and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3):403-409. 

  14. Weistein ND. Unrealistic optimism about future lif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5):806-820. 

  15. Weistein ND. Unrealistic optimism about susceptibility to health problems: Conclusions from a community-wide sampl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87;10(5):481-500. https://doi.org/10.1007/BF00846146 

  16. Alicke MD, Klotz ML, Breitenbecher DL, Yurak TJ, Vredenburg DS. Personal contact, individuation, and the better-than-average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 68(5):804-825. https://doi.org/10.1037/0022-3514.68.5.804 

  17. Cha DP. Understanding binge-drinking: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5;49(3):346-372. 

  18. Han MJ.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action of the receptor's optimistic bias. Media & Society. 1998;5-2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