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이성적, 감성적 광고소구의 효과분석: 아이트래킹 방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ffects of Rational and 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on Products from a View of Psychological Distance : Focusing on the Eye-Tracking Meth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97 - 104  

강창민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이건창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은 주관적인 심리적 거리감을 갖는다. 그리고 해당 제품에 대한 광고소구 효과는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심리적 거리에 따라 효과적인 광고소구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신경 생리 실험을 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두 가지 소구유형의 광고를 모두 보았고, 7점 척도를 통해 각각의 광고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제품일 때 이성소구를 선호하며, 심리적 거리가 먼 제품일 때에는 감성소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눈의 움직임은 선호소구와 비선호소구를 보았을 때의 차이를 보였고 측정 변수로는 시선방문횟수(VC), 응시횟수(FC), 응시시간(TFD)을 사용하였다. 선호하는 소구를 보았을 때 세 변수 모두 비선호 소구를 보았을 때보다 값이 작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에는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umers possess their own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s products. Based on the construal-level theo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ich type of advertising appeal is more effective according to psychological distance. Also this study conducts neurophysiology experiment through eye-tracker. By us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해석수준이론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 개념을 적용한다. 또한 아이트래킹(eye-tracking) 방법을 적용하여 신경생리 실험으로 객관성 측면에서 연구를 뒷받침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답을 제시한다.
  • 자극물은 8(제품군 수) x 2(감성문구, 이성문구) 총 16가지를 제시하였으며,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제품의 사진이 오른쪽에는 광고문구가 제시되었다. 또한 자극에 사용된 제품의 이미지는 소비자가 어떤 브랜드의 제품인지 알 수 없도록 브랜드 로고를 지우고 사용하였다. 문구의 내용 외의 다른 시각적인 작용을 배제하고 실험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모든 자극물들은 공통적으로 하얀색 배경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광고의 소구 유형별 장점이 극대화되는 상황은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해석수준이론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 개념을 적용한다.
  • 반면에 소비자에게 심리적 거리가 먼 제품의 광고 문구에는 추상적 정보를 지닌 감성적 문구(감성소구)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이성 소구와 감성소구에 대해 선호도가 달라지는지를 해석수준이론에 입각하여 설명하고 검증한다.
  • 2와 같이 작성되었다. 실험의 목적은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에 따라 선호하는 광고 소구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참가자의 대부분이 20대 초중반이므로 대학생을 기준으로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제품군 네 가지, 심리적 거리가 먼 제품군 네 가지, 총 여덟 가지의 제품군을 선정하였다.
  • 각 소구유형의 효과가 어떤 상황에서 극대화되는지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소구의 장점이 극대화되는 상황을 알고 설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 질문 2. 광고소구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선호도에 따라 소비자의 눈은 다르게 반응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의 특징은?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기에 앞서 광고와 소비자의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광고는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자극임과 동시에 광고를 하는 주체가 소비자에게 주는 제품, 아이디어의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이다. 또한 광고는 메시지 전달 이후 소비자들에게 다시 피드백을 받는 설득의 커뮤니케이션을 갖는다 [8].
소구란? 소비자를 설득하는데 광고에 이성소구 또는 감성소구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소구, 즉 appeal이란 텍스트,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광고에서 어떤 소구유형이 더 효과적인지는 단정 할 수 없다.
광고효과 검증과 관련하여 아이트래킹의 장점은? 아이트래킹은 설문조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외 변인을 통제하여 독립 변인이 종속 변인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광고효과를 검증함에 있어 정보 탐색이 객관적이고 과학적이기 때문에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아이트래킹은 연구자에게 소비자의 순도 높은 반응을 제공해준다는 차원에서 광고 연구 분야에 특히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P. Garnder. (1985). Mood States o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81-300. 

  2. M. B. Holbrook & J. O'Shaughnessy. (1984). The Role of Emotion in Advertising. Psychology and Marketing, 1(2), 45-64. 

  3. J. S. Johar & M. J. Sirgy. (1991). Value-expressive Versus Utilitarian Advertising Appeals: When and Why to Use Which Appeal. Journal of Advertising, 20(3), 23-33. 

  4. S. Shavitt. (1990). The Role of Attitude Objects in Attitude Fun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6, 124-148. 

  5. C. P. Puto & W. D. Wells. (1984). In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al Adverti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6, 638-643. 

  6. S. S. Liu & P. A. Stout. (1987). Effects of Message Modality and Appeal on Advertising Acceptance. Psychology and Marketing, 4(3), 167-187. 

  7. D. Y. Choi & K. C. Lee. (2016). Investigating Cognitive Process and Brain Activation Study on the Rational/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 Emphasis on fMRI Experiments.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7(1), 61-99. 

  8. K. S. Kim. (2015). Advertising Contents based on Semiotic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87-93. DOI : 10.15207/JKCS.2015.6.6.087 

  9. Y. Trope & N. Liberman. (2010).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 

  10. T. Bornemann & C. Homburg. (2011).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Dual Role of Pr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8(3), 490-504. 

  11. G. H. Kim & M. Y. Cho. (2018). Effect of Visual Presentation for Price Discount on Consumer Response.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9(2), 405-428. 

  12. S. Y. Ko & C. Y. Lee.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lligent Advertising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6(3), 337-346. DOI : 10.18852/bdak.2018.16.3.337 

  13. I. H. Cha & B. Y. Kim. (2019). A Study on the Receptor Respons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Rationality and Emotional Appeal Messages in Advertis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1), 538-552. 

  14. T. C. Kinnear & K. L. (1995) Bernhardt. Principles of Marketing.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15. Q. Q. Fan, S. E. Hyoung & S. W. Chung. (201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Degree and Emotional Elements in Advertising Design.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10(3), 179-189. 

  16. S. H. Yoon & S. T. Kim. (2015). A Study on Visual Attention by Spatial Components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 in Hotel Lobby-mainly with on-line image-.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4), 391-405. 

  17. M. Yeo & C. N. Lee. (2014). A Study on the Interest of the Eyes Applying Gazing Phenomena - Based on an Eye-tracking Experiment Carried with a Facade as a Medi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1), 122-131. DOI : 10.14774/jkiid.2014.23.1.122 

  18. H. K. Park. (2010). A Study on Evaluating Visual Attention of Public Environment Facilities in Subways by Using Eye tracking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1), 238-247. 

  19. S. H. Lee, K. H. Kim, J. A. Ahn & I. H. Jeong. (2012). Analysis of Advertising Research Studies Using Eye-tracking Method in Korea and USA. Journal of Social Science, 23(2), 47-73. DOI : 10.16881/jss.2012.04.23.2.47 

  20. A. Aribarg, R. Pieters, & M. Wedel. (2010). Raising the BAR: Bias Adjustment of Recognition Tests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7(3), 387-400. 

  21. S. M. Choi, I.Kim & S. J. Hwang. (2017). A Study on Eye Tracking for Price Fluctuation Strategies in On-line Shopping mall.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5(3), 110-126. DOI : 10.18852/bdak.2017.15.3.111 

  22. M. Y. Heo & C. W. Lim. (2017). A minimum combination t-test method for testing differences in population means based on a group of samples of size one.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30(2), 301-309. 

  23. D. F. Cox. (1967)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Boston : Harvard University. 

  24. J. B. Cohen & K. Basu (1987). Alternative Models of Categorization: Toward a Contingent Processing Framework.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March), 455-4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