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천수만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y Freshwater Input in the Cheonsu Bay,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11, 2019년, pp.1005 - 1017  

이승민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장수정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허승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factors and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fore (August 5, 2017), during (August 18 and 25) and after (August 30 and September 15) freshwater inpu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shwater input from Ganwol and Bunam lake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Ch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의 연구가 있다. 본 연구는 천수만에서 여름철 담수 방류에 따른 인위적 환경요인의 변화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간적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담수방류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우점종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담수유입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천수만이, 내만과 하구역의 특성을 갖는 이유는? 황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천수만은 남북으로 길이 35 km, 동서로 폭 10 km, 평균 수심 20 m 내외의 천해성 내만으로 주변 방조제로부터 담수가 유입되어 내만과 하구역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수산 생물들의 보육 및 산란장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물 생산성이 높아 황해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Park et al.
서식중인 플랑크톤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산 A지구 방조제(간월호)는 1983년에 건설되었고, 서산 B지구 방조제(부남호)는 1985년에 건설되었으며, 1999년에 홍성 방조제와 2000년에 보령 방조제가 건설되었다. 여름에 북쪽에 위치한 간월호와 부남호로부터 부정기적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담수로 인해 염분과 영양염 농도에 급격한 변화를 주며, 생활 폐수와 인근 농경지로부터 화학 비료의 유입은 서식중인 플랑크톤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5; Park et al.
천수만이 황해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이유는? 황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천수만은 남북으로 길이 35 km, 동서로 폭 10 km, 평균 수심 20 m 내외의 천해성 내만으로 주변 방조제로부터 담수가 유입되어 내만과 하구역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수산 생물들의 보육 및 산란장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물 생산성이 높아 황해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Park et al., 2006a;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oyer, J. P., Christian, R. R., Stanley, D. W., 1993, Patterns of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Mar. Ecol. Prog. Ser., 97, 287-297. 

  2. Cloern, J. E., Alpine, A. E., Cole, B. E., Wong, R. L. J., Arthur, J. F., Ball, M. D., 1983, River discharge controls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orthern San Francisco bay estuary, Estur. Coast. Shelf Sci., 16, 415-429. 

  3. Jeong, J., 1993, Illustration of the freshwater algae of Korea, Joo, S. P., Academy publishing company, 496. 

  4. Jung, K. Y., Noh, Y. J., Kim, B. J., 2013, Tidal and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central part of Chunsu bay, Yellow Sea,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Jour. of the Kor. Soc. of Oce., 18, 53-64. 

  5. Kim, D. S., Lim, D. I., Jeon, S. K., Jung, H. S., 200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Oce. and Pol. Res., 27, 45-58. 

  6. Lee, D. B., Park, C., Yang, S. Y., Shin, Y. S., 2007,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around the rainy season in Asan bay, Korea, Jour. of the Kor. Soc. of Oce., 12, 337-348. 

  7. Lee, J. K., Park, C., Lee, D. B., Lee, S. W., 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Jour. of the Kor. Soc. of Oce., 17, 95-111. 

  8. Lee, S. W., Park, C., Lee, D. B., Lee, J. K., 2014,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in Cheonsu bay, Korea during the rainy season, Jour. of the Kor. Soc. of Oce., 19, 41-52. 

  9. Lee, T. W., 1989,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Jour. of the Kor. Fis. Soc., 22, 1-8. 

  10. Lee, T. 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 Demersal fish, Jour. of the Kor. Fis. Soc., 29, 71-83. 

  11. Lee, T. W., 1998,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 Pelagic Fish, Jour. of the Kor. Fis. Soc., 31, 654-664. 

  12. Lee, T. W., Seok, K. J.,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our. of the Kor. Soc. of Oce., 19, 217-227. 

  13. Malone, T. C., Crocker, L. H., Pike, S. E., Wendier, B. W., 1988, Influences of river flow on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Mar. Ecol. Prog. Ser., 48, 235-249. 

  14. Omura, T., Iwataki, M., Borja, V. M., Takayama, H., Fukuyo, Y.,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160. 

  15. Park, S. Y., Park, G. S., Kim, H. C., Kim, P. J., Kim, J. P., Park, J. H., Kim, S. Y., 2006a, Long-term chang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Jour. of Env. Sci. int., 15, 447-459. 

  16. Park, H. S., Kang, R. S., Lee, J. H., 2006b,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ominant macrobenthos and the benthic environments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Jour. of the Kor. Fis. Soc., 39, 214-222. 

  17. Parsons, T. R., Maita, Y., Lalli, C. 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 

  18. Schindler, D. W., Kling, H., Schmidt, R. V., Prokopowich, J., Frost, V. E., Reid, R. A., Capel, M., 1973, Eutrophication of lake 227 by addition of phosphate and nitrate: the second, third, and fourth years of enrichment, 1970, 1971, and 1972, Jour. of the fish. Res. Boa. of Canada, 30, 1415-1440. 

  19. Shim, J. H., Ko, C. H., Lee, T. W., Kim, S. J., Park, Y. C., 1988, Marine ecosystem analysis in the Yellow Sea, Korea Science Foundation Report, 246. 

  20. Shim, J. H., Lee, W. H., 1979, On phytoplankton of the Cheonsu bay, west coast, Jour. of the Kor. Soc. of Oce., 14, 6-14. 

  21. Shim, J. H., Shin, Y. G., 1989,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eonsu bay,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Jour. of the Kor. Soc. of Oce., 24, 194-205. 

  22. Shim, J. H., Yeo, H. G., 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Jour. of the Kor. Soc. of Oce., 23, 130-145. 

  23. Shim, J. H., Yun, K. H., 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our. of the Kor. Soc. of Oce., 25, 229-239. 

  24. Shin, Y. G., Shim, J. H., 1990, Relative significance of nanoplankton in Chonsu bay: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chlorophyll and primary productivity, Jour. of the Kor. Soc. of Oce., 25, 217-228. 

  25. Shin, Y. S., Suh, H. Y., Hyun, B. K., 2005, Effect of salinity change on biological structure between primary producers and herbivores in water column, Jour. of the Kor. Soc. of Oce., 10, 113-123. 

  26. Song, T. Y., Yoo, M. H., Lee, I. H., Kim, E. T., Kim, M. O., Choi, J. K., 2014, The effect of hydrology on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its adaptive strategies in lake Hwaseong, estuarine reservoir with seawater exchange, Korea, Kor. Jour. Eco. Env., 47-2, 71-81. 

  27. Ter Braak, C., Smilauer, P., 2002, CANOCO reference manual and cano draw for windows user's guide: software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version 4.5), Microcomputer Power. 

  28. Tomas, C. 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1st ed. Academic press, 858. 

  29. Yoo, S. K., 1962, A Study on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microplankton in the chungcheongnam-do coastal area (Eocheong-do, Cheonsu bay, Gunsan area), Bas. Sur. Rep. Cen. Bal. Bas., 2, 57-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