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출 중소기업의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of Online Commerce in Exporting SM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335 - 343  

정복훈 (한성대학교 스마트융합) ,  정진택 (한성대학교 스마트융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성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 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의 무역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내부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수출마케팅 컨설턴트의 역할이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보다 중요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활용을 위해 첫째, 중소기업의 무역역량 확대. 둘째, 사업수행 기업의 무역컨설팅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참여기업 및 수행기업의 무역컨설턴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기업과 정책적 노력이 더해져서 중소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necessary factors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SMEs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port support business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ctivate SMEs' online market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rporate trade c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을 경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연구되었던 온라인 상거래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역량과 정부의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더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활용이 가능한 무역 경험인력과 무역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전문회사(컨설턴트)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제 사업 참여기업의 조사를 통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수출지원 사업에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조사를 기반으로 수출 중소기업의 내부역량, 기업의 수출역량과 함께 외부역량인 사업수행기관(컨설턴트)의 역할을 변수로 설정하여 온라인마케팅의 활용도와의 연관성을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출 중소기업의 온라인무역의 활용도를 제고하여 수출실적 증대와 중소기업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기업과 정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찾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을 경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연구되었던 온라인 상거래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역량과 정부의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더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활용이 가능한 무역 경험인력과 무역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전문회사(컨설턴트)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제 사업 참여기업의 조사를 통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수출지원 사업에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활용을 위해 필요한 것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활용을 위해 첫째, 중소기업의 무역역량 확대. 둘째, 사업수행 기업의 무역컨설팅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참여기업 및 수행기업의 무역컨설턴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기업과 정책적 노력이 더해져서 중소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융합의 시대의 특징은? 온·오프라인이 결합하는 융합의 시대에 이르러 온라인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이 있으며, 이런 지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무역의 성공요인, 온라인무역의 활성화 방안, 지원사업의 만족도, 수출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다양한 사례 연구 및 실증 분석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연구와 현황을 분석해보면 온라인무역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개 자원기반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이루어져 왔다.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성화요인으로 무역역량, 내부역량, 컨설턴트 역할 중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은?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성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 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의 무역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내부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수출마케팅 컨설턴트의 역할이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보다 중요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B. Yang. (2008). Integrated Communication Design Strategies for the Revised Market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5), 113-121. 

  2. H. Chae & M. S. Kyung. (2008). The Determinants of e-Trade Usage and Performance. The Korea International Commercial Review, 23(4), 233-254. DOI : 10.18104/kaic.23.4.200812.233 

  3. Y. J. Lee, Y. A. Cho, J. W. Shin & C. Y. Han. (2017). Research on the Korean Export Assistance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Global Economy, Sejong : KIET. 

  4. H. H. Han & S. B. Choi. (2013).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Trade Utilization and Performance in Korea's Small and Medium Companies, Korea Trade Review, 38(1), 145-171. 

  5. S. C. Kim & G. O. Kim. (2017). An Approach to Export Promotion Plans based on Cross-border-Commerce Business Model in Korean Exporting Enterprises, E-Trade Review, 15(1), 1-23. 

  6. Anderson. M & T. S. Larsen. (2008).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Global Supply Chains,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4(2), 75-86. 

  7. J. W. Park & S. C. Kim. (2011), A Study on the Export Promotion Strategy using SEM(Search Engine Marketing). R-Trade Review, 9(2), 1-22. DOI : 10.17255/etr.9.2.201105.1 

  8. Y. D Kim & S. Y. Yun. (2011). An Empirical Study on Usage Levels and Performances of e-Trade in Korea: Focusing on Global e-Trade Services.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22(4), 81-112. 

  9. C. M. Han. (2006). What Factors Determine Marketing Performances of Korean Exporters?, A Resource-based view.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10(1), 566-586. 

  10. C. Lee. (2001). The Effects of Export Marketing Mix Strategies on Export Performance An Experience of Korea.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12(2), 1-23. 

  11. S. Y. Shim & H. C. Moon. (2000).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Cyber Trade via Internet in Korean Exporting Firm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2(2), 111-133. 

  12. D. O. Choi.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al Usage and Performance of e-Trade System.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Studies, 11(1), 101-127. 

  13. H. J. Choi & S. R. Ji. (2004). A Study on the Facilitation of e-Trade in Korean SMEs. The Journal of Establishment Information, 17(4), 1-24. 

  14. J. Y. Kong. (2006). A Study on the Promotion of e-Trade in Korea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Journal of KECRA.17(4), 109-131. 

  15. H. C. Kim. (2005). A Study on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Trade in Korean SMEs. The Journal of Establishment information, 8(3), 153-175. 

  16. J. W. Lee. (2001). Determinants of B2B EC Diffusion and Performance: A Casual Model. Korea trade review, 26(2), 357-377. 

  17. J. B . Lee & K. D. Nam. (2016). B2C Cross-border E-commerce Export Activation Plan : Focusing on Identification of Step-by-step Operational Difficulties of Online Overseas Direct Sales for Domestic SMEs. E-Trade Review, 12(6), 207-228. DOI : 10.16980/jitc.12.6.201612.207 

  18. C. B. Kim. (2011).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Global e-Trade Usage and its Performance in Korean Export-Import Company. Journal of Korea Trade, 36(4), 267-294. 

  19. Y. C. Kwon, S. H. Hong & J. H. Lee. (2004).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Internet-based Export Marketing and it's Performance: Focused on Daegu Textile Industry. Korea Trade Review, 29(6), 93-124. 

  20. H. C. Moon, M. R. Bae & K. Y. Hwang. (2015). The Impa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Trade Promotion Agency on the Performance of Seoul Metropolitan and Local Exporting Firm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7(1), 89-114. DOI : 10.15798/kaici.17.1.201503.89 

  21. H. K. Noh & S. C. Lee. (2017). A Study on Corporate Support Service Convergence Factors that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Targeting Corporations in Sejong City and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193-200. DOI : 10.15207/JKCS.2017.8.5.193 

  22. S. J. Lee & H. C. Kim.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Use Situation Analysis of e-Trade. E-Trade review, 12(2), 59-78. DOI : 10.17255/etr.12.2.201405.59 

  23. Y. H. Park. (2016). An Empirical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Export Supporting System for SME in Daejeon.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surance, 17(2), 103-135. 

  24. J. H. Choi. (2018).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Policy for the SME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3), 114-123. DOI : 10.5392/JKCA.2018.18.03.114 

  25. J. S. Kim & S. C. Kim(2010). An Approach to the Cognition of e-Trade Service Quality in Korean Exporting Enterprises. E-Trade Review, 8(2), 47-70. DOI : 10.17255/etr.8.2.201005.47 

  26. S. B. Lee. (2013). A Study on the New Framework of Export Promotion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Ordo Economics Journal, 16(1), 81-100. 

  27. J. J. Lee & T. I. Kim. (2012).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sage and Performance of E-Trade in Chinese SMEs. The e-Business Studies, 13(4), 245-271. DOI : 10.15719/geba.13.4.201211.245 

  28. Center for Large and small Business Cooperation. (2012). Domestic SMEs' overseas market entry plans and difficulties. Seoul : The Federation of Korea Industries. 

  29. Center for Large and small Business Cooperation. (2018). Plan for 2018 SME overseas expansion plans and policy opinions, Seoul : The Federation of Korea Industr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