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관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Job Engagement in Polic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557 - 564  

이윤정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경찰관의 직무열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차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총 185명의 경찰관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직무불안정성(${\beta}=-.34$, p<.001), 직무보상(${\beta}=.39$,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2$, p<.001)와 조직공정성(${\beta}=.20$, p=.002)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들은 경찰관의 직무열의 를 59.3%(F=34.26, p<.001)설명하였다. 즉, 직무불안정성이 낮을수록, 직무보상과 조직공정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직무열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관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시 직무보상, 직무불안정성, 주관적 건강상태, 조직공정성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engagement among Korean police officers. This was the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85 Korean police offic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경찰관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며,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경찰관의 직무환경관련 요인과 개인적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연구이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관의 직무열의 향상과 함께 직무여건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경찰관의 직무환경관련 요인과 개인적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직무열의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승인통계자료인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5차 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를 활용하여 국내 경찰관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경찰관의 직무열의 향상과 직무환경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이에 직무열의의 영향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직무환경관련 요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4). Poli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 Statistics Korea. (2007). The Sixth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Daejeon: Statistics Korea.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olice Officers Public Officials Act and Articl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www.law.go.kr/lsInfoP.do?lsiSeq195930#0000 

  4.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4). White Paper. Seoul: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5. B. S. Jung & E. R. Choi. (2017). A meta-analysis on the burnout factors among Korean police officers: Focus on the job characterist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64(0), 215-238. 

  6. J. D. Thompson. (2017). Organizations in action: Social science bases of administrative theory. New York: Routledge. 

  7. W. B. Schaufeli & A. B. Bakker.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5(3), 293-315. DOI : 10.1002/job.248 

  8. W. A. Kahn.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DOI : 10.5465/256287 

  9.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 A. B. Bakker.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10. I. S. Kwon & Y. K. Choi. (2011).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s the mediator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8(4), 113-133. 

  11. W. H. Macey & B. Schneider. (2008). The meaning of employee engagement.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 3-30. 

  12. J. D. Nahrgang, F. P. Morgeson & D. A. Hofmann. (2011). Safety at work: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link between job demands, job resources, burnout, engagement, and safety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1), 71-94. DOI : 10.1037/a0021484 

  13. Y. Brunetto, S. T. Teo, K. Shacklock & R. Farr-­Wharton. (2012).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well­being and engagement: Expla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in polic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22(4), 428-441. DOI : 10.1111/j.1748-8583.2012.00198.x 

  14. N. Gillet, I. Huart, P. Colombat & E. Fouquereau. (2013).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tivation, and engagement among police officer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4(1), 46-55. DOI : 10.1037/a0030066 

  15. K. Breevaart, A. B. Bakker, E. Demerouti & M. van den Heuvel. (2015). Leader-member exchange,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30(7), 754-770. DOI : 10.1108/jmp-03-2013-0088 

  16. S. G. Ha. (2014). The effect of motivation factors on police officers job engagement.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1(3), 359-380. 

  17. C. A. Lee & J. M. Choi. (2019).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maritime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engagement. Korean Review of Organizational Studies, 16(1), 69-99. DOI : 10.21484/kros.2019.4.30.69 

  18. W. S. Lim. (2016).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humor sense on job eng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15(4), 157-180. 

  19. A. B. Bakker & E. Demerouti. (2017). Job demands-resources theory: Taking stock and looking forward.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2(3), 273-285. DOI : 10.1037/ocp0000056 

  20. A. B. Bakker & E. Demerouti. (2008). Towards a model of work engage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3(3), 209-223. DOI : 10.1108/13620430810870476 

  2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7). The using guideline of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Ulsan: Author. 

  22. Eurofound. (2012).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3. E. Choi & G. S. Jeon. (2016).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on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300-310. DOI : 10.5807/kjohn.2016.25.4.300 

  24. S. J. Han & G. H. Na. (2017). The antecedents of public officials' job engagement: Self-efficacy, LMX and organizational justice.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16(4), 191-215. 

  25. E. J. Kwon & S. Y. Kim. (2017).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school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2), 103-112. DOI : 10.15434/kssh.2017.30.2.103 

  26. S. H. Kim. (2018). A study on the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in Korean police officers.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17(2), 3-28. 

  27. J. Siegrist. (1996). Adverse health effects of high-effort/low-reward condi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27-41. DOI : 10.1037/1076-8998.1.1.27 

  28. C. S. Park & K. J. Cho. (2015). Effects of job insecurity and job eng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paramedics i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9(2), 51-69. DOI : 10.14408/KJEMS.2015.19.2.051 

  29. S. J. Ashford, C. Lee & P. Bobko. (1989). Content, cause,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4), 803-829. DOI : 10.5465/256569 

  30. S. W. Yoo.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ethical conditions, ethic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PR practitioners focused on job satisfaction, job engage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perception of PR practitione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7(1), 97-142. DOI : 10.15814/jpr.2013.17.1.97 

  31. C. K. Lee & K. H. Lee. (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ustice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aring the difference based on company size.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Innovation, 29(3), 75-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