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발과 평발에서의 목말밑 관절가동범위와 등쪽굽힘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ubtalar Joint Range of Motion and Dorsiflexor Muscle Activity Between Normal and Pes Planus Fee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2, 2018년, pp.129 - 135  

고은경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  정도영 (중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운동병리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imbalance of pretibial muscles can be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es planus. However, no study has yet compa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ibials anterior (TA) to that of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몇몇 문헌에서 발등굽힘 제한을 평발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지만(Hösl 등, 2014), 아직까지 평발과 정상발에서 능동적인 발목 발등굽힘 제한 정도를 비교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발과 평발에서의 능동적인 발등굽힘 시 발목 및 목말밑 관절의 관절가동범위와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를 활용한 근육 불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의 근육 불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비대칭 지수(asymmetry index: AI)를 활용하여 알아보았다(Reynard 등, 2009).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로 능동적인 발등굽힘 시 정상발에 비해 평발이 발등굽힘 각이 작고 목말밑 관절의 가쪽번짐 각이 클 것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는 작고 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는 클 것이다라고 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의 근육 불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비대칭 지수(asymmetry index: AI)를 활용하여 알아보았다(Reynard 등, 2009). 본 연구의 가설로 능동적인 발등굽힘 시 정상발에 비해 평발이 발등굽힘 각이 작고 목말밑 관절의 가쪽번짐 각이 클 것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는 작고 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는 클 것이다라고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발이란? 평발은 안쪽 세로활이 편평해지며 뒤발의 가쪽번짐 그리고 가운데발의 벌림이 있는 만성적인 상태이다(Pinney와 Lin, 2006). 평발 혹은 과도한 엎침(pronation)이 원인이 되는 과사용 손상과 증후군으로는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엄지발가락 가쪽휨증(hallux valgus)과 뒤정강근의 기능부전(tibialis posterior dysfunction) 등이 있다(Easley와 Trnka, 2007; Pohl 등, 2009; Ryan 등, 2009).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정상발과 평발에서의 능동적인 발등 굽힘 시 비대칭 지수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정상발과 평발에서의 능동적인 발등 굽힘 시 발목 및 목말밑 관절의 가동범위와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비대칭 지수는 정상발 군과 평발군 각각 1%과 -30%이었으며 앞정강근의 %MVIC값은 각각 66%와 5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목말밑 관절의 가쪽 번짐 각도는 정상발 군 .
앞정강근의 기능은? 발의 외재근 중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TA), 긴발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longus: EDL)은 정강뼈 앞에 부착하여 발목을 등쪽굽힘시킨다. 앞정강근은 목말밑 관절(subtalar joint)의 내측에 정지하고 긴발가락폄근은 외측에 정지하기 때문에 각각 안쪽번짐(inversion)과 가쪽번짐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Jutta, 2015).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평발이 정상발에 비해 목말밑 관절의 과도한 가쪽번짐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근인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간의 근육 불균형이 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asley ME, Trnka HJ. Current concepts review: Hallux valgus part 1: Pathomechanics, clinical assessment, and nonoperative management. Foot Ankle Int. 2007; 8(5):654-9. 

  2. Hosl M, Bohm H, Multerer C, et al. Does excessive flatfoot deformity affect function? A comparison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flatfeet using the Oxford Foot Model. Gait Posture. 2014;39(1):23-8. 

  3. Jennings MM, Christensen JC. The effects of sectioning the spring ligament on rearfoot stability and posterior tibial tendon efficiency. J Foot Ankle Surg. 2008; 7(3):219-24. 

  4. Jutta H. Functional Anatomy for Physical Therapists. 1st Edition. TPS. 2015. 

  5. Kaufman KR, Brodine SK, Shaffer RA, et al. The effect of foot structure and range of motion on musculoskeletal overuse injuries. Am J Sports Med. 1999;27(5):85-93. 

  6.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4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1993. 

  7. Kim TH, Koh EK, Jung DY. The effect of Arch Support Taping on Plantar Pressure and Navicular Drop Height in subjects with Excessive pronated foot during 6 Weeks. J Korean Soc Phys Med. 2011;6(4):489-96. 

  8. Koh EK, Jung DY, Kim TH. Comparison of the Muscle Activity Ratio of Tibialis Anterior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in Subjects with the Normal Toe and the Hammer Toe during the Active Ankle Dorsiflexion. J Korean Soc Phys Med. 2011;6(1):103-8. 

  9. Koh EK. Effects of foot orthosis and strengthening exercises on the talo-first metatarsal angle and muscle strength in subjects with pes planu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Dept. of Rehabilitation Therapy. 2011. 

  10. Neumann DA. Ankle and Foot. In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2nd ed). St. Louis. Mosby. 2002. 

  11. Pinney SJ, Lin SS. Current concept review: Acquired adult flatfoot deformity. Foot Ankle Int. 2006;27(1):66-75. 

  12. Pohl MB, Hamill J, Davis IS. Biomechanical and anatomic factors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plantar fasciitis in female runners. Clin J Sport Med. 2009;19(5):372-6. 

  13. Riemann BL, DeMont RG, Ryu K, et al. The Effects of Sex, Joint Angle, and the Gastrocnemius Muscle on Passive Ankle Joint Complex Stiffness. J Athl Train. 2001; 6(4):369-75. 

  14. Razeghi M, Batt ME. Foot type classification: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methods. Gait Posture. 2002;15(3):282-91. 

  15. Reynard F, Deriaz O, Bergeau J. Foot varus in stroke patients: muscular activity of extensor digitorum longus during the swing phase of gait. Foot. 2009;19(2):69-74. 

  16. Root ML. Normal and Abnormal Function of the Foot. Clinical Biomechanics Corporation. 1977. 

  17. Ryan M, Grau S, Krauss I, et al. Kinematic analysis of runners with Achilles mid-portion tendinopathy. Foot Ankle Int. 2009;30(12):1190-5. 

  18. Smith-Oricchio K, Harris BA. lnterrater reliability of subtalar neutral, calcaneal inversion and evers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0;12(1):10-5. 

  19. Tiberio D. Evaluation of functional ankle dorsiflexion using subtalar neutral position. A clinical report. Phys Ther. 1987;67(6):955-7. 

  20. Vittore D, Patella V, Petrera M, et al. Extensor deficiency: First cause of childhood flexible flat foot. Orthopedics. 2009;32(1):28-32. 

  21. Van Boerum DH, Sangeorzan BJ. Biomechanics and pathophysiology of flat foot. Foot Ankle Clin. 2003;8(3):419-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