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 변화 추정에 관한 연구
Change Prediction of Forestland Area in South Korea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4, 2020년, pp.42 - 51  

곽두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기본법 10조에 명시되어 있는 산림자원 및 임산물 수급의 장기전망을 통한 제6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지의 정의는 산지관리법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산림 조성, 생산, 관리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미래 산림자원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미래의 산지면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향후 계획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대극대화 이론에 근거한 임업부가가치, 농업소득, 인구밀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지스틱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미래의 산지면적, 농지면적, 도시 및 기타지의 면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산지면적은 2026년까지 약 6,300천ha로 줄어들어 현재 대비 약 34천ha의 감소분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후 2027년부터는 반등을 시작하여 6,470천ha로 늘어나 약 172천ha의 증가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산지면적의 증가는 임업부가가치의 증가와 관련이 있고, 농지면적의 증가는 농업소득의 증가, 그리고 도시 및 기타지의 증가는 인구밀도의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산지면적의 주된 증가원인은 한계효과와 탄성치가 큰 인구밀도의 감소로 밝혀졌는데, 이는 저출산으로 인해 절대인구가 2032년부터 감소함에 따라 산지면적의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면적의 증가분은 도시 및 기타지에서 산지로 전환되는 면적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 주변 지역의 인구 공동화 현상과 지방 소도시의 소멸 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산지의 증가를 산지관리 차원에서 살펴보면, 증가되는 산지면적은 지목상 임야 이외의 토지로부터 편입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사후 산지관리법상의 산지로서 관리되기 위해서는 산림 관련 법령의 정비는 물론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pport the 6th forest basic planning by Korea Forest Service as predicting the change of forestland area by the transition of land use type in the future over 35 years in South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upcoming forestland area change for future forest plan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국가 규모의 장기적 토지이용 변화패턴을 추정하는데 적합하고, 독립변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 이용변화와 관련된 변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가 이항(binomial)이 아닌 다항(multinomial) 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로지스틱 회귀모델이 아닌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Hong, 2005), 미래 2050년까지 전국 단위의 산지, 농지, 도시 및 기타지의 상호 변화를 추정함으로써 제6차 산림기본계획을 위한 산지면적 변화 전망을 함으로써 향후 산지 및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거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국토의 총면적에서 공유지 면적(국유림, 공유림) 과사유림 시업 제한지 면적을 제외한 토지면적을 산지, 농지, 도시 및 기타용지로 구분하였으며, 공유지 면적과 사유림 시업 제한지 면적을 제외한 이유는 이들 면적은 공공목적을 위해 다양한 법률과 제도에 따라 용도가 지정되고 관리되기 때문에 면적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 산지면적 변화 장기전망을 위한 미래 예측 자료 중 농업소득은 2015년 농업소득을 고정시켜 2050년까지 지속된다고 가정하였고, 임업부가 가치는 단기임산물 총생산액과 목재 총생산액 전망치로 산출된 값을 이용하였다. 또한 인구밀도는 통계청의 인구추계 보고서 자료 중 인구 성장 중위 가정에 따른 인구밀도 예측치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S. 2008. How Feasible is Carbon Sequestr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Costs of Sequestering Carbon in Forest.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41(1):89-109. 

  2. Ahn, S., A.J. Plantinga, and R.J. Alig. 2001. Historical Trends and Projections of Land Use for the South-Central United States. Res. Pap. PNWRP-530.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0pp. 

  3. Ahn, S., A.J. Plantinga, and R.J. Alig. 2002. Determinants and Projections of Land Use in the South Central United States. Sou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26(2):78-84. 

  4. Ahn, S., Plantinga, A.J. and R.J. Alig. 2000. Predicting Future Forestland Area: A Comparison of Econometric Approaches. Forest Science 46(3):363-376. 

  5. Alig, R.J. 1986. Econometric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Forest Acreage Trends in the Southeast. Forest Science 32(1):119-134. 

  6. Appianing, C.B., N. Kongchouy and O. Thinnukool. 2016. Land Use Change and Development Modeling Using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 11(7):1676-1681. 

  7. Berkhoff, K. and S. Herrmann. 2009. Modeling Land Use Change: A GIS Based Modeling Framework to Support Integrated Land Use Planning(NabanFrame). In: Advances in GIScience.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309-328. 

  8. Clarke, K.C., S. Hoppen and L.J. Gaydos. 1997, A Self-Modifying Cellular Automata Model of Historical Urbanizatio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4(2):247-261. 

  9. Hardie, I.W. and P.J. Parks. 1997. Land Use with Heterogeneous Land Quality: An Application of an Area Base Model.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9(2):299-310. 

  10. Hong, S.H. 2005. Binomia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Kyoyookbook. Paju. Republic of Korea, pp.1-141. 

  11. Hu, Z. and C.P. Lo. 2007. Modeling Urban Growth in Atlanta Using Logistic Regress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1(6): 667-688. 

  12. Joo, R.W., Jeong, B.H., Lee, S.Y., Kim, C.S., Bae, J.S., Lee, K.H., Kim, K.H., Kim, J.J., Park, C.W., Han, S.Y., Kim, U.K., K. Choi and Y.C. Yoon. 2007. Historical Trends and Long-term Projections for Forest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07-19. Seoul, Republic of Korea. 229pp. 

  13. Kim, J.H. 2002. An Analysis of Land Use Change in the Urban Fringe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in Ko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3:175-200. 

  14. Kim, O.S., Ahn, S., Yoon, J.H., S.J. Bin and K.H. Kim. 2015. Development of Integrated Land-Use Model to Support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Part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pp.1-119. 

  15. Kline, J.D. and R.J. Alig. 2001. A Spatial Model of Land Use Change for Western Oregon and Western Washington. Res. Pap. PNW-RP-528.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4pp. 

  16. Korea Forest Service.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Republic of Korea. 

  17. Lee, Y.J. and S.J. Kim. 2007. A Modified CA-Markov Technique for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Chang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7(6D):809-817. 

  18. Mitsova, D., W. Shuster and X. Wang. 2011. A Cellular Automata Model of Land Cover Change to Integrate Urban Growth with Open Space Conservation. Landscape Urban Plan 99(2):141-153. 

  19. Seo, H.J. and B.W. Jun. 2017.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2(1):123-141. 

  20. Verburg, P.H. and K.P. Overmars. 2009. Combining Top-Down and Bottom-Up Dynamics in Land Use Modeling: Exploring the Future of Abandoned Farmlands in Europe with the Dyna-CLUE Model. Landscape Ecology 24(9):1167-1181. 

  21. Verburg, P.H., Soepboer, W., Veldkamp, A., Limpiada, R., V. Espaldon and S.S.A. Mastura. 2002.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Regional Land Use: The CLUE-S Model. Environmental Management 30(3):391-405. 

  22. Wolfram, S. 1984. Computation Theory of Cellular Automata.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96(1):15-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