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건설부지 평가 및 선정을 위한 선형회귀분석 기반 태양광 발전량 추정 모델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PV Power Forecasting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uitable PV Sit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6, 2019년, pp.126 - 131  

허재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박범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병일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한상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태양광의 발전 효율성과 경제성이 높은 발전소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기존 발전량 데이터가 부족함에 따라 정확한 발전량 추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기준으로 어떠한 기상조건을 나타내는 변수가 태양광발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형 효과를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된 태양복사에너지 지도와 미세먼지와 같은 기상조건을 추가하여 태양광 발전량 추정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추정된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습도를 제외한 태양복사에너지, 온도, 풍속, 운량, 강수량, 일조시간, 미세먼지가 발전 효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 분석모델을 통해 추정된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RMSE는 48.261(h), nRMSE는 1.592(%), MAPE는 11.696(%), 그리고 는 0.979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태양광 발전 부지를 평가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기상 조건 등 태양광 발전량 추정 모델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소 건설 부지를 선정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인 발전량을 정확히 추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timation of available solar energy at particular locations is critical to find and assess suitable locations of PV sites. The amount of PV power generation is however affected by various geographical factors (e.g., weather),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전에는 국내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 개수나 데이터 관측 기간이 시계열 분석을 하는데 충분하지 않아 태양광 발전량 추정에 문제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태양광 발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 변수들이 발전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 2013). 본 연구 결과값은 운량, 미세먼지, 강수량과 같은 요인이 태양광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준다고 언급하는 기존 연구를 뒷받침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기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월별 거래량을 바탕으로 시간대에 상관없이 기상조건(강수량, 미세먼지, 습도,온도, 운량, 일조시간, 풍속, 태양복사에너지) 자료를 사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발전량 추정을 위해 회귀분석방법이 사용되며, 발전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실측값과 추정값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추정값의 신뢰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기설치된 태양광 발전소 거래량의 데이터와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어떤 변수가 발전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 회귀분석모델을 통해 태양광 발전량 추정, 그리고 추정 발전량과 실제 발전소 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하고자한다.
  • 연구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행연구 고찰을통해 국내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관한 연구동향 파악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연구 목적을 설정한다. 둘째, 독립변수 및종속변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한다.

가설 설정

  • 예를 들어, 발전소의 첫째 달 자료는 정확한 가동 시작날짜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잠재적으로 이상치로 간주될 수 있어 제거되었다. 또한 종속변수인 발전량을 포함한 모든 변수들은 [Table 2]와 같이 모델의 신뢰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 및 재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태양광 발전량 회귀분석 모델에서 전국 발전소 위치는 어떤 방법으로 찾았는가? 예를 들어, [Fig. 1]과 같이 한국전력거래소에 제공받은 전국 발전소 위치를 위도, 경도 참조체계를 바탕으로 구글어스(Google Earth) 와 GIS (GeographicInformation Syste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찾았으며,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Jung et al. (2019)에서 제시한 모델을 사용하여 독립 변수 중 하나인 태양복사에너지(SolarRadiation)를, 그리고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국단위의 강수량, 미세먼지, 습도, 온도, 운량, 일조시간, 풍속과같은 기상 조건의 독립 변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전 효율값의 의미는 무엇인가? 2(a)]의 히스토그램과 같이 좌편향된 경향을 보이고있음이 관찰되었고, 또한 발전량과 설비용량 유의관계가 매우 큰 경향을 보임에 따라 다른 설명변수와 발전량간의 유의관계를 파악하는데 편향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과 태양광 발전의 유의성을 평가를 위해 발전량 값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발전량을 설비용량으로 나눈 발전 효율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Fig.
국내 태양광 발전소 설치 부지가 한정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5GW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높은 비율의 산악지형, 미국 및 중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국토 등으로 인해 국내에서 태양광 발전소 설치 부지는 한정되어 있으며(Jang & Kim, 2018), 또한 지역에 따라 태양광 발전량이 크게 차이가 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의 보급 확대를 위해 적합한 부지의 확보가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y, A., Jensen, S.S., and Pedersen, A.B. (2017). "Solar power potential of Tanzania: Identifying CSP and PV hot spots through a GIS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alysis." Renew Energy, 113, pp. 159-75. 

  2. Al Garni, H.Z., and Awasthi, A. (2017). "Solar PV power plant site selection using a GIS-AHP based approach with application in Saudi Arabia." Applied Energy, 206, pp. 1225-1240. 

  3. Cha, W.C., Park, J.H., Cho, U.R., and Kim, J.C. (2014). "Design of generation efficiency fuzzy prediction model using solar power element data."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3(10), pp. 1423-1427. 

  4. Charabi, Y., and Gastli, A. (2011). "PV site suitability analysis using GIS-based spatial fuzzy multi-criteria evaluation." Renew Energy, 36(9), pp. 2554-2561. 

  5. Darwish, Z.A., Kazem, H.A., Sopian, K., AI-Goul, M.A., and Alawadhi, H. (2015). "Effect of dust pollution type on photovoltaic performanc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41, pp. 735-744. 

  6. Han, J.M., Choi, S., Kim, S., and Jung, Y. (2018).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photovoltaic cells by fine dust in the air." Trans. of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9(3), pp. 292-298. 

  7. Huld, T., and Amillo, A. (2015). "Estimating PV module performance over large geographical regions: The role of irradiance, air temperature, wind speed and solar spectrum." Energies, 8(6), pp. 5159-5181. 

  8.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2019). Utility-Scale Solar Photovoltaic Power Plants: A Project Developer's Guide. [accessed 30 March 2019]. 

  9. Jang, T.M,, and Kim, G.N. (2018). "A study on the Economic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n the military free space."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4(2), pp. 62-70. 

  10. Jung, J., Han, S., and Kim, B. (2019). "Digital numerical map-oriented estimation of solar energy potential for site selection of photovoltaic solar panels on national highway slopes." Applied Energy, 242, pp. 57-68. 

  11. Kim, J., Kim, T., Lee, J., and Ham, K.S. (2019). "Predicting 24-hours ahead photovoltaic power output using forecast information." In Proceedings of the 34th ACM/SIGAPP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 pp. 1462-1464. 

  12. Lee, K., and Kim, W.J. (2016). "Forecasting of 24hours ahead photovoltaic power output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J. Korean Inst. Inf. Technol, 14, pp. 175-183. 

  13. Mellit, A., Benghanem, M., and Kalogirou, S.A. (2006) "An adaptive wavelet-network model for forecasting daily total solar-radiation." Applied Energy, 83(7), pp. 705-722. 

  14. Noh, Y., Lim, Y., Yoo, W., and Kim, J. (2013). "A study on the estimating power generation for a PV solar plant using weather forecast."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pp. 161-166. 

  15. Sahin, M., Kaya, Y., and Uyar, M. (2013). "Comparison of ANN and MLR models for estimating solar radiation in Turkey using NOAA/AVHRR data." Advances in Space Research, 51(5), pp. 891-904. 

  16. Song, J., Lee, S., and Jeong. Y. (2014). "Analysis of prediction model for sol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3), pp. 243-248. 

  17. Yang, I.S., and An, H.S. (2018). "Optimal location analysis in terms of efficiency for solar energy fac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7), pp. 656-664. 

  18. Zaharim, A., Razali, A.M., Gim, T.P., and Sopian, K. (2009). "Time series analysis of solar radiation data in the tropics." European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25(4), pp. 672-6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