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Prediction of Land-Use Change based on Urban Growth Scenario in South Korea using CLUE-s Mode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3, 2016년, pp.75 - 88  

이용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조영현 (한국수자원공사 수문기상협력센터)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해 한반도의 시공간적인 미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한 CLUE-s 모형의 입력 자료로 2008년 환경부 토지이용도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에서 1980년부터 2011년까지 5년 간격의 토지이용 통계 자료를 구축하였다.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개(수역, 시가지, 논, 밭, 산림, 초지)로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토지 변화요소(Driving Factor)와 특별토지이용 정책 자료로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 지도를 적용하였다. 시나리오 예측 결과는 각 도별로 2008년의 토지피복 통계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시가지를 대상으로 한 실측값과의 오차율은 경기도(9.47%), 강원도(9.96%), 충청북도(10.63%), 충청남도(7.53%), 전라북도(9.48%), 전라남도(6.92%), 경상북도(2.50%), 경상남도(8.09%)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은 미래 도시성장을 수학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모형 내에서 조정된 성장률과 국가 정책으로 인한 실제 성장률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100년의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결과 시가지는 2008년에 비해 28.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논, 밭, 산림은 각각 8.27%, 6.72%, 1.6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used the CLUE-s model to predict the future land-use change based on the urban growth scenario in South Korea. The land-use maps of six classes (water, urban, rice paddy, upland crop, forest, and grass) for the year 2008 were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 지도를 활용해 특별토지이용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해 한반도의 시공간적인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였다. CLUE-s 모형은 환경변화, 토지이용정책 및 사회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여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을 위해 WAMIS로부터 구축한 과거 토지이용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미래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를 산정하였다.
  • CLUE-s 모형을 활용한 기존의 선행 토지이용 변화 연구들은 소규모 및 중규모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과거 토지이용변화 면적을 기준으로 선형외삽을 실시하여 추정하였으나, 이는 미래의 토지이용 정책반영을 고려하지 않은 연구로 국한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과거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적용한 본 연구의 미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회귀식의 모의 정확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환탄성 계수가 0과 1사이의 값일 경우 무엇을 나타내는가? 0의 변환탄성 계수는 한 장소에서 현재 토지이용이 제거되고 동시에 다른 장소에서 이 토지이용이 할당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은 한개 셀 중 한 개 토지이용에 대해 동시에 다른 토지이용이 전혀 추가가 되거나 제거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0과 1사이의 값은 토지이용 변화가 허용되지만 높은 값일수록 1의 의미와 가까워짐을 나타낸다. 변환행렬은 각 토지간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0과 1로 구분한 것으로서 0일 경우 토지이용 간 변화가 되지 않고, 1일 경우는 변화가 가능한 것임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현재 토지이용현황의 특성을 파악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도시화율이란 무엇인가? 도시화율은 전체 인구 중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중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도시가 되어가는 정도(도시화)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도시화율의 증감을 통해 한 나라의 도시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가늠해볼 수 있으며, 각 시기별 도시화율을 이으면 그 나라의 도시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토지 이용 변화에 대해 공간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토지 이용 변화에 대해 공간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Cellular Automata(CA) 기법 (Yun and Park, 2008), Markov Chain 기법, CA와 Markov Chain이 결합된 기법, CLUE-s (Conversation of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모형을 이용한 기법이 있다. 이 중 Markov 기법은 GIS 데이터를 연산하여 현재 토지이용의 변화된 경향을 잘 예측하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변화하더라도 전이 확률이 항상 일정하고 모든 위치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단점이 있으며(Kim and Lee, 2007), CA 기법 또한 시계열 자료의 변화양상을 공통적으로 적용시켜 인접격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토지 이용정책이나 사회 경제적 요인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S.R., C.H. Jang, J.W. Lee and S.J. Kim. 2015.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for an urbanizing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3):567-577 (안소라, 장철희, 이준우, 김성준. 2015. 기후변화와 토지 이용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3):567-577). 

  2. Cho, M.R. 2003. Trend and prospect of urbanization in Korea: reflections on Korean cities. Economy and Society 60: 10-39 (조명래. 2003. [특집]도시화의 흐름과 전망-한국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 경제와 사회 60:10-39). 

  3. Han, W.S., S.J. Jeong, and B.S. Kim. 2015. The analysis method of future flooding discharge considering climate and land -use change using Dyna-C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6):361-371 (한우석, 정세진, 김병식. 2015. Dyna-CLUE를 이용한 기후 및 토지 이용변화를 고려한 미래 홍수 유출 분석 방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5(6):361-371). 

  4. Jung, M.H. and I.B. Bang. 2014. Present condition of and prospect for domestic golf course industry.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8(1):47-55 (정문현, 방인백. 2014. 국내 골프장 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골프학회지 8(1):47-55). 

  5. Kim, D.J., E.S. Im, and S.J. Kim. 2011. Land use change prediction based on urban policy scenario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p. 21-22 (김대종, 임은선, 김상조. 2011. 도시정책 시나리오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예측 연구. 국토연구원. pp.21-22). 

  6. Kim, M.H., S.H. Han, J.S. Joh, and T.W. Kim. 2013. KREI outlook of the agricultural econom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31 (김명환, 한석호, 조재성, 김태우. 2013. 2013년 상반기 KREI 농업경제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31). 

  7. Kim, S.J. and Y.J. Lee. 2007. The effect of spatial scale and resolu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using CA-Markov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10(2):57-69 (김성준, 이용준. 2007.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CA-Markov 기법에 의한 미래 토지이용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57-69). 

  8. Kim, W.S., K.H. Yun, J. Heo, and S. Jayakumar. 2008. The expectation of the land use and land cover using CLUE-S model and Landsat images.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1):33-41 (김우선, 윤공현, 허준, 자야쿠마. 2008. CLUE-S 모델과 시계열 Landsat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 (1):33-41). 

  9. Kwon, Y.W. 2002. Interpreting the city; an urban geographical approach. Parkyoungsa. South Korea, pp.143-144 (권용우. 2002. 도시의 이해. 박영사. 대한민국, 143-144쪽). 

  10. Lee, D.K., D.H. Ryu, H.G. Kim, and S.H. Lee. 2011. Analyzing the future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for the region of Yangpyeong-gun and Yeojugun in Korea with the Dyna-CLUE model.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6):119-130 (이동근, 류대호, 김호걸, 이상혁. 2011. Dyna-CLUE 모델을 이용한 양평?여주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및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4(6):119-130). 

  11. Lee, Y.J. and S.Y. Kim 2007. A modified CA-Markov technique for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 (6D):809-817(이용준, 김성준. 2007. 미래 토지이용변화 예측을 위한 개선된 CAMarkov 기법의 제안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6D):809-817).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2014 Statistics of urban planning. p.12 (국토교통부. 2015. 2014 도시계획 현황 통계 발표. 도시정책과. 12쪽). 

  13. Oh, Y.G., J.Y. Choi., S.H. Yoo, and S.H. Lee. 2011. Prediction of land-cover chang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31-41 (오윤경, 최진용, 유승환, 이상현. 201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토지피복변화 예측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역 특성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6): 31-41). 

  14. Park, J.H., S.H. No, and G.S. Lee. 2013. Outlook analysis of future dis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using CA-Markov technique based on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25-39 (박진혁, 노선희, 이근상. 2013. GIS 기반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량 전망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25-39). 

  15. Park, J.Y., M.J. Park, H.K. Joh, H.J. Shin, H.J. Kwon, R. Srinivasan and S.J. Kim. 2011. Assessment of MIROC3.2 hires climate and CLUE-s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using SWAT. Transactions of the ASABE, 54 (5):1713-1724. 

  16. Park, J.Y., M.S. Lee, Y.J. Lee and S.J. Kim. 2008.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2B):187-197 (박종윤, 이미선, 이용준, 김성준. 2008.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토지이용변화가 수문-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 (2B):187-197). 

  17. Ryu, J.C., K.H. Ahn, M.D. Han, H.S. Hwang, J.W. Choi, Y.S. Kim and K.J. Lim. 2014.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CLUE-S model for spatio-temporal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n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4):418-428 (류지철, 안기홍, 한미덕, 황하선, 최재완, 김영석, 임경재. 2014. 오염총량관리제의 시공간적 미래 토지이용 변화분석을 위한 CLUES 모델의 적용 및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30(4):418-428). 

  18.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p.28 (통계청. 2011. 장래인구추계: 2010-2060 (2010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p.28). 

  19. Veldkamp, A. and L.O. Fresco. 1996. CLUE-CR: an integrated multi-scale model to simulate land use change scenarios in Costa Rica. Ecological modeling 91:231-248. 

  20. Verburg, P.H., G.H.J. De Koning, K. Kok, A. Veldkamp, J. Bouma. 1999. A spatial explicit allocation procedure for modeling the pattern of land use change based upon actual land use. Ecological modeling 116(1):45-61. 

  21. Verburg, P.H., W. Soepboer, A. Veldkamp, R. Limpiada. V. Espaldon, and S.S. Mastura. 2002. Modeling the spatial dynamic of regional land use: the CLUE-S model. Environmental Management 30(3):391-405. 

  22. Yun, J.M. and J.M. Park. 2008. Research about growth model's auto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1):1-9 (윤정미, 박정우. 2008. 도시성장모형의 시뮬레이션 자동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