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Device Us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ird Grade: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7 no.4, 2019년, pp.523 - 534  

정은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이현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  이지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이강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media devices, communica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or third grade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아동의 의사소통이 집행기능 곤란과 미디어기기 사용 간의 관계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현재 아동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서 미디어기기 사용이 상당함을 인정하면서, 능동적 존재인 아동의 개인적 특성인 의사소통이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의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거나 완화할 수 있음을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의 관계에 있어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미디어기기 사용에 있어서의 아동 개인적 특성 발달의 중요성을 조명하는데 의의를 지닌다.
  • 본 연구는 기존에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이 미치는 집행기능 곤란을 아동의 개인적 역량인 의사소통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속연구를 통해 개선되어져야 할 몇 가지 주요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와 제안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미디어 과다 사용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아동의 개인적 특성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즉, 아동 개인의 지니고 있는 의사소통에 따라 미디어기기 사용이 미치는 집행기능의 곤란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결국 미디어기기를 사용하는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자체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이용과 집행기능의 관계에 있어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동을 능동적인 존재로 바라보았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미디어기기 사용의 부정적 효과를 조절하는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주목 하였는데, 의사소통이 아닌 아동의 다른 역량 역시 조절효과를 갖는지 여부에 대한 것을 밝힐 필요가 있다. 미디어기기 사용의 부정적 효과를 조절하는 다양한 아동의 역량들의 역할이 인정되어야 비로소 아동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미디어기기 사용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활용의 대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런데 실상은 성인들의 우려 및 간섭에도 불구하고 10대가 되면 아동의 96%가 주 5일 이상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9), 고학년이 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상당히 오래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미 초등학생들이 미디어기기를 충분히 오래 사용하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미디어기기 이용과 관련 있는 집행기능 곤란을 보완하고 조절하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요즘 초등학생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PC, 스마트폰을 포함한 미디어기기를 편하게 이용하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미디어기기 이용, 집행기능 곤란, 의사소통이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와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에 있어 아동의 의사소통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3학년 아동 55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이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미디어기기 이용을 독립변수로, 집행기능 곤란을 종속변수로, 의사소통을 조절변수로 설정하고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가구소득, 부모학력)과 아동의 학업수행 능력을 통제변수로 한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학업수행과 관련된 집행기능을 살펴보고자 할 때, 하위 요인 중 ‘계획-조직화’, ‘행동통제’, ‘정서통제’ 측면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미디어기기 이용이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아동의 의사소통이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를 통해 볼 때, 아동은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의사소통의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은 미디어기기 사용이 가져올 수 있는 집행기능 곤란을 완화한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아동의 의사소통이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에 의한 집행기능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현재 아동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서 미디어기기 사용이 상당함을 인정하면서, 능동적 존재인 아동의 개인적 특성인 의사소통이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의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거나 완화할 수 있음을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의 관계에 있어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미디어기기 사용에 있어서의 아동 개인적 특성 발달의 중요성을 조명하는데 의의를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행기능은 어떤 과정인가? 그런데 최근에 이러한 성취를 이루기 위한 능력으로써 각 아동이 가진 집행기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집행기능은 사고와 행동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인지적 조절과정이다(Maeng, Jeong, & Kwon, 2014). 아동은 학업 수행에 있어서 적절한 자극에 주의를 집중하고 불필요한 행동과 감정을 통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집행기능 곤란과 관련하여 최근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이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집행기능 곤란과 관련하여 최근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이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Oh & Ha, 2014).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인해 미디어 사용에 대한 아동의 접근이 더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학생 스마트폰 보유율은 2017년 기준 초등 저학년생 37.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집행기능 곤란에는 어떤 부작용이 있는가? 또한 Jeon, Hyun과 Chun (2011)은 인터넷 중독은 부정적인 습관이나 행동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전두엽이 관장하는 집행기능의 역기능을 보이는 명백한 병리라고 주장하였다. 이런 미디어기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집행기능 곤란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데, 특히 자기 통제력이 낮은 아동들에게 학업과 관련한 문제가 두드러진다(Shin & Shu, 2006).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학업성적 간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Le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pa, C. (2001).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85-406. https://doi.org/10.1207/S15326942DN2001_5 

  2. Bae, Y. M., & Cho, K. H. (2018).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abi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2(1), 275-295. 

  3. Bai, D. S., Seo, W. S., Koo, B. H., Park, K. S., & Jang, J. E. (2006). The comparison of the executive functions according to subtypes of children with ADHD.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2), 275-299. 

  4. Billieux, J., Deleuze, J., Griffiths, M. D., & Kuss, D. J. (2015). Internet gaming addiction: The case of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Textbook of Addiction Treat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1515-1525. 

  5.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019.x 

  6. Carlson, S. M., Moses, L. J., & Claxton, L. J. (2004).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ory of mind: An investigation of inhibitory control and planning 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7(4), 299-319. https://doi.org/10.1016/j.jecp.2004.01.002 

  7. Cho, Y. (2018). Impact of young children’s smartphone us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school readi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9(4), 13-22. https://doi.org/10.5723/kjcs.2018.39.4.13 

  8. Choi, E., & Song, H.-N. (2013). Development of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children’s self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5), 99-114. 

  9. Choi, J. (2014).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4), 391-410. 

  10. Choi, Y., Son, H., & Ko, Y. (2011, August).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y and it`s relation to executive function.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eounju, Korea. 

  11. Eisenberg, N., Spinrad, T. L., & Eggum, N. D. (2010). Emotion-related self-regulation and its relation to children’s maladjust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 495-525. 

  12. Espy, K. A., McDiarmid, M. M., Cwik, M. F., Stalets, M. M., Hamby, A., & Senn, T. E. (2004). The contribution of executive functions to emergent mathematic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6(1), 465-486. https://doi.org/10.1207/s15326942dn2601_6 

  13. Graziano, P. A., Reavis, R. D., Keane, S. P., & Calkins, S. D. (2007).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in children’s early academic succes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5, 3-19. https://doi.org/10.1016/j.jsp.2006.09.002 

  14. Jeon, H. Y., Hyun, M. H., & Chun, Y. M. (2011). The characteristic of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1), 215-229.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3 

  15. Kaplan, S., & Berman, M. G. (2010). Directed attention as a common resource for executive functioning and self-regulation.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5(1), 43-57. 

  16. Kong, Y. S., & Lim, J. Y. (2013).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Focusing on testing Latzman’s problem behavior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4), 5-24. 

  17. Kim, E. Y., Jang, M. S., Koo, B. H., & Bai, D. S. (2011). A study on externalizing disorder patients group and its executive function deficiency condition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7(3), 59-85. 

  18. Kim, J. M., & Kim, J. (2013).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verbal 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4(3), 289-300. https://doi.org/10.7856/kjcls.2013.24.3.289 

  19. Kim, S. (2018).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and its associations with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9(6), 41-56. https://doi.org/10.5723/kjcs.2018.39.6.41 

  20. Kim, Y. H. (2015). Analysis of children's mobile phone use and usage behavior(Repot No. ISSN 2384-1672). Jin 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1.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22. Koh, S. R. (2014). A study on the awareness of parents about smartphone use by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Childhood Education Review, 4(2), 5-31. 

  2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poor student study on the growth process II (PIM 2019-4). Retrieved May 31, 2019, from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2&boardSeq5035115&lev0&m030204&skice 

  24. Kong, Y. S., & Lim, J. Y. (2013).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Focusing on testing Latzman’s problem behavior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4), 5-24. 

  25. Korkman, M., Kemp, S. L., & Kirk, U. (2001). Effects of age on neurocognitive measures of children ages 5 to 12: A cross- sectional study on 800 children from the United States.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31-354. https://doi.org/10.1207/S15326942DN2001_2 

  26. Kuss, D. J., & Griffiths, M. D. (2012). Internet and gaming addi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Brain Sciences, 2(3), 347-374. https://doi.org/10.3390/brainsci2030347 

  27. Silver, L., Smith, A., Johnson, C., Taylor, K., Jiang, J., Anderson, M., et al. (2019). Mobile connectivity in emerging economies. New York: Author. 

  28. Lee, Y. J., Lee, S. I., Lee, A. R., Bahn, G. H., Choi, T. Y., Kim, J. Y., et al. (2015). Attitudes of psychiatrists towards smartphone us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4(4), 556-563. https://doi.org/10.4306/jknpa.2015.54.4.556 

  29. Lee, D. H. (2009). Executive function: A review for its application to school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2), 123-147. https://doi.org/10.16983/kjsp.2009.6.2.123 

  30. Lee, E., Kim, M., Jeon, H., & Lee, J. (2008). A study on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comprehensive child care service in the Samsung. Seoul: Samsung welfare foundation. 

  31. Lee, J. (2017). Current research trends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8(2), 17-35.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7 

  32. Lee, M. J., & Hong, C. H. (2006). Dimensions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2), 587-602. 

  33. Lee, S. (2014). Analysis of smart phone addiction status and risk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2), 203-212.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2.203 

  34. Lee, S. J., & Moon, H. J. (2013). Effects of self-contro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6), 587-598. https://doi.org/10.5934/kjhe.2013.22.6.587 

  35. Maeng, S. H., Jeong, Y. K., & Kwon, M. K. (2014).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nd its relation to mathematical ability: Scale and graph understanding.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7(1), 95-115. 

  36. Mclaughlin, S. (2006). Introduction to language development. Clift on Park, NY: Thompson Delmar Learning. 

  37. Miyake, A., Friedman, N. P., Emerson, M. J., Witzki, A. H., Howerter, A., Wager, T. D. (2000).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41(1), 49-100. https://doi.org/10.1006/cogp.1999.0734 

  3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9). 2018 smartphone dependence survey report(NIA VI-RSE-C-18060). Retrieved March 28, 2019, from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20876&parentSeq20876 

  39. Novick, J. M., Trueswell, J. C., & Thompson-Schill, S. L. (2005). Cognitive control and parsing: Reexamining the role of Broca's area in sentence comprehension.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5(3), 263-281. 

  40. Oh, S., Lee, E. J., & Kim, Y. T. (2012).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test items of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1(2), 111-135. 

  41. Oh, S. H., & Ha, E. H. (2014).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1), 17-35. 

  42. Park, J., & Song, H. (2016). The efficacy of the planning and organizing focused executive function program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3(1), 159-171. 

  43. Park, M. H., Park, E. J., Choi, J., Chai, S., Lee, J. H., Lee, C., et al. (2011). Preliminary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adolescents based on IQ tests. Psychiatry Research, 190(2-3), 275-281.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1.08.006 

  44. Prutting, C. A., & Kittchner, D. M. (1987). A clinical appraisal of the pragmatic aspects of langu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2(2), 105-119. https://doi.org/10.1044/jshd.5202.105 

  45. Rotzer, S., Loenneker, T., Kucian, K., Martin, E., Klaver, P., Von Aster, M., et al. (2009). Dysfunctional neural network of spatial working memory contributes to developmental dyscalculia. Neuropsychology, 47(13), 2859-2865. https://doi.org/10.1016/j.neuropsychologia.2009.06.009 

  46. Rueda, M. R., Posner, M. I., & Rothbart, M. K. (2005).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attention: Contributions to the emergence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8(2). 

  47. Shin, H. K., & Shu, Y. S. (2006). Study of arguments for and against children’s use of a computer.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2(2), 21-37. 

  48. Song, H. (2014). Validity of child-adolescent self-reporte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creening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1), 121-137. https://doi.org/10.15842/kjcp.2014.33.1.008 

  49. Song, M.-R., & Ha, E.-H. (2014).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2), 193-207. 

  50. Welsh, M. C., & Pennington, B. F. (1988).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3), 199-230. https://doi.org/10.1080/87565648809540405 

  51. Yim, D., Park, W., Kim, S., Han, J., Song, E., Son, J. (2019). An eye-tracking study of picture book reading in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2), 299-316. https://doi.org/10.12963/csd.196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