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를 중심으로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Job Engagement: Focused on Food & Beverage Departments at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3, 2015년, pp.212 - 231  

권영국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을 고찰하여 결수변수(이직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402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chi}^2=668.894$(p<.001), df=373, CMIN/DF=1.794, GFI=.901, AGFI=.877, NFI=.928, CFI=.967, RMSEA=.044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중 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조직(직무)환경은 종사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여줌으로써 이직의도는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특급호텔 식음료 부서에서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세분화된 내부마케팅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recognition, empowerment, fair rewards, procedural justice(PJ),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and consequence(turnover intention(TI) of job engagement in a super deluxe hotel's F&B departments. Based on a total of 402 use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호텔 식음료 및 외식산업에서 인정과 권한위임이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임을 입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기존의 직무열의 선행연구는 주로 직무특성(자율성)을 중심으로 국한되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호텔 식음료 종사원을 대상으로 인정과 권한위임이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연구의 영역 확장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정과 권한위임이 서비스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적 우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Browning V et al(2009) 중요한 단서를 제시하 였다.
  • 둘째, 이러한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상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직무특성 요인, 사회적(조직) 지원,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 그리고 내·외적 보상 등이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으로 거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조직에서의 상황(특성) 등을 고려하여 인정, 권한위임,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 인식을 선행요인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 1급 호텔 식음료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최종 402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특급호텔 식음료 부서를 중심으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을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은 [Fig.
  • 세부적으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자율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권한 위임과 내·외적 보상요인 그리고 조직공정성, 조직지원인식과 관련된 서비스 조직의 상황(특성) 등을 반영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호텔 서비스기업에서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직무열의가 높은 종사원들로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 적용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한위임이 서비스 환경에서 종사원들의 긍정적인 행동과 태도 및 조직성과를 증대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Quinn RE & Spreitzer GM 1997), 서비스에 대한 정책과 절차를 통제하기 보다는 그들에게 업무상의 재량권(권한과 책임)을 위임하여 리더십을 발휘할 경우, 부하직원들은 높은 수준의 직무열의를 보인다고 역설한 연구들(Jung SH & Tak JK 2013; Ye JE et al 2013; Browning V et al 2009)을 토대로 권한위임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 상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학문적 필요성과 실무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특급호텔 식음료 부서를 대상으로 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련된 연구들은 매우 미흡한 수준이며, 외식산업과 관련하여 일부 제시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종사원 개인의 기질적 특성(자기주도성, 체면민감성)과 직무열의를 연계한 인과관계의 연구들(Lee GO 2014; Oh SK · Yoon HH 2014)이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 1급호텔 식음료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선행요인들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직무열의가 결과변수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 둘째,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부서를 중심으로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관련된 연구는 질적인 수준을 떠나 양적으로도 연구 수 자체가 적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조직의 상황들을 반영하여 직무열의의 선행요인들을 고찰하였고, 그 효과성을 밝혀냄으로써 탐색적인 연구로서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 첫째, 인정(recognition), 권한 위임(empowerment), 공정한 보상(fair rewards), 절차 공정성(procedural justice), 조직지원 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은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인정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의 호텔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는 어떤 유형인가? 최근의 호텔산업은 신규호텔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자신의 역할을 변화시키며 끊임없이 에너지를 쏟아 부어 창의적 성과를 창출하는 종사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Kim MH et al 2014; Ye JE et al 2013; Kahn WA 1990). 이에 따라 서비스 접점에서의 직무활동이 기업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므로 종사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직무관리가 요구된다(Oh SK․Yoon HH 2014; Choi BS․Lee SK 2003).
서비스 기업의 높은 이직률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노력해야 할 것은? 서비스 기업들은 종사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부소통, 보상 등과 같은 내부 마케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호텔의 등장, 경제 침체로 인한 구조조정, 고용계약 조건의 변화는 호텔기업의 인력 누수현상을 야기하여 여전히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Jang SY․Lee HJ 2014). 그러므로 종사원들의 동기 부여를 통해 직무 열의를 높이려는 노력은 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인적자원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종사원의 태도와 행동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조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호텔 조직을 반영한 식음료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를 높이는 최적의 직무환경 및 조직특성을 파악하는 것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이들은 직무 열의의 선행변수로서 직무자원, 직무요구, 직무특성 및 조직공정성, 사회적 지원과 리더십, 보상 등다양한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했으며(Tuckey MR et al 2012; Kwon IS․Choi YK 2011a; Koyuncu et al 2006), 결과변수로는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직무성과와 관련된 주요 변수들을 언급하고 있다(Kim HJ et al 2013).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맥락에서 볼 때, 호텔 조직을 반영한 식음료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를 높이는 최적의 직무환경 및 조직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직무능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이직 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줄이는데 유용한 근거자료 자료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신유근 (1997). 인간존중의 경영. 다산출판사. 서울. 

  2. 이성록 (2003). 자원봉사매니지먼트. 한국자원봉사협의회&지식과 경영. 

  3. 이지우 (2010). 직무열의의 연구 동향과 과제.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43(1):167-191. 

  4. Ahn DH, Park JC (2010). The effects of f & b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related with justice perception on their trust and pro social behavior in the hotel industry. J Food 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3(4): 173-193. 

  5. Agarwal R, Ferratt TW (1999). Coping with labor scarcity in IT: Strategies and practices for effective recruitment and retention. Cincinnati, OH: Pinnaflex. 

  6. Azin T, Zahra KD (2003). Designing and testing a model of antecedents of work engagement. Procedia-Social & Behavioral Sciences 84: 149-154. 

  7. Bowen DE, Lawler EE (1992). The empowerment of service workers: What, why, how, and when. Sloan Management Rev 33(3):31-39. 

  8. Browning V, Edgar F, Gray B, Garrett T (2009). Realiz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HRM in New Zealand service industries. The Service Industries J 29(6):741-760. 

  9. Byun JW, Ko JW (2012). The effects of the lmx quality of super deluxe hotel f&B employees on the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21(6):39-60. 

  10. Cho SB (2006). The effects of hotel restaurants employee's perceived fairness of the rewards on the reliability and the service quality: Focused on the deluxe hotel restaurants employees in seoul. The Tourism Res Association 20(2):279-291. 

  11. Choi BS, Lee SK (2003). A practic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job and satisfaction of job and work place of hotel employees.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2(1):19-34. 

  12. Choi HJ, Jeon US, Woo SC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facilit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non-regular workers in food service industry. Korea Academic Soc Hospitality Adminstration 20(5):127-145. 

  13. Choi YM (2010). A study on volunteer education and recognition upon job satisfaction. J Community Welfare 32:151-183. 

  14. Christian MS, Garza AS, Slaugter JE (2011).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4(1):89-136. 

  15. Davies R (2001). How to boost staff retention. People Management 7:54-56. 

  16. Eby L, Freeman D, Rush M, Lance C (1999). Motivational base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tial test of a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J Occupation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72:463-483. 

  17. Eisenberger R, Fasolo P, Davis L, Mastro V (1990).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s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 Applied Social Psychology 71:500-507. 

  18.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 Applied Social Psychology 71:500-507. 

  19. Folger R, Konovsaky M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 32:115-130. 

  20. Freeney YM, Tierman J (2009). Exploring of the facilitators of and barrierss to work engagement in nursing. J Nursing Studies 46:1557-1565. 

  21. Han JW, Kim IT (2007).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 Business Res 22(3):249-284. 

  22. Hur CY, Park JD (2012). Leader-member ex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military organizations. Korean Academy Human Res Department Management 19(4): 177-203. 

  23. Jang SY, Lee HJ (201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hotel: The mediating role of trust.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23(3):145-164. 

  24. Jeon JA, Kwon BH (2011). The impact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on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n hotel f&b department: focused on the job competenc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4(4):383-404. 

  25. Jeon JK, Lee CW (2001).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the hotel industry.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0(3):169-183. 

  26. Jung HS, Yoon HH (2012). The effects of culinary employees' stress coping style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ina deluxe hotel. The Korean J Culinary Res 18(3):32-45. 

  27. Jung SW, Tak JK (2013).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 on innovative behavior and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and learning organization. Korean J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26(4):533-553. 

  28. Kahn W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 33(4):692-724. 

  29. Kahn WA (1992). To be fully there: psychological presence at work. Human Relations 45(4):321-349. 

  30. Kohn A (1993). Why incentive plans cannot work. Harvard Business Rev 71(5):1-25. 

  31. Kim DI, Lee GH, kim IS (2013).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performance ra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diated by justice perception of hotel cook.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1(4):355-378. 

  32. Kim Hj, Hyun SH, Kim IS (2013).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hotel employee's job demands, job resources, work engagement, self efficacy, and department performance. The Tourism Sciences of Soc Korea 37(8):33-53. 

  33. Kim MH, Kim AH, Song E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trust in leader and OCB of hotel reataurant.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7(2):117-134. 

  34. Kim WD, Chung KY (2010).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leader-men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tel f&b employees.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3(3):241-265. 

  35. Kim YH (2010). The effects of foodservice employee's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The Korean J Culinary Res 16(4):206-219. 

  36. Koyuncu M, Burku RJ, Fiksendaum L (2010). Work engagement among women managers and professionals in a turkish bank: Potenti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Equal Opportunities International 25:299-310. 

  37. Kwon IS, Choi YK (2011a).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s the mediators. J Human Resource Management 18(4):113-133. 

  38. Kwon IS, Choi YK (2011b). A study on the impact of empowerment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 Business Administration 24(4):2415-2437. 

  39. Lee HN, Hur CY, Jang YM (2014). Effect of awaren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e-Business Studies 15(3):235-254. 

  40. Lee GO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iti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gagement on foodservice employee. J Tourism & Leisure Res 26(5):137-154. 

  41. Leiter MP, Maslach C (2004). Areas of worklife: a structured approach to organizational predictors of job burnout. Res in Occupational Stress & Well Being 3:91-134. 

  42. Leventhal GS (1980). What should be done with equity theory?: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fairness in social relationships, in K, S. Gergen, M. S. Greenberg, and R. H. Willis(eds.), Social Exchange: Advance in Theory and Res 27-55. 

  43. Lind EA, Tyler TR (1988).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ew York, Plnum. 

  44. Lockwood N (2007). Leveraging employee eng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HR's strategic role. HRM Res Quality 1(4):1-12. 

  45. Macey W, Schneider (2008). The measuring of employee engagement.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1:3-30. 

  46. Maslach C, Scaufeli WB, Leiter MP (2001). Job burn out. Annual Rev of Psychology 52:397-422. 

  47. Mercer, R (2003). Mercer study raises red flags for employer pay benefit plans. Human Resource Department Management Report 5:8-15. 

  48. Moorman RH (1991).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behavior: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 Applied Psychology 76(6):845-855. 

  49. Oh SK, Yoon HH (2014). The effect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job engagement, job burnout and turnout intention of service employees in the full-serviced restaurant. Korean J Hospitality Adminstration 23(3):61-81. 

  50. Padmakumar R, Gantasala VP (2011). The role of employee engagement in work-related outcomes. Interdisciplinary J Res in Business 1(3):47-61. 

  51. Pare G, Tremblay M (2007). The influence of high-involvement human resources practices,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itizenship behaviors on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turnover intentions.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2(3):326-357. 

  52. Park HS (2007). The influence of compensation justi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personnels. J Korean Acad Nurs Admin 13(4):492-500. 

  53. Pfeffer J, Veiga JF (1999). Putting people first for organizational succes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3(2):37-48. 

  54. Rhoades L, Eisenberger R (200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pplied Psychology 87: 698-714. 

  55. Quinn RE, Spreitzer GM (1997). The road to empowerment: Seven questions every leader should consider. Organizational Dynamics 26(2):37-48. 

  56. Saks AM (2006).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engagement. J Managerial Psychology 21(7):600-619. 

  57. Schaufeli WB, Bakker A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58. Schaufeli WB, Salanova M, Gonzalez R, Bakker A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 Happiness Study 3:71-92. 

  59. Schaufeli WB, Taris TW, Rhenen V (2008). Workaholism, burnout, and work engabement: Three of a kind or three different kinds of employee well-being?"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 57(2):173-203. 

  60. Shim WS, Jeon OK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mediating role of trust type. The Korean J Human Resource Development 8(1):69-98. 

  61. Shore LM, Wayne SJ (1993). Commitment and employee behavior: Comparison of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 Applied Psychology 18(3):219-227. 

  62. Shuck B, Reio TG, Rocco TS (2011). Employee engagement: Examination of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14(4):427-445. 

  63. Turkey MR, Baker AB, Dollard MF (2012). Empowering leaders optimize working conditions for engagement: a multi-level study. J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7(1):15-27. 

  64. Wefalds AJ, Downey RG (2009). The construct dimensionality of engagem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The J Psychology 143 (1):91-112. 

  65. Ye JE, Chi SH, Chin H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investing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meaningfulness. Korean J Business Administration 26(2):435-452. 

  66. Yoo SW (2013). A study on the job engagement and burnout of PR practitioners: application of job demands-resources model. Korean J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y 57(1):335-364. 

  67. Zimmerman RD, Darnold TC (2009).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and the voluntary turnover process: A meta-analysis and path model. Personnel Rev 38(2):142-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