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양 상운사 석불좌상과 조선 전기 조각 양식의 전통과 모색
The Stone Buddha Statue of Sangunsa Temple at Bukhansan in Goyang,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2 no.4, 2019년, pp.246 - 263  

심영신 (숭실대학교 사학과)

초록

본고는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 상운사 석불좌상에 대한 연구로, 이 작품은 15세기 후반에 조성된 완성도 있는 석불상의 예로 주목된다. 불상 하부에는 1497년에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묵서명도 함께 전하고 있어 자료적인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유존하는 조선 전기 석불상이 귀한 상황에서 상운사 석불좌상은 우수한 조각 작품으로서의 역사성 및 미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최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 석불좌상의 형식과 양식을 분석하여 15세기 조선 전기 불상으로서의 미술사적 가치를 구명하였다. 상운사 석불좌상은 육계와 정상계주의 형식, 대의 착의법과 옷 주름의 표현 방식, W자 모양으로 약간 늘어진 가슴, 앙복련의 단순한 연화대좌 등에서 고려의 양식을 이은 전형적인 15세기 불상의 조각적 특징을 보여준다. 여기에 허리가 길어진 장신의 표현은 당시 명으로부터 영향받은 새로운 양식이며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생략된 것은 향후의 조각 양식을 예고하는 새로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머리의 가르마라든가 내의 위로 늘어진 나뭇잎 모양의 짧은 자락은 상운사 석불좌상만의 독특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고대부터 사찰이 운영되어온 명산 북한산에는 1711년 도성 방비를 위해 산성이 축성되고 산성의 수비와 관리를 위해 승영사찰이 건립되었다. 30년간 팔도도총섭을 지낸 성능은 1745년 지은 『북한지』에서 이 사찰들의 현황을 전하면서 상운사는 승장 회수가 133칸 규모로 창건하였다고 적었다. 1813년의 <상운사극락전중창기> 및 이를 전하는 『봉은본말사지』(1943)에 의하면 상운사의 원래 이름은 노적사로, 1722년 승장 회수가 창건하였으며 1745년 상운사로 개칭하였다. 그런데 상운사 천불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발원문과 개금기에 의하면 1713년 상운사의 이름은 노적사였고, 1730년 개금 시의 사명은 상운사, 화주는 회수로 기록되었다. 이에 18세기 초반으로 알려져 있는 상운사의 초창 시기는 상운사 석불좌상의 조성 연대와 부합하지 않아 본고에서는 상운사의 연혁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재검토하고 불상의 조성지를 살펴보았다. 상운사에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석탑 1기가 유존하므로 상운사의 역사를 고려시대까지 올려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상운사 석불좌상은 사찰 인근에서 채취한 석재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상운사가 조선 초에도 운영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북한지』 등에서 언급한 회수가 관여한 133칸 규모의 상운사는 초창이 아니라 중창의 결과로 볼 수 있고, 중창 이전의 이름은 노적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one Buddha statue of Sangunsa Temple at Bukhansan in Goyang, Gyeonggi Province, is an excellent example of ston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late 15th century. On the base of the figure, there is an inscription, which informs that it was produced in 1497. In recognition of this significance,...

주제어

표/그림 (34)

참고문헌 (56)

  1. 高麗史 

  2. 奉恩本末寺誌 

  3. 北漢誌 

  4. 藥師如來念誦儀軌 

  5. 朝鮮王朝實錄 

  6. 竹坡遺集 

  7.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2018,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1 

  8. 경기문화재단, 2011, 북한산 조사연구 자료집 

  9. 국립중앙박물관, 2010, 고려불화대전 

  10. 국립중앙박물관, 2018,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 

  11. 權相老 編, 1979, 韓國寺刹全書 下, 東國大學校出版部 

  12.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불교문화재 발굴조사단, 1999, 北漢山의 佛敎遺蹟 북한산 불교유적 지표조사보고서 

  13. 敦煌文物硏究所, 1987, 中國石窟 敦煌莫高窟 III, 北京: 文物出版社/東京: (株) 平凡社 

  14. 동국대학교박물관, 2006,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 소장품 도록 

  15.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조선시대편 II 

  16. 진정환.강삼혜, 2005, 조형미의 극치 석조미술 국립중앙박물관 명품선집 14, 국립중앙박물관 

  17. 최성은, 2013,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일조각 

  18. 韓國美術硏究所, 1996, 高麗時代의 佛?, 시공사 

  19.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1983, 韓國漢詩選集三 - 昭代風謠/風謠續選 韓國漢詩叢書, 亞細亞文化社 

  20. 김광희, 2014, 무위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삼존상 연구 불교미술사학 18 

  21. 김창균, 1999, 북한산지역의 불전과 불교미술 北漢山의 佛敎遺蹟 북한산 불교유적 지표조사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불교문화재 발굴조사단 

  22. 文明大, 1983,朝鮮前期 彫刻樣式의 硏究 (1) 梨花史學硏究 314 

  23. 문명대, 2007, 왕룡사원의 1466년작 木 阿彌陀佛坐像 연구 강좌미술사 28 

  24. 문명대, 2011, 조선 전반기 불상 조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강좌미술사 36 

  25. 朴桃花, 1997, 朝鮮前期 佛敎版?의 硏究, 東國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6. 손영문.노윤상, 1999, 북한산 불적의 현황 北漢山의 佛敎遺蹟 북한산 불교유적 지표조사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불교문화재 발굴조사단 

  27. 申元植, 2017, 朝鮮前期 藥師如來圖 硏究, 東國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8. 엄기표, 2004, 檜巖寺址의 石造浮屠와 塔碑에 대한 考察 문화사학 21 

  29. 유근자, 2011, 조선 전반기 불상조각의 조성기 분석을 통한 조성배경 연구 강좌미술사 36 

  30. 柳麻理, 1982, 水鍾寺 金銅佛龕佛?의 考察 美術資料 30 

  31. 윤기엽, 2014, 북한산성의 승영사찰 - 사찰의 역할과 운영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5 

  32. 이경화, 2005, 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竝立像의 造成時期와 背景 - 成化7年 造成說을 제기하며 불교미술사학 3 

  33. 이분희, 2013, 金山寺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考察 - 탑 안에 봉안된 불상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15 

  34. 임영애, 2016,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불좌상의 새로 발견된 "명문"과 "양식" 문제 신라문화 47 

  35. 장충식, 1978, 景泰七年 佛象腹藏品에 대하여 考古美術 138.139 

  36. 전민숙, 2017, 무량사 오층석탑의 구조분석과 원형 추정 불교미술사학 24 

  37. 정성권, 2017, 조선전기 석조불상 연구 - 편년과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24 

  38. 鄭恩雨, 2001, 高麗前期 金銅菩薩像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28.229 

  39. 정은우, 2007,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려중기 금동보살입상 불교미술 18 

  40. 정은우, 2010, 고려 중기 불교조각에 보이는 북방적 요소 미술사학연구 265 

  41. 정은우.유대호, 2017,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의 특징과 제작시기 미술사논단 45 

  42. 정재훈, 1999, 북한산성의 사원 및 사지의 보존과 복원에 대하여 北漢山의 佛敎遺蹟 북한산 불교유적 지표조사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불교문화재 발굴조사단 

  43. 최선일, 2004, 高陽 祥雲寺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과 彫刻僧 進悅 미술사학연구 244 

  44. 최은령, 2007, 韓國의 乾漆佛像 硏究 불교미술사학 5 

  45. 崔聖銀, 2002, 朝鮮初期 佛敎彫刻의 對外關係 강좌미술사 19 

  46. 최성은, 2019,삼각산 僧伽寺 석조승가대사상 小考 普照思想 49집 

  47. 崔素林, 2000, 黑石寺 木造阿彌陀佛坐像 硏究 - 15世紀 佛像樣式의 -理解 강좌미술사 15 

  48. 崔永順, 1998, 印度.中國.韓國의 古代菩薩服食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許亨旭, 2017, 韓國 古代의 藥師如來 信仰과 圖像 硏究, 弘益大學校 博士學位論文 

  50. 洪思俊, 1973, 無量寺五層石塔 解體와 組立 考古美術 第117號 

  51. 황인규, 2016, 조선후기 의승군과 북한산성 승영사찰 북한산성 연구논문집, 경기학연구센터 

  52. 고양시, 2008, 

  53. http://www.cha.go.kr 

  54. http://www.heritage.go.kr 

  55. http://art.nelson-atkins.org 

  56. http://www.ggbn.c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