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폐쇄적인 천수만 해역의 플랑크톤 군집 변화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7 no.2, 2012년, pp.95 - 111  

이재광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박철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이두별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기후연구부) ,  이상우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폐쇄적인 구조의 천수만에서 환경요인과 동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일사량과 수온 그리고 담수 유입에 따른 영양염 공급에 의해 조성변화가 일어났으며, 한 달 이내의 짧은 기간에 서해 연안의 다른 해역에서보다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담수 방류가 겨울철(2월)에는 규조류의 증식에, 여름철(7~8월)에는 표층에 한해서 와편모류의 증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식물플랑크톤 중 규조류 군집은 크기별 천이현상이 관측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은 먹이농도와 수온, 염분에 의해 군집의 구조가 변하고 있었으며, 주성분 분석 결과 계절변화와 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동에 약 32%, 담수방류에 의해 약 17%정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과거 1985-1986년, 1991-1992년과의 비교에서 주요 우점종인 Acartia hongi, Paracalanus parvus sensu lato, Centropages abdominalis는 비슷한 계절별 변동과 조성률을 보였으나 출현양은 과거보다 약 3배 이상 증가하였고, 요각류 이외의 다른 분류군에서는 조성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ationship between plankton assemblag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 semi-closed Chunsu Bay was examined. Temporal changes in phytoplankton assemblage was rather drastic than those found in most Korean coastal area in the Yellow Sea primarily due to the seawater temperature (T) and nutrient inpu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수 방류가 겨울철(2월)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일사량과 수온 그리고 담수 유입에 따른 영양염 공급에 의해 조성변화가 일어났으며, 한 달 이내의 짧은 기간에 서해 연안의 다른 해역에서보다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담수 방류가 겨울철(2월)에는 규조류의 증식에, 여름철(7~8월)에는 표층에 한해서 와편모류의 증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식물플랑크톤 중 규조류 군집은 크기별 천이현상이 관측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은 먹이농도와 수온, 염분에 의해 군집의 구조가 변하고 있었으며, 주성분 분석 결과 계절변화와 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동에 약 32%, 담수방류에 의해 약 17%정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요인들은 무엇인가? 해양생태계의 기초가 되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여러 환경요인들에 의해 시공간적으로 변한다. 해양생태계 내에서 일차 생산을 담당하는 식물플랑크톤은 빛, 영양염, 수온 등과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군집의 구조가 변하며(Reynolds et al., 1983), 염분 변화가 심한 하구역에서는 염분과 계절에 따라 종 조성이 변한다(심 등, 1991; Marshall and Raymond, 1990).
동물플랑크톤은 무엇에 의해 군집구조가 변하는가? , 1983), 염분 변화가 심한 하구역에서는 염분과 계절에 따라 종 조성이 변한다(심 등, 1991; Marshall and Raymond, 1990). 동물플랑크톤은 서식지의 환경, 수온, 염분, 먹이조건 그리고 상위 포식자의 섭식활동 등에 의해 그 군집구조가 변하며, 일차 소비자로서 이들의 섭식(feeding)활동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적 변동과 종 조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Bautista and Harris, 1992; Lee et al., 201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형구, 강용주, 1998. 실험실에서 요각류 Acartia steueri의 성장과 발생. 한국수산학회지, 31: 842-851. 

  2. 김동선, 임동일, 전수경, 정회수, 2005. 한국 서해 천수만의 화학적 수질특성과 부영양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7: 45-58. 

  3. 김창식, 1996. 천수만의 물리적 해양 환경. 충남대학교 해양연구소. 해양연구소 심포지움 논문집, pp. 1-21. 

  4. 국립지리원, 1977. 연안해역 지형측량 보고서. 56 pp. 

  5.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9: 336-375. 

  6. 박동원, 1976. 원격탐사에 의한 서해안 천수만 간척지 지형 연구. 과학기술처 R-76-72, 83 pp. 

  7. 박승윤, 박경수, 김형철, 김평중, 김전풍, 박중현, 김숙양, 2006a. 천수만의 수질환경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5: 447-459. 

  8. 박 철, 이두별, 이창래, 양성렬, 정병관, 2008. 아산만 해역 동- 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3: 308- 319. 

  9. 박 철, 이평강, 양성렬, 2002. 계절별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7: 51-59. 

  10. 박흥식, 강래선, 이재학, 2006b.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 양상과 저서 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9: 214-222. 

  11.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 톤의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26: 181-192. 

  12.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 118-129. 

  13. 서호영, 이인태, 윤양호, 최상덕, 이삼노, 한명일, 김병섭, 강윤호, 이우범, 2002.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 양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 118-129. 

  14. 서호영, 최상덕, 2004. 진해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양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 43-56. 

  15. 신윤근, 심재형, 조준성, 박용철, 1990, 천수만 미세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5: 217-228. 

  16. 심재형, 고철환, 이태원, 김상종, 박용철, 1988. 황해 내만역의 해양생태계 분석. 한국과학재단보고서, 246 pp. 

  17. 심재형, 신윤근, 1989.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14: 194-205. 

  18.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91. 만경강 하류의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24: 45-54. 

  19. 심재형, 여환구, 1988. 천수만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3: 130-145. 

  20. 심재형, 윤구현, 1990. 천수만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와 생산량. 한국해양학회지, 25: 229-239. 

  21. 심재형, 이원호, 1979. 서해 천수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4: 6-14. 

  22. 양은진, 최중기, 2009. 섬모충류에 대한 요각류 Acartia hongi의 섭식: 실험실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31: 265-276. 

  23. 유성규, 1962. 충청남도 연안(어청도, 천수만, 군산지역)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중앙수지 간사지 기본 조사 보고서, 2: 57-72. 

  24. 유정규, 윤석현, 최중기, 2006. 인천 연안에서 요각류 Acartia hongi 춘계개체군 형성의 영향 요인. 학국해양학회지, 11: 108-116. 

  25.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8: 243-250. 

  26.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 절별 군집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7: 149-159. 

  27. 이재학 외 18명, 1992. 연안역 개발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변화 연구 (1차년도). 과학기술처 BSPG 00158-464-3, 93 pp. 

  28. 이창래, 박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1: 1-10. 

  29.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30. 이태원, 최만식, 양성렬, 마채우, 노영재, 박수철, 2011. 천수만해역 환경조사 및 어장 이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충청남도, pp. 91-108. 

  31. 장민철, 장풍국, 신경순, 박동원, 장만, 2004. 광양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 11-29. 

  32. 최중기, 심재형, 1986. 서해 경기만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II.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일시부유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1: 156-170. 

  33. 최상덕, 김영식, 한경호, 1998. 광양만의 동물성 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에 관한연구. 여수대학교 논문집, 13: 959-971. 

  34. 한국전력공사, 1994. 보령(신규)화력 발전소 건설사업 환경영양평가서. 376 pp. 

  35. 현봉길, 신용식, 박 철, 양성렬, 이영준, 2006.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 7-18. 

  36. 황학진, 최중기, 1993. 황해 중동부 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8: 24-34. 

  37. Armbrust, E.V. and S.W. Chisholm, 1992. Patterns of Cell-Size Change in a Marine Centric Diatom-Variability Evolving from Clonal Isolates. J. Phyc., 28: 146-156. 

  38. Bautista, B. and R.P. Harris, 1992. Copepod gut contents, ingestion rates and grazing impact on phytoplankton in relation to size structure of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uring a spring bloom. Mar. Ecol. Prog. Ser., 82: 41-50. 

  39. Calbet A. and E. Saiz, 2005. The ciliate-copepod link in marine ecosystem. Aquat. Microb. Ecol., 38: 157-167. 

  40. Carstensen, J., D.J. Conley and P. Henriksen, 2004. Frequency, composition and causes of summer phytoplankton blooms in a shallow coastal ecosystem, the Kattegat. Lomnol. Oceanogr., 49: 191-201. 

  41. Chan, E.M., A.M. Derry, L.A. Watson and S.E. Arnott, 2008. Variation in calanoid copepod resting egg abundance among lakes with different acidification histories. Hydrobiologia, 614: 275-284. 

  42.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 Kor Fish. Soc., 26: 424-437. 

  43. Engel, M. and H.J. Hirche, 2004. Seasonal variability and inter-specific differences in hatching of calanoid copepod resting eggs from sediments of the German Bight (North Sea). J. Plankton Res., 26: 1083-1093. 

  44. Fileman, E., T. Smith and R. Harris, 2007. Grazing by Calanus helgolandicus and Para-Pusedocalanus spp. on phytoplankton and protozooplankton during spring bloom in the Celtic Sea. J. Exp. Mar. Biol. Ecol., 348: 70-84. 

  45. Glippa, O., S. Souissi, L. Denis, and S. Lesourd, 2011. Calanoid copepod resting egg abundance and hatching success in the sediment of the Seine estuary (France). Estuar. Coast. Shelf Sci., 92: 255-262. 

  46. Lee, C.R. and C. Park, 2002. Long-term variation of zooplankton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Asan Bay, Korea: in it influence of dyke construction?. The Yellow Sea, 8: 9-18. 

  47. Lee, D.B., H.Y. Song, C. Park and K.H. Choi, 2012a. Copepod feeding in a coastal area of active tidal mixing; diel and monthly variations of grazing impacts on phytoplankton biomass. Mar. Ecol.- Evol. Persp. 33: 88-105. 

  48. Lee, J.S., K.H. Kim, J.H. Shim, J.H. Han, Y.H. Choi, and B.J. Khang, 2012b. Massive sedimentation of fine sediment with organic matter and enhanced benthic-pelagic coupling by an artificial dyke in semi-enclosed Chonsu Bay, Korea. Mar. Pollut. Bull., 64: 153- 163. 

  49. Maguer, J.F., S. L'Helguen, M. Waeles, P. Morin, R. Riso, and J. Caradec, 2009.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and nitrogen uptake in response to high nutrient load in the North Biscay Bay in spring. Cont. Shelf Res., 29: 1103-1110. 

  50. Marshall, H.G. and W.A. Raymond, 1990. A comparis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s in three estuarine river of the lower Chesapeak Bay. Estuaries, 13: 287- 300. 

  51. Naess, T., 1991. Marine Calanoid Resting Eggs in Norway-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2 Copepod Species in the Sediment of an Enclosed Marine Basin. Mar. Bio., 110: 261-266. 

  52. Reynolds, C.S., S.W. Wiseman, B.M. Godfrey, and C. butterwick, 1983. Some effects of artificial mixing on the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large liminetic enclosures. J. Plankton Res., 5: 203-234. 

  53. Soh, H.Y. and H.G. Jeong,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 422-427. 

  54. Tseng, L.C., H.U. Dahms, J.J. Hung, Q.C. Chen and J.S. Hwang, 2011. Can different mesh sizes affect the results of copepod community studies?. J. Exp. Mar. Biol. Ecol., 298: 47-55. 

  55. Wang, H.L., B. Q. Huang and H.S. Hong, 2009. Size-fractionated productivity and nutrient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subtropical coastal environments. Hydrobiologia, 352: 97-106. 

  56. Youn S.H. and J.K. Choi, 2007. Egg production of the copepod Acartia hongi in Kyeonggi Bay, Korea. J. Mar Sys., 67: 217-224. 

  57. Zingone, A., R. Casotti, M.R. Dalcala, M. Scardi and D. Marino, 1995. St-Martins summer: The case of an autumn phytoplankton bloom in the Gulf of Naples (Mediterranean Sea). J. Plankton Res., 17: 575-5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