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Education Field of Maker Movement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483 - 492  

오수진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트렌드센터) ,  백윤철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권지은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의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형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으로 관련 문화와 교육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방향의 발전을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메이커 교육 운영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인터뷰 스크립트 내용을 기반으로 질적 조사 분석 프로그램(NVIVO)을 통한 키워드 분석과 그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메이커 교육을 실행한 교육자와 참여한 학생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전문 메이커 교사가 필요했고, 참여한 학생들의 메이커 채널 확장과 전문적인 네트워킹이 요구되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전문 프로그램과 적절한 정책 지원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향후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 및 관련 교육자 양성과 교육 환경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어 메이커 운동의 주요 분야인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lture and education are very active with the active policy and support to form the government's Maker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sector of the domestic maker movement,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and to propose a plan for activating m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메이커 전문인력과의 네트워크 및 협업 등도 국내의 오픈소스 공유에 대한 폐쇄적인 태도 등과 맞물려 메이커 인재 양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정확한 상황과 교육을 운영 또는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해하고 그 내용을 깊이 있게 분석해 국내 메이커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국내 메이커 운동에 있어서 교육 분야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키워드 추출과 시사점 및 인사이트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질적 조사인 심층 인터뷰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현 실태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메이커 교육 운영자와 참여자로부터 메이커 사업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인터뷰 조사 대상은 2017년~2018년 기간 동안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실시한 지원 정책 사업인 메이커 문화 운동 확산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 본 논문은 국내 메이커 운동에 있어서 교육 분야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키워드 추출과 시사점 및 인사이트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운동이란? 더불어, 메이커 운동은 ‘만들기’를 통한 제작의 ‘기술성’과 문제의 발견과 해결을 위한 ‘창의성’, 공유와 문화적 가치로서의 ‘대중성’ 등이 융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4]. 본 연구팀에서는 다양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메이커(Maker)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그것을 스스로 만드는 사람” 이고,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은 “메이커들이 하는 메이킹 활동과 이와 관련된 문화적 운동“이라고 정의한 바가 있다. 또한, 일반 메이커, 비즈니스 메이커, 공간⦁장비 메이커, 교육 메이커의 4대 메이커로 분류하여 그 범위를 규정하였다.
메이커 운동은 무엇이 융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발명가, 공예가, 기술자 등 기존의 제작자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손쉬워진 기술을 응용해서 폭넓은 만들기를 하는 대중을 메이커라고 정의하고, 이 메이커들이 만드는 흐름을 메이커 운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 더불어, 메이커 운동은 ‘만들기’를 통한 제작의 ‘기술성’과 문제의 발견과 해결을 위한 ‘창의성’, 공유와 문화적 가치로서의 ‘대중성’ 등이 융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4]. 본 연구팀에서는 다양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메이커(Maker)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그것을 스스로 만드는 사람” 이고,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은 “메이커들이 하는 메이킹 활동과 이와 관련된 문화적 운동“이라고 정의한 바가 있다.
초등학생을 지도하는 교소양성이나 학부모에게 메이커에 대한 정보 전달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이유는? 둘째, 참여자(학생)은 메이커 교육을 수강하는 학생, 동아리나 행사,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로 유아부터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등이 모두 포함된다. 초등학생의 경우 교사의 지도나 학부모의 의견에 많이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 양성이나, 학부모에게 메이커에 대한 정보 전달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S. Seo. (2019). A Study on the Autonomous Decision Right of Emotional AI based on Analysis of 4th Wave Technology Availability in the Hyper-Linkag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9-19. 

  2. H. W. Yim. (2018). A Study on Development of SMEs Start-up Consulting Course by Convergence subject STEA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381-387. 

  3. Mark Hatch. (2014).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San Francisco : Mc Graw Hill Education. 

  4. S. J. Kwak. (2019). Service Design Guideline for Maker Spa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2), 389-397. 

  5. J. E. Kwon. (201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 Makers,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6. Erica R. Halverson & Kimberly M. Sheridan.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Winter, 21-32. 

  7. L. Martin. (2015).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5(1), 4. 

  8. Kimberly M. Sheridan, Abigail W. Konopasky, Asia Williams & Grace J.J. Wingo, (2016). Resourceful and Inclusive: Towards Design Principles for Makerspaces, paper presented at AERA. 

  9. Shirin Vossoughi, Paula Hooper, Meg Escude. (2016). Exploratorium, Making Through the Lens of Culture and Power: Toward Transformative Visions for Educational Equity, Summer issue of the Harvard Educational Review. 41-52. 

  10. Kelvin Seifert & Rosemary Sutton. (2009), Global Text Project. Zurich : Educational Psychology: Second Edition. 33-37. 

  11. ShaMita Sha. (2015.11.25.). The Constructivism. Pedagogy In Education. http://pedagogy28. blogspot.com 

  12. I. A. Kang & M. K. Kim. (2017).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Maker Activity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4), 487-515. 

  13. M. J. Kang. (2018).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 Master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14. H. J. Cha & T. J. Park. (2018). A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 to Promote Maker Education at the Korean .Primary & Secondary School Level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labal Maker Education Best Practi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97-113. 

  15. H. M. Jung. (2018).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Museum.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Bill Derry, David V. Loertscher, Leslie Preddy, (2013). uTEC Maker Model, http://research-archive.canadianschoollibraries.ca 

  17. Sylvia Libow Martinez & Gary Stager. (2013). The Makered Mindset "The central thesis is that students should engage in tinkering and making because they are powerful ways to learn", Maker Education in SD57, 1-11 

  18. H. J. Yoon. (2018).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Maker Education Utilizing Design Thinking, Doctor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