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생태계획 측면에서 농업용저수지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능저하 잠재지역 맵핑 연구
Mapping of Functionally Reduced Potential Area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Terms of Environmental Planning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11, 2019년, pp.1027 - 1032  

염정헌 (국립생태원 습지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ioritized area for the functional change of agricultural reservoir according to the rapid urbanization and social changes through the mapping method. Changwon-si, Gimhae-si, and Jinju-si in Gyeongnam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 considering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업용저수지 주변지역에 대한 유역단위의 시계열적 토지이용 분석을 통해 기능이 저하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지역을 분석함으로써 농업용 저수지의 다목적 활용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90년대 이후에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 단일목적에서 무엇으로 확대되었는가? 농업용저수지는 80년대까지 농업용수 단일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90년대 이후에는 농촌지역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하여 농업용수 공급 단일목적에서 생 공 환경용수를 포함하는 농촌 용수 공급으로 확대되었다(Hong, 2004). 우리나라에 조성된 농업용저수 지는 17,310개 이며(MOLIT, 2016), 상당수의 농업용 저수지는 축조된지 50년 이상으로 대부분이 노후화 되어 있고(Hong, 2004), 소규모인 경우가 많아 가뭄 또는 집중강우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상태이다(Shin and Lee, 2012).
우리나라에 농업용 저수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농업용저수지는 80년대까지 농업용수 단일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90년대 이후에는 농촌지역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하여 농업용수 공급 단일목적에서 생 공 환경용수를 포함하는 농촌 용수 공급으로 확대되었다(Hong, 2004). 우리나라에 조성된 농업용저수 지는 17,310개 이며(MOLIT, 2016), 상당수의 농업용 저수지는 축조된지 50년 이상으로 대부분이 노후화 되어 있고(Hong, 2004), 소규모인 경우가 많아 가뭄 또는 집중강우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상태이다(Shin and Lee, 2012). 이러한 조성 특성에 따라, 농업용저수지 관련 국내연구는 주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과 관련한 홍수량 산정 및 예측, 수문학적 안정성 관련 연구(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 H., Moon, Y. I., 2018, A Study on freeboard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J. Korea Water Resour. Assoc., 51(4), 371-381. 

  2. Han, J. H., Kim, J. H., Lee, S. B., Paek, W. K., 2018, Freshwater fish fauna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s in Jecheon City,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27(3), 307-321. 

  3. Hong, B. M., 2004, Problem and improvement on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for future, 37(4), 29-33. 

  4. Jang, P. W., Song, C. S., Park, Y. K., Woo, C. W., Won, J. Y., 1997, Studies on structural degrad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Kyungki Province, J. Korean Soc. Agric. Eng., 39(4), 90-97. 

  5. Jee, Y. K., Lee, M. S., Lee, J. H., Jang, J. H., 2012,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down -stream river of heightening irrigation dam through the reservoir operation, Kor. J. hydrosciences, 45(9), 929-941. 

  6. Kim, D. M., Jo, H. J., Choi, G. Y., Jo, M. J., Chung, S. W., 2016,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35(2), 31-36. 

  7. Lee, J. J., Rhee, K. H., Park, J. S., Han, C. W., Jin, W. G.,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for hydrological safety on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4), 403-411. 

  8. Lee, J. W., Kim, J. U., Jung, C. G., Kim, S. J., 2018, Forecasting monthly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and estimantion of Reservoir Drought Index (RDI) using meteorological data ba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3), 19-34. 

  9. Lee, K. S., Yoon, K. S., Kim, H. J., Kim, H. I., 2003, A Program of water quality management for agricultural reservoirs by trophic state, Kor. J.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 166-171. 

  10. Maeng, S. J., Kim, H. S., Jeong, J. H., Kim S. W., 2014, Analysis on hydrologic st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according to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0(2), 105-115. 

  1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http://egis.me.go.kr/map/map.do?typeland. 

  12.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water resources in Korea, MOLIT, Sejong, Korea. 

  13. Park, J. S., Rhee, K. H., Lee, J. J., Shim, C. S., Jin, W. G., Hu, S. Y., 2015, Develop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model for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2), 130-138. 

  14. Shin, E. C., Lee, J. K., 2012, Safety management improving way of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J.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11(3), 53-58. 

  15. Shin, E. C., Shin, C. G., Ryu, J. M., Lee, J. K., 2013, Determin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checklist by analysis of the weights, J.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12(3), 81-86. 

  16. Ward, J. H., 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8, 236-244. 

  17. Yang, I. S., Cho, J. H., 2014, Study of formation of rural theme parks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emphasis on rural theme parks in Gwangju and Jeonna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11), 109-1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