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편과 부인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Smartphone Use Tim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7 no.4, 2019년, pp.473 - 483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권순범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배한진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phones are representative multimedia devices capable of various functions that have emer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has changed the way ICTs media is used; consequnetly, it is expected that smartphones will inf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부 단위의 데이터를 얻기 어렵고, 스마트폰이 개인 단위로 이용되므로 개인 단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부부간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관관계가 스마트폰 이용 패턴은 물론 ICTs 미디어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기본 정보를 줄 것으로 기대하여 부부 단위에서 스마트폰 사용시 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부부 사이에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유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편과 부인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유사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 여부 등 개인의 스마트폰 이용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이용 목적에 따라 남편과 부인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족 단위의 ICTs 미디어 이용을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인 차원의 연구이다. ICTs 미디어의 발달이 급속하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가족이 ICTs 미디어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이용행태가 가족의 의사소통, 기능, 문화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밝히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또한, 가족 단위에서 이루어지던 의류구매, 생필품 구매와 같은 소비 활동 역시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면서 개인 단위의 소비 활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디어환경의 변화 맥락에서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면서 가족 단위의 관련성이 사라지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약 가족 단위의 관련성이 없다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ICTs 미디어가 전통적인 가족의 공유된 생활양식, 특히 가족원간 시간 사용의 관련성을 약화하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 단위의 스마트폰 이용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부부간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족체계이론에 따르면 부부는 서로의 가치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체계로서, 이러한 특성은 스마트폰 이용에도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 한국미디어패널조사는 가구용 설문지와 개인용 설문지를 통해 조사가 이루어지며, 개인용 설문지에는 3일 동안 15분 단위로 기록된 미디어 다이어리가 포함되어 있다. 이 자료는 가구 단위로 미디어 사용시간, 이용 목적 등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부부간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

가설 설정

  • ICTs 미디어의 발전이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의 변화가 가족 구성원의 미디어 사용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가족 단위에서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가족체계이론에서는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며, 가족 고유의 가치와 규범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가족은 가족체계에서 규정한 규범과 가치, 믿음에 맞는 미디어 이용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Jordan, 200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이 기존의 전통적인 미디어와 어떤 측면에서 다른가? 스마트폰으로 인한 변화의 핵심은 미디어 이용이 개인 단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TV, VCR, 게임기 등과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 기기는 가족이 공유하는 미디어임에 비해 스마트폰은 개인이 배타적으로 이용하는 미디어이기 때문에 동영상 시청, 온라인 검색, 게임 등의 여가활동이 개인 단위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가족 단위에서 이루어지던 의류구매, 생필품 구매와 같은 소비 활동 역시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면서 개인 단위의 소비 활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부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어떤 목적일 때 제일 긴가? 연구결과, 부부 모두 여가 및 소비활동 목적보다 소통 목적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한 시간이 더 길었다. 여가 및 소비활동의 하위 항목을 살펴보면 남편과 부인 모두 정보콘텐츠/SNS/상거래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한 시간이 가장 길었으며, 그 뒤로 남편은 게임, 영화/동영상, 부인은 영화/동영상, 게임 순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한 시간이 길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J. A., & Cho, Y. H. (2010). Digital media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7(1), 53-91. 

  2. Beyens, I., & Beullens, K. (2017). Parent-child conflict about children’s tablet use: The role of parental mediation. New Media & Society, 19(12), 2075-2093. https://doi.org/10.1177/1461444816655099 

  3. Carvalho, J., Francisco, R., & Relvas, A. P. (2015). Family function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w do they relate? A literature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5 , 99-108. https://doi.org/10.1016/j.chb.2014.11.037 

  4. Cho, A., & Ko, Y. J. (2013). Effect of media use of young children and maternal mediation on their children’s prosocial skill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12(1), 1-24. 

  5. Coyne, S. M., Padilla-Walker, L. M., Fraser, A. M., Fellows, K., & Day, R. D. (2014). "Media timeFamily time": Positive media use in families with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9(5), 663-688. https://doi.org/10.1177/0743558414538316 

  6. Han, Y. S., & Yoon, S. Y. (2009). The analysis of leisure time use of urban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2), 81-95. 

  7. Jordan, A. B. (1992). Social class, temporal orientation, and mass media use within the family system.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9(4), 374-386. https://doi.org/10.1080/15295039209366840 

  8. Jordan, A. B. (2002). A family systems approach to examining the role of the Internet in the home. In S. Calvert, A. Jordan & R. Cocking (Eds.), Children in the digital age: Influences on electronic media on development(pp. 231-247). Westport, CT: Praeger. 

  9. Jung, Y. (2016). Changes in characteristics and impact of smartphone usage by generation. KISDI STAT Report, 16(6), 1-10. 

  10. Kim, E., Yoon, M., & Kim, L. (2015). The impa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on belief of smartphon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needs of smartphone use as mediating variable. Forum for Youth Culture, 44 , 33-66. http://dx.doi.org/10.17854/ffyc.2015.10.44.33 

  11. Kim, W. C., & Lee, Y. S. (2009). Parental influences on children’s TV watching tim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V watching time. Studies on Korean Youth, 20(1), 29-55. 

  1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8). 2017 Survey on internet usage . Naju: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3. Kwon, S., Bae, H., & Chin, M. (2019). Measuring adolescents'ICTs media use: A comparison of time diary and media diary method. Survey Research, 20(2), 61-83. http://dx.doi.org/10.20997/SR.20.3. 

  14. Lanigan, J. D. (2009). A sociotechnological model for family research and intervention: Ho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ffect family life. Marriage & Family Review, 45(6-8), 587-609. https://doi.org/10.1080/01494920903224194 

  15. Lee, A. R., & Lee, K. Y. (2012).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2), 27-39. 

  16. Lee, H., & Yang, S. M. (2018).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ing styles, psychological traits, and purpose of smartphone use upon Korea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2(5), 175-214. http://doi.org/10.20879/kjjcs.2018.62.5.006 

  17. Ley, B., Ogonowski, C., Hess, J., Reichling, T., Wan, L., & Wulf, V. (2014). Impacts of new technologies on media usage and social behaviour in domestic environment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3(8), 815-828. https://doi.org/10.1080/0144929X.2013.832383 

  18. Lim, J., & Park, G. (2018). 2017 Report on smartphone usage behavior. Seoul: Barun ICT Research Center. 

  19. Mares, M. L., Stephenson, L., Martins, N., & Nathanson, A. I. (2018). A house divided: Parental disparity and conflict over media rules predict children’s outcom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1 , 177-188. https://doi.org/10.1016/j.chb.2017.12.009 

  20. McDaniel, B. T., & Coyne, S. M. (2016). “Technoference”: The interference of technology in couple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women’s personal and relational well-being.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5(1), 85-98. https://doi.org/10.1037/ppm0000065 

  21. Mora, J. D., Ho, J., & Krider, R. (2011). Television co-viewing in Mexico: An assessment on people meter data.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5(4), 448-469. https://doi.org/10.1080/08838151.2011.620905 

  22. Morley, D. (2005). Family television: Cultural power and domestic leisure. London: Routledge. 

  23. Park, S. A., & Park, K. W.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 phon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325-333. http://doi.org/10.5762/KAIS.2017.18.4.325 

  24. Park, S., & Hwang, H. S. (2009). The impact of mobile phone use on intimacy, communication, and equality among married couples. Media, Gender & Culture, 11 , 41-74. 

  25. Pettigrew, J. (2009). Text messaging and connectedness within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rriage & Family Review, 45 , 697-716. https://doi.org/10.1080/01494920903224269 

  26. Roberts, J. A., & David, M. E. (2016). My life has become a major distraction from my cell phone: Partner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romantic partn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4 , 134-141. https://doi.org/10.1016/j.chb.2015.07.058 

  27. Shin, J., Kim, Y., & Oh, Y. (2017). 2017 Korean Media Panel Survey. Jin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8. Son, M. G. (2011). Unpaidwork and leisur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Focusing on statistics from time use survey.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16(1), 1-25. 

  29. Wang, D., Xiang, Z., & Fesenmaier, D. R. (2016). Smartphone use in everyday life and travel. Journal of Travel Research, 55(1), 52-63. https://doi.org/10.1177/0047287514535847 

  30. Westlund, O. (2010). New(s) functions for the mobile: A crosscultural study. New Media & Society, 12(1), 91-108. https://doi.org/10.1177/1461444809355116 

  31. Woo, J. H. (2017). The effect of over-control parenting sty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8), 200-209. http://doi.org/10.5762/KAIS.2017.18.8.200 

  32. Yang, G. S., & Huesmann, L. R. (2013). Correlations of media habits across time, generations, and media modaliti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7(3), 356-373. https://doi.org/10.1080/08838151.2013.816711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