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대-가치 모델에 근거한 체육수업에서 그릿(Grit)과 성취행동의 관계 이해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hievement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Expected-Value Mode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429 - 435  

송기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기대-가치와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53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의 기대-가치 지각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취행동에는 성공기대만이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그릿은 성취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가치와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value and achievement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353 middle school studen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confirmed the goodnes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기대-가치와 그릿 및 성취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기대-가치와과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에 대한 기대-가치와 그릿 및 성취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5곳의 중학생 400명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기대-가치 모델을 기초로 수행된 선행연구의 경험적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가치지각과 그릿 및 성취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기대-가치지각과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적극적인 수업 참여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교사의 효율적인 수업전략 마련과 체육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제가치를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그 동안 체육과 스포츠분야에서 적용한 다양한 이론들(자기결정성, 성취목표,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기대-가치이론 또한 체육수업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Eccles andHarold [3]는 학습과제에 개인의 가치 정도와 앞으로 그 과제를 얼마나 잘할 것인가에 대한 기대 믿음이 학생들의 과제선택, 관여, 지속, 노력여부에 유인가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과제가치는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유인가로 내적가치(흥미), 달성가치(중요성), 활용가치(유용성)를 포함한다[2].
그릿의 정의는? 이에 학습자들의 성취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최근 그릿(grit)이라는 개념이 스포츠교육학 및 심리학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학생들의 성취행동과 관련하여 인지적 과정 이외에도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과 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만드는 힘으로 정의되고 있는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열정과 인내로 정의되는데, 학습장면에서 학생들에게 보여지는 새로운 도전을 위한 끈기 있는 노력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관심을 유지하는 자세를 의미한다[8].
체육수업에서 제공되는 과제에 대해 학생들의 가치지각과 기대 믿음을 높이기 위해 체육 교사가 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보면, 체육수업에서 제공되는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가치지각과 그 과제에 대해 스스로 잘할 수 있다는 기대 믿음이 높게 형성될 때 노력하려는 의지와 열정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는 채육수업에 대한 가치를 느낄 수 있고 기대감을 불러올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즉 학생들의 관심사, 흥미, 과제 난이도, 학생들의 요구사항 등에 좀 더 귀 기울여 진정으로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 R. You & J. G. Park. (2011). Testing a cross-validity of the expectancy-value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2(3), 71-86. 

  2. J. G. Park.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outcome expectancy,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ask difficulty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2), 189-201. 

  3. J. S. Eccles & R. D. Harold. (1991). Gender differences sport involvement: Applying the Eccles' expectancy-value model.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3, 7-35. 

  4. H. S. Cho. (2015). A relation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expectance-valu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ir academic eng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0(3), 181-192. 

  5. K. H. Song & J. Y. Huh. (2013).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pectancy-valu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elp-seeking, and self-handicapp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4(2), 55-73. 

  6. J. G. Park & K. H. Lee. (2011). The moderated effects of expectancy-values, self-efficacy, and task difficult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sistence in the physical education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3), 251-262. 

  7. S. Y. Han & Y. H. Park. (2018).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control and self-determination by grit typ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0(1), 73-101. 

  8.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9. P. Tough. (2012). How children succeed: Grit, curiosity, and the hidden power of character. Boston, MA: Houghton Mifflin Harsourt. 

  10. H. J. Lim.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grits factor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169-192. 

  11. S. Y. Kim, H. M. Lim & K. H. Song. (2019). Predict of Students' Gir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8(2), 173-186. 

  12. S. B. Min & J. Kim. (2018). The effects of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7(2), 125-138. 

  13. H. S. Cho. (2019).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peer relatedness support on the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in PE classe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8(1), 927-943. 

  14. H. S. Cho. (2018). The effects of interes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he grit and task persistence of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7(6), 789-802. 

  15. K. D. Kim, H. W. Kang, W. J. Moon, K. C. Jung & D. S. Yang. (2018). The mediation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and intention to decide to drop-out perceived by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7(6), 217-227. 

  16. J. S. Eccles & A. Wigfield. (1995). In the mind of the actor: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achievement task value and expectancy-related belief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3), 215-225. 

  17. Y. R. You & J. G. Park. (2011). Testing a cross-validity of the expectancy-value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2(3), 71-86. 

  18. H. S. Ha, H. J. Lim & M. H. Hwang. (2017). The role of grit, goal perception, conscientiousness and resilience in academic adjust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8(1), 371-388. 

  19. J. Guan, P. Xiang, R. McBride & A. Bruene. (2006). Achievement goals, social goals, and student's reported persistence and effort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5, 58-74. 

  20. L. Crocker & J. Algina.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21. J. F. Hair, B. Black., B. Babin, R. E. Anderson & R. L. Tatham. (2006). Multivariate date analysis, 6th ed., London: Prentice-Hall. 

  22.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3. P. E. Shrout & N. Bolger.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24. Z. Gao, P. Xiang, A. M. Lee & L. Harrison. (2008).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in beginning weight training class: Their relations to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9(1), 92-100. 

  25. K. H. Song, H. M. Lim & S. Y. Kim. (2019). Test of relation model between teachers' motivation styles and outcome expectancy, task engagement for prediction of their achievement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8(2), 797-810. 

  26. K. T. Kim. (2019).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6), 219-225. 

  27. A. Wigfield & J. S. Eccles. (2000).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68-81. 

  28. P. Xiang, R. McBride & J. Guan. (2004). Children's motiv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 longitudinal study.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5, 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