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그룹 게시물 분석을 통한 우울증 관련 주제에 대한 고찰
Investigating Major Topics Through the Analysis of Depression-related Facebook Group Post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4, 2019년, pp.171 - 187  

주영준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동훈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창호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용정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에서 우울증 관련 게시물을 분석하여 그 안에서 주로 논의되는 주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접근 용이성, 개방성 및 익명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페이스북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자들이 다소 민감한 정신적 질환인 우울증에 관하여 어떤 내용을 논의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페이스북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주제어 추출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구현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우울증을 논의하는 페이스북 최대 사용자 그룹에서 최근 1년간 작성한 885개의 게시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제어 추출의 완성도와 정확도를 위해 자동화된 기법과 수동적인 접근법(불용어 제거, 주제어 개수 지정)을 결합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제를 다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우울증 일반, 인간관계, 기분 및 느낌, 우울증 증상, 자살, 의료 참고, 그리고 가족 등에 대한 논의를 주로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ts of depression-related Facebook groups to understand major topics discussed by group user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topics and keywords of the posts to understand what users discuss about depression. Depression is a mental disorde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용자들 가운데 20개 이상의 많은 게시물을 작성한 사용자는 6명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게시물을 작성한 소수의 사용자의 글을 대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그러한 사용자를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의 게시물을 폭넓게 분석하여 데이터의 다양성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게시물 별 글자 수를 보면, 총 885개의 게시물 중 377개의 글자수는 50자 미만이다.
  • 또한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제어들은 인간관계로 인한 갈등이나 삶의 어려움으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 그리고 자신의 우울증 문제와 관련된 고민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 내지는 상담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반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해서 자신의 문제를 논의하기 쉬운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우울증치료 전문가들이 온라인 상담을 하거나 심리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러한 정신질환의 치료 뿐 아니라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 그러나 소셜 미디어 데이터로 우울증을 이해하는 연구는 아직 신생 분야일 뿐 아니라, 특히 국내에서는 한글 텍스트를 분석하는 연구가 매우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는 우울증에 관한 수많은 생각과 감정 등을 담은 한글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우울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인지하는 데 기여하는 실용적 함의를 제고할 뿐 아니라 우울증에 관한 한글 빅데이터의 분석 기술을 정교화시키는 학문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주제에 중복되어 출현하는 키워드를 제거하기 위해 키워드들의 각 주제별 확률을 비교하고 제일 큰 확률값을 가지는 주제에만 해당 주제어를 포함시켰다 ( 참조).
  • 우선, 주제 개수를 정하고, 다음에는 주제별 주제어를 추출한 후, 마지막으로 주제별 주제어를 고려하여 어떤 주제에 관해 논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레이블링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주제어의 개수를 정하기 위하여 토픽 개수를 미리 정하지 않고, 자동화 기법을 통해 나타나는 주제 개수 별 분석결과를 확인한 후 적절한 주제 개수를 정하고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여러 개의 주제 개수에 대해 연구자 세 명이 각각 독자적으로 레이블링을 진행하였으며, 레이블링 결과에 대해 충분한 토론을 거쳐 합의를 이룬 후, 최종 주제어 개수 및 주제 추출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의 우울증 관련 그룹 게시물을 분석하여 우울증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정신질환의 하나로서 다소 민감한 주제인 우울증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어떤 내용을 논의하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페이스북의 우울증 그룹 사용자들의 게시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페이스북에서 어떤 우울증 관련 주제들이 논의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어 처리 기법의 하나인 토픽 모델링을 이용하여 주제들을 추출하였다.
  • 한편, 선행 연구들은 우울증과 다른 질환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찰해 왔다. 심장질환(Bar et al. 2004; Lichtman et al. 2008), 고혈압(Meng et al.2012), 불면증(Irwin 2003), 알코올 중독(Boden and Fergusson 2011), 그리고 당뇨병(Katon et al. 2005; Knol et al. 2006) 등이 우울증과 관련이 높은 질환에 속하며, 이러한 질환들과 우울증, 그리고 그 치료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세 가지 요소들 간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특정 질병이나 약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Zhu et al.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의 우울증 관련 그룹 게시물을 분석하여 우울증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정신질환의 하나로서 다소 민감한 주제인 우울증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어떤 내용을 논의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페이스북 데이터 수집부터 주제어 추출에 이르기까지의 전반 과정을 포함하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를 위해 주제 개수를 3개에서 10개까지 설정하고 3명의 저자가 레이블링을 진행하여 레이블링 결과에 대해 토론을 한 결과, 주제 개수가 3개일 때 완전한 일치를 보았고, 5개일 때는 최소 2명이 레이블링의 결과의 일치를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 개수가 3개와 5개일 때 전체 게시물의 주제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출한다고 가정하고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3>은 주제 개수가 3개일 때의 확률 기반 최상위 20개의 주제어와 그에 따른 레이블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 증세가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심리적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여 감정적 내지는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받고자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이를 위해 주로 활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2018). 우울증 증세가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심리적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여 감정적 내지는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받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azarova et al. 2017).
사용목적이나 주요 컨텐츠 측면에서 보았을 때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어떤 형식으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는가? 소셜 Q&A 사이트의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들의 건강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들을 하고 여러 사람들로부터 이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정보추구활동을 벌인다(Yi 2018). 한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는 어떤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방식보다는 주로 이용자들이 서로 간의 관계형성을 통해 자신의 질병이나 건강문제에 대한 의견이나 상태를 일상담화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글을 주고 받는 형식으로 정보공유가 이루어진다. 특히, 페이스북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 “친구”라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할 뿐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는 자신들의 감정과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페이스북 이용자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하기 좋고, 이러한 환경은 우울증을 진단하거나 그 증세를 예측하는 데 효과적이다(Guntuku et al.
페이스북 그룹은 무엇인가? 페이스북 그룹은 공동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 들이 모여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들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Go, Gwangwoon et al. 2016. "Mood State Prediction of Twitter Users from Social Attributes." Extended Abstracts of HCI Korea 2016, January 27, 2016, Jeongseon: High 1 Resort: 639-641. 

  2. Kim, Soojung.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239-260. 

  3. Maeil Business News Korea. 2019. 'Depression' in his 60's, brutally murdered with his wife and daughter in hallucinations. [online] [cited 2019. 7. 23.] 

  4. Mock, Yang Suk.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Facebook Contents Emotion on Users' Emotional Change Re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24: 91-99. 

  5. Park, Eunjeong L. and Cho, Sungzoon. 2014. "KoNLPy: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Python." In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Cognitive Language Technology, October 10, 2014,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Campus: 133-136. 

  6. Lee, Jae-Beom et al. 2012.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nd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nd Evaluatio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 21(1): 69-91. 

  7. Cha, Chiyoung and Cha, Meeyoung. 2012. "Discourse of Depression on Twitter." In Proceedings of 2012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October 26, 2012, Seoul: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Hall: 276-276. 

  8. Hwang, Yoosun. 2016. "Exploration of the Emotion for Daily Conversation on Facebook."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6(1): 1-13. 

  9. Aldarwish, M. M. and Ahmad, H. F. 2017. "Predicting Depression Levels Using Social Media Posts." In 2017 IEEE 13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nomous Decentralized System (ISADS), 22-24 March, 2017: Bangkok: 277-280. 

  10. Bae, B. J. and Yi, Y. Y. 2017. "What Answers Do Questioners Want on Social Q&A? User Preferences of Answers about STDs." Internet Research, 27(5): 1104-1121. 

  11. Bae, B. J. and Yi, Y. Y. 2019.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the Persuasive Elements Present in "Best Answers" to STD-Related Questions on Social Q&A Sites: Yahoo! Answers (United States) Versus Knowledge-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3: 2516-2534. 

  12. Baker, D. A. and Algorta, G. P.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CyberPsychology, Behavior & Social Networking, 19(11): 638-648. 

  13. Bar, K. J. et al. 2004. "The Influence of Major Depression and Its Treatment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Pupillary Light Reflex Paramet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2(2): 245-252. 

  14. Bazarova, N. N. et al. 2017. "Psychological Di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 Social Networking, 20(3): 157-163. 

  15. Boden, J. M. and Fergusson, D. M. "Alcohol and Depression." Addiction, 106(5): 906-914. 

  16. Blei, D. M., Ng, A. Y. and Jordan, M.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4/5): 993-1022. 

  17. Cavazos-Rehg, P. A. et al. 2016. "A Content Analysis of Depression-related Twee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4, 351-357. 

  18. Choudhury, M., Counts, S. and Horvitz, E. 2013. "Social Media as a Measurement Tool of Depression in Populations." In Proceedings of the 5th Annual ACM Web Science Conference, 2-4 May, 2013, Paris: 47-56. 

  19. Chow, T. S. and Wan, H. Y. 2017. "Is there any 'Facebook Depression'? Exploring the moderating roles of neuroticism, Facebook social comparison and env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9: 277-282. 

  20. Chua, A. Y. and Banerjee, S. 2015.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nswers in Yahoo! Answers." Online Information Review, 39(1): 104-118. 

  21. Fong, P. et al. 2014. "Quality of Online Information Abou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Which Websites Should Patients Read?" Online Information Review, 38(5): 650-660. 

  22. Guntuku, S. C. et al. 2017. "Detecting Depression and Mental Illness on Social Media: An Integrative Review." Current Opinion in Behavioral Sciences, 18, 43-49. 

  23. Ha, J. H., Aikat, D. D. and Jung, E. H. 2015. "Theories and Messages in South Korean Antismoking Advertising." Health Communication, 30(10): 1022-1031. 

  24. Irwin, M. et al. 2003. "Nocturnal Catecholamines and Immune Function in Insomniacs, Depressed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Brain Behavior and Immunity, 17(5): 365-372. 

  25. Jin, J. et al. 2016. "How Users Adopt Healthcare Information: An Empirical Study of an Online Q&A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6: 91-103. 

  26. Katchapakirin K. et al. 2018. "Facebook Social Media for Depression Detection in the Thai community." In Proceedings of 15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JCSSE), 11-13 July, 2018, Nakhonpathom. 

  27. Katon, W. J. et al. 2005. "The Association of Comorbid Depression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8(11): 2668-2672. 

  28. Kneidinger, B. 2010. Facebook und Co. Eine soziologische Analyse von Interaktionsformen in Online Social Networks. Wiesbaden, Germany: Springer. Quoted in Scherr, S. and Brunet, A. 2017. "Differential Influences of Depression and Personality Traits on the Use of Facebook." Social Media and Society, 3(1): 1-14. 

  29. Knol, M. J. et al. 2006.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the Onse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Diabetologia, 49(5): 837-845. 

  30. Lachmar, E. M. et al. 2017. "# MyDepressionLooksLike: Examining Public Discourse About Depression on Twitter." JMIR Mental Health, 4(4): 1-11. 

  31. Lichtman, J. H. et al. 2008. "Depres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Recommendations for Screening, Referral, and Treatment." Circulation, 118(17): 1768-1775. 

  32. Meng, L. et al. 2012. "Depression Increases the Risk of Hypertension Incidenc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Journal of Hypertension, 30(5): 842-851. 

  33. Moreno, M. et al. 2011. "Feeling Bad on Facebook: Depression Disclosures by College Students on a Social Networking Site." Depression & Anxiety, 28(6): 447-455. 

  34. Nadeem, M. 2016. Identifying Depression on Twitter. [online] [cited 2019. 7. 7.] 

  35. Reavley, N. J. and Pilkington, P. D. 2014. "Use of Twitter to Monitor Attitudes Toward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An Exploratory Study." PeerJ, 2: 1-15. 

  36. Rehurek, R. and Sojka, P. 2010. "Software Framework for Topic Modelling with Large Corpora." In Proceedings of the LREC 2010 Workshop on New Challenges for NLP Frameworks, May 22, 2010. Valletta: Mediterranean Conference Centre: 46-50. 

  37. Resnik, P. et al. 2015. "Beyond LDA: Exploring Supervised Topic Modeling for Depressionrelated Language in Twitter." In Proceedings of the 2nd Workshop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Clinical Psychology, June 5, 2015, Denver: 99-107. 

  38. Scherr, S. and Brunet, A. 2017. "Differential Influences of Depression and Personality Traits on the Use of Facebook." Social Media and Society, 3(1): 1-14. 

  39. Scherr, S., Toma, C. L. and Schuster, B. 2018.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Facebook Surveillance and Envy: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Cross-lagged Panel Study in Germany." Journal of Media Psychology: Theories, Methods, and Applications, [online] [cited 2019. 7. 5.] 

  40. Shar, C., Kitzie, V. and Choi, E. 2014. "Modalities, Motivations, and Materials - Investigating Traditional and Social Online Q&A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40(5): 669-687. 

  41. Song, H. et al. 2016. "Trusting Social Media as a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Online Surveys Comparing the United States, Korea, and Hong Kong."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8(3): e25. 

  42. Yi, Y. Y. 2018. "Sexual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a Social Media Site: Predictors of Best Answer Selection." Online Information Review, 42(6): 880-897. 

  43. Yoon, S. et al. 2019. "Is Social Network Site Usage Related to Depression? A Meta-analysis of Facebook-depression Relation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48(1): 65-72. 

  44. Zhang, Y. 2013. "Toward a Layered Model of Context for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An Analysis of Consumer-generated Ques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4(6): 1158-1172. 

  45. Zhao, Y. and Zhang, J. 2017.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eking in Social Media: A Literature Review." Health Information & Libraries Journal, 34(4): 268-283. 

  46. Zhu, Y. et al. 2018. "Understanding the Research Landscap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via Literature Mining: An Entity-level Analysis of PubMed Data from 1948-2017." JAMIA Open, 1(1), 115-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