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유연성 편평족 환아에서 치료용 깔창이 삽입된 실내화의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Insole Inserted Indoor Sandal Effectiveness in School Aged Flexible Flat-foot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199 - 207  

이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정형외과학교실) ,  문정은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조용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바닥에 치료용 깔창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실내화를 이용한 유연성 편평족 환아의 착용 처치 전-후 임상 결과 및 영상의학 검사 결과에 대한 융합 연구이다. 유연성 편평족으로 진단받은 학령기 환아 35명에 대하여, 치료용 깔창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실내화를 주중 5회 이상, 하루 4시간 이상 착용하게 하였다. 시행 전, 시행 후 제 4주째, 제 8주째, 영상의학 검사 및 FAOS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임상 결과에서 FAOS 증상 항목과 통증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영상의학 검사 결과에서 전후면 거골-제1중족각, 측면 거골-제1중족각, 거골-수평각이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찾을 수 없었다. 즉, 학령기 유연성 편평족 환아가 실내 생활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치료용 깔창이 바닥에 일체형으로 제작된 실내화를 사용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증상 완화 및 통증 경감에 효과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convergenc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 results of school aged flexible flat foot using insole inserted indoor sandal. Thirty five subjects were asked to wear insole inserted indoor sandals at least five times a week and at least four hours a d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편평족으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학령기 소아 환아에서 내측 종아치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대 일체형 실내화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착용 처치 전-후의 임상적 결과 및 족부 영상의학 변화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The 7-year-old girl with flexible flatfoot complained of foot pain during walking and sports activity. (A) Podogrphy of the foot shows the loss of medial longitudinal arch. (B) and (E) shows a picture of wearing insole inserted indoor sand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평족이란 무엇인가?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하는 학령기 소아 환아에서 족부 변형은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다. 그 중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간 상호 복합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편평족은 내측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가 감소되거나 혹은 소실되는 변형이다. 내측 종아치는 출생 당시 확인이 되지 않으며, 보행을 시작하면서 발달되기 시작한다[1-3].
편평족의 분류는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5%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4-7]. 편평족은 유발 원인이 밝혀진 병적 편평족과 골격계의 병적 변화 없이 내측 종아치의 발달이 또래에 비해 늦어지는 생리적 편평족으로 나누거나, 거골하 관절 운동의 보존성 여부에 따라 유연성과 강직성으로 나누기도 한다[8-11]. 병적 강직성 편평족의 원인 질환으로 선천적 골유합, 관절염, 수직 거골, 외상 후 구조적 결함 등이 주장되고 있다[12-14].
유연성 편평족으로 진단받은 학령기 소아 환아에게 내측지지대 일체형 실내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Song 등은 유연성 편평족 환아에서 내측 종아치 지지대의 사용이 임상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방사선 측정에서 수평면에서는 거골-제1중족골간각, 시상면에서 는 거골-제1중족골간각, 거골 골간각, 및 종골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23]. 더불어 학령기 환아는 주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게 되며 특히 교실 내에서는 운동화나 구두 같은 실외화가 아닌 학교에서 규정하는 색깔과 소재의 실내화를 착용해야 한다. 따라서 고가의 맞춤형 내측 종아치 지지대를 구입, 거치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못하고 상당한 시간동안 적절한 조치가 되어 있지 않은 실내화를 신어야만 하는 실정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L. T. Staheli, D. E. Chew & M. Corbett. (1987). The longitudinal arch. A survey of eight hundred and eighty-two feet in normal children and adults.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69(3), 426-428. 

  2. Y. Cho, J. W. Park & K. Man.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foot posture index and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ait Posture, 74(5), 142-147. DOI:10.1016/j.gaitpost.2019.09.003 

  3. K. Han, K. Bae, N. Levine, J. Yang & J. S. Lee. (2019). Biomechanical Effect of Foot Orthoses on Rearfoot Motions and Joint Momen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Flexible flatfoot. Med Sci Monit, 25(8), 5920-5928. DOI:10.12659/MSM.918782 

  4. I. H. Park et al. (2004). Flat Foot Survey in 8 Year Old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8(1), 7-10. 

  5. A. Morley. (1957). Knock-knee in children. British medical journal, 2(5051), 976. 

  6. U. B. Rao & B. Joseph. (1992). The influence of footwear on the prevalence of flat foot. A survey of 2300 children.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British volume, 74(4), 525-527. 

  7. G. Y. Park & W. C. Lee. (2001). Prevalence of the Flatfoot and Its Relation with the Practice of Wearing Footwear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5(5), 867-876. 

  8. H. Lee et al. (2015).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s of Elastic-Band and Short Foot Exercise on Plantar Foot Pressure, Toe Angle and Balance for Pati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3), 73-88. DOI:10.15268/ksim.2015.3.3.073 

  9. H. J. Lee, K. B. Lim, J. Yoo, S. W. Yoon, H. J. Yun & T. H. Jeong. (2015). Effect of custom-molded foot orthoses on foot pain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symptomatic flexible flat feet.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6), 905-913. DOI:10.5535/arm.2015.39.6.905 

  10. E. J. Harris et al. (2004).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diatric flatfoot. The Journal of foot and ankle surgery, 43(6), 341-373. DOI:10.1053/j.jfas.2004.09.013 

  11. S. Y. Joo & J. R. Kim. (2016). Management of Flexible Flatfoot in Chi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51(2), 109-116. DOI;10.4055/jkoa.2016.51.2.109 

  12. A. J. Sullivan. (1999). Pediatric flatfoot, evalu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7(1), 44-53. 

  13. R. A. Garcia, J. F. Martin, V. M. Carnero, G. E. Gomez, A. J. Gomez & C. J. Fernandez. (1999). Flexible flat feet in children, a real problem? Pediatrics, 103(6), e84-e. 

  14. S. B. Kim, K. Yoon, H. S. Park, H. Kwak, N. J. Ha & J. S. Park. (2000). Radiologic Measurement of Flatfoo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4(5), 995-1001. 

  15. R. I. Harris & T. Beath. (1948). Hypermobile flat-foot with short tendo achillis.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30(1), 116-140. 

  16. F. Halabchi, R. Mazaheri, M. Mirshahi & L. Abbasian. (2013). Pediatric flexible flatfoot clinical aspects and algorithmic approach. Iranian journal of pediatrics, 23(3), 247-260. 

  17. J. Y. Choi, W. H. Hong, J. S. Suh, J. H. Han, D. J. Lee & Y. J. Lee. (2019). The long-term structural effect of orthoses for pediatric flexible flat foot, A systematic review. Foot and Ankle Surgery, 1268-7731. DOI:10.1016/j.fas.2019.01.007 

  18. C. Mereday, C. M. Dolan & R. Lusskin. (1972). Evaluation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mechanics Laboratory shoe insert in "flexible" pes planu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82, 45-58. 

  19. S. K. Bok, B. O. Kim, J. H. Lim & S. Y. Ahn. (2014). Effects of custom-made rigid foot orthosis on pes planus in children over 6 years old.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8(3), 369-375. DOI:10.5535/arm.2014.38.3.369 

  20. E. C. Lee, M. O. Kim, H. S. Kim & S. E. Hong. (2017). Changes in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angle following insole fitting in children with flexible flatfoot.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2), 257-265. DOI:10.5535/arm.2017.41.2.257 

  21. D. G. Kulcu, G. Yavuzer, S. Sarmer & S. Ergin. (2007). Immediate effects of silicone insoles on gait pattern in patients with flexible flatfoot. Foot & ankle international, 28(10), 1053-1056. 

  22. D. R. Kuhn, N. J. Shibley, W. M. Austin & T. R. Yochum. (1999). Radiographic evaluation of weight-bearing orthotics and their effect on flexible pes planus.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2(4), 221-226. 

  23. H. R. Song, H. J. Kim & Y. C. Yoon. (2010). The Effect of Medial Arch Supports for Flexible Flat Foot of Children. Journal of Korean Foot Ankle Society, 14(2), 177-181. 

  24. K. M. Lee et al. (2013). Transcultural adaptation and testi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Clinical rheumatology, 32(10), 1443-1450. DOI:10.1007/s10067-013-2288-1 

  25. R. L. Bordelon & R. Lusskin. (1980). Correction of hypermobile flatfoot in children by molded insert. Foot Ankle, 1(3), 143-150. 

  26. D. Y. Lee, I. H. Choi, C. Y. Chung, M. G. Huh & Y. D. Koh. (1990). A Clinical Review of Grice Extra-articular Subtalar Arthrodesis.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5(6), 1602-1610. 

  27. D. R. Wenger, D. Mauldin, G. Speck, D. Morgan & R. L. Lieber. (1989). Corrective shoes and inserts as treatment for flexible flatfoot in infants and children.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71(6), 800-810. 

  28. A. M. Evans & K. Rome. (2011).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non-surgical interventions for flexible pediatric flat feet.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7, 69-89. 

  29. C. MacLean, I. M. Davis & J. Hamil. (2006). Influence of a custom foot orthotic intervention on lower extremity dynamics in healthy runners. Clinical biomechanics, 21(6), 623-630. 

  30. M. A. Castro, P. V. Munuera & C. M. Albornoz. (2013). The short-term effect of custom-made foot orthoses in subjects with excessive foot pronation and lower back pain, a randomized,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37(5), 384-390. DOI:10.1177/0309364612471370 

  31. A. S Salles & D. E. Gyi. (2012). The specification of personalised insol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Work. 41(Supplement 1), 1771-1774. DOI:10.3233/WOR-2012-0383-1771 

  32. M. A. Johanson, R. Donatelli, M. J. Wooden, P. D. Andrew & G. S. Cummings. (1994). Effects of three different posting methods on controlling abnormal subtalar pronation. Physical Therapy, 74(2), 149-158. 

  33. B. Vicenzino. (2004). Foot orthotics in the treatment of lower limb conditions, a musculoskeletal physiotherapy perspective. Manual therapy, 9(4), 185-196. 

  34. Y. Yurt, G. Sener & Y. Yakut. (2019). The effect of different foot orthoses on pai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inful flexible flat fo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5(1), 95-102. DOI:10.23736/S1973-9087.18.05108-0 

  35. G. V. Zammit & C. B. Payne. (2007).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clinical outcomes of foot orthotic treatment and changes in rearfoot kinematics. Journal of the American Podiatric Medical Association, 97(3), 207-212. 

  36. D. H. Kim, S. J. Ryu, E. J. Kim, Y. K. Cho, S. H. Lee & E. Y. Kang. (2006). The Effect of Foot Orthosis on Spinal Curvature by Correction of Foot Pronation and Limb Length Discrepanc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0(4), 392-397. 

  37. J. M. Park, K. W. Kim, Y. H. Lee & H. G. Chung. (1999). A Diagnostic Significance of Simple X-ray Examination for Children's Flatfoot in Footprin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4), 835-841. 

  38. W. G. Lee & S. T. Jung. (2018). Evaluation of the Outcomes according to Etiology in the Pediatric Pes Planovalgus after Lateral Column Lengthening, By Radiologic and Pedobarographic Measurements. Journal of Korean Orthopedic Assocication, 53(5), 407-414. DOI;10.4055/jkoa.2018.53.5.407 

  39. H. S. Kim, J. B. Shin, S. You & J. H. Nam. (2009).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 Anthropometric Index, the Foot Types and Dynamic Plantar Pressure in Normal Teenage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3(5), 578-5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