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업 종업원들의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for Employees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Focus on the Mediating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2, 2020년, pp.58 - 73  

김혜나 ,  윤경희 (이화여자대학교) ,  엄재근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금융 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이 조직 몰입 및 직무 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특별히 조직몰입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몰입이 직무만족과,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매개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금융 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 조직 몰입 및 직무 만족간에는 서로 관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조직몰입이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금융산업에서 조직몰입을 위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 변화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성과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프로그램 구축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조직내 신뢰 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앞으로 질적연구를 통한 금융기업 종업원들과 관련한 요인을 도출하는 한편 다른 업종에 속한 기업들과의 분석 결과와의 비교 등을 통하여 보다 심도있는 관련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education and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In particular, the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별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수익성에 대한 더욱 큰 불확실성이 커져가고 있는 우리나라 금융기업에서 종업원들의 조직 몰입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 몰입이 직무 만족과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금융업의 경영환경에 적용가능한 실무적인 교훈을 찾고 코로나 시대에 불확실성에 더욱 직면한 한국 금융기업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금융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한국 금융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 조직 몰입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별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수익성에 대한 더욱 큰 불확실성이 커져가고 있는 우리나라 금융기업에서 종업원들의 조직 몰입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 몰입이 직무 만족과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금융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한국 금융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 조직 몰입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별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수익성에 대한 더욱 큰 불확실성이 커져가고 있는 우리나라 금융기업에서 종업원들의 조직 몰입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 몰입이 직무 만족과 교육훈련, 인재우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금융업의 경영환경에 적용가능한 실무적인 교훈을 찾고 코로나 시대에 불확실성에 더욱 직면한 한국 금융기업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R. M. Steers and L. W. Porter, "The role of task-goal attributes in employee performance," Psychological Bulletin, Vol.81, No.7, pp.434-452, 1974. 

  2. J. D. Hawley and J. K, Barnar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training transfer: A case study of the nuclear power indust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8, No.1, pp.65-80, 2005. 

  3. P. E. Spector,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Sage, 1997. 

  4. H. M. Weiss, "Deconstructing job satisfaction: Separating evaluations, beliefs and affective experi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2, No.2, pp.173-194, 2002. 

  5. A. M. Sak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engagemen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No.7, pp.600-619, 2006. 

  6. D. Katz and R. L. 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1978. 

  7. 오선희, 전인,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이 인적자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0권, 제2호, pp.111-133, 2016. 

  8. 김민경, 나인강,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047-2064, 2012. 

  9. 김성환. "인적자원개발제도,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관계: 조직수준의 학습문화의 매개효과 검증,"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3호, pp.119-128, 2014. 

  10. 최호규, 이영구,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이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0권, pp.87-104, 2008. 

  11. 임상호, 장석인, 배성필, 최창호, 이용선,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제42권, 제1호, pp.85-91, 2017. 

  12. 문영만,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임금, 직무만족도, 이직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pp.103-133, 2019. 

  13. Y. Park and S. Kwon, "The effect of employee train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ambidexterity innov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40, No.4, pp.373-384, 2020. 

  14. 이영구, 임명재, "관광종사원의 인적자원개발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영향요인 비교," 경영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47-69, 2011. 

  15. J. M, Werner and R. L. DeSimone, Human Resource Development, Cengage Learning, 2012. 

  16. H. Aguinis and K. Kraiger, "Benefit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for individuals and teams, organizations, and socie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60, No.1, pp.451-474, 2009. 

  17. P. N. Blanchard and J. Thacker, Effective Training, Pearson, 2013. 

  18. L Badillo Amador, and L. E. Vila, Education and skill mismatches: Wage and job satisfaction conseq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Vol.34, No.5, pp.416-428, 2013. 

  19. L. H. Nishii and B. Schneider, "Employee attributions of the "why" of HR practices: Their effects o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Vol.61, No.3, pp.503-545, 2008. 

  20. M. B. Shuck, T. S. Rocco, and C. A. Albornoz, "Exploring employee engagement from the employee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HRD,"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Vol.35, No.4, pp.300-325, 2011. 

  21. R. J. Burke and D. S. Wilcox,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employee performance review and development interviews," Personnel Psychology, Vol.22, No.3, pp.291-305, 1969. 

  22. R. S. M. Lau and M. E. May, "A win-win paradigm for quality of work life and business performa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49, No.3, pp.211-226, 1998. 

  23. 최세경, 강정애, "커뮤니케이션, 팀 공유감과 팀 학습유효성," 대한경영학회지, Vol.26, No.2, pp.311-332, 2013. 

  24. M. C. Kernan and P. J. Hanges, "Survivor reactions to reorganiza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rocedural,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5, pp.916-928, 2002. 

  25. D. N. Den Hartog, C. Boon, R. M. Verburg, and M. A. Croon, "HRM,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 cross-level test," Journal of Management, Vol.39, No.6, pp.1637-1665, 2013. 

  26. 김현경, 강수돌,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405-433, 2015. 

  27. V. Slotte, P. Tynjala, and T. Hytonen, "How do HRD practitioners describe learning at work?,"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7, No.4, pp.481-499, 2004. 

  28. 송건섭, 나병선, "인적자원관리 구성요소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간의 인과관계,"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3권, 제1호, pp.327-350, 2014. 

  29. W. C. Sharbrough, S. A. Simmons, D. A. Cantrill, "Motivating language in industry: It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superviso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43, No.4, pp.322-343, 2006. 

  30. D. Ball, P. S. Coelho, and A. Machas,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trust in explaining customer loyal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38, No.9/10, pp.1272-1293, 2004. 

  31. S. P. Brown and T. W. Leigh, "A new look at psychological climate and its relationship to job involvement, effor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4, pp.358-368, 1996. 

  32. 배수현, 최수정,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 직무스트레스, 조직커뮤니케이션 및 직무 만족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6호, pp,1-19, 2016. 

  33. 김은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과직무몰입 및 서비스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료분석학회, 제17권, 제2호, pp.883-896, 2015. 

  34. 정현우, "중소기업의 핵심인재우대정책과 관리제도가 인적자원의 경쟁력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32권, 제3호, pp.153-172, 2013. 

  35. 김진우, 신만수,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제도가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제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제23권, 제3호, pp.61-92, 2019. 

  36. 김미숙, 배성윤, 서보민, "종합병원 여성근로자의 조직몰입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와 성취욕구의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7권, 제2호, pp.311-325, 2014. 

  37. J. Gilley, S. Eggland, A. M. Gilley, and A. Maycunich,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ic Books, 2002. 

  38. 이갑두, "전략과 핵심인재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4호, pp.2541-2564, 2011. 

  39. 전동화, 정동섭, "핵심인재관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경쟁전략 및 기술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제30권, 제4호, pp.315-338, 2011. 

  40. B. S. Chakravarthy, "Measuring strategic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47, No.5, pp.437-458, 1986. 

  41.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41, No.1, pp.61-89, 1991. 

  42. 임진혁, 권혁, 박성희, "벤처중소기업 노동자의 일자리 만족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비교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187-215, 2018. 

  43. C. N. Halaby, "Worker attachment and workplace author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1, No.5, pp.634-649, 1986. 

  44. 천명환, "교육참여자 특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394-403, 2016. 

  45. J. E. Mathieu and D. M. Zajac,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108, No.2, p.171, 1990. 

  46. 김수, 이태식, 함상우, "리더 신뢰성이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 공정성 및 리더 개방성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3호, pp.463-499, 2018. 

  47. 강인주, 정철영,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권, 제2호, pp.149-175, 2015. 

  48. T. L. Leap and M. D, Crino, Personnel/human resource management. Macmillan, 1993. 

  49. 주영하, 선민정,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7호, pp.153-164, 2018. 

  50. 김승곤, 설현도, "팩토리얼 서베이 기법을 이용한 직무만족 선행요인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권, 제4호, pp.221-246, 2018. 

  51. 김종연, 이건희, "근무시간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30권, 제4호, pp.471-492, 2015. 

  52. 추교원, 정재헌, "증권회사 지점 종사자의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직무몰입, 고객지향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5호, pp.476-499, 2000. 

  53. 강명희, 김부희, 유영란, 임현진,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충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13권, 제2호, pp.111-135, 2011. 

  54. 김소희, 소효정, "상사의 피드백 의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피드백 추구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4호, pp.813-840, 2018. 

  55. 신은주, 조영득, 조현철, "금융 사무원의 여가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9권, 제2호, pp.1-10, 2015. 

  56. 곽묘묘, 오현성, 전윤식, 이강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pp.217-237, 2018. 

  57. 석봉인, 한문성, "리더-구성원 간 교환관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팀웍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55-178, 2016. 

  58. 이영희, "교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동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3권, 제4호, pp.29-48, 2005. 

  59. 김병화, 호텔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0. 이은용, 박수진, 이수범, "기내승무원의 교육훈련과 자기개발 인식이 자긍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내 항공사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제8권, 제4호, pp.77-92, 2006. 

  61. 박주완, 이성, "제조업 교육훈련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산업교육연구, 제33권, pp.53-74, 2016. 

  62. J. Singh, "Performanc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rontline employees in service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4, No.2 pp.15-34, 2000. 

  63. 조상만, "호텔 종사원의 교육훈련이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2권, 제3호, pp.239-260, 2000. 

  64. 이건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신뢰, 그리고 조직 몰입: 지식창출의 효과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21권, 제4호, pp.65-87, 2017. 

  65. 김기흥, 서문교, 권인수, "지속가능 인적자원관리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제21권, 제4호, pp.25-54, 2018. 

  66. C. Camelo-Ordaz, J. Garcia-Cruz, E. Sousa-Ginel, and R. Valle-Cabrera, "The influe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in Spain: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2, No.7, pp.1442-1463, 2011. 

  67. 주영주, 김동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기업문화개방성, 인재우대가 미치는 조절효과," 산업혁신연구, 제29권, 제1호, pp.109-129, 2013. 

  68. 박진수, 이성희, "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관리직 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제37권, 제2호, pp.157-163, 2019. 

  69. L. W. Porter, R. M. Steers, R. T. Mowday, and P. V. Boulia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9, No.5, pp.603-609, 1974. 

  70. E. G. Lambert, S. Pasupuleti, T. Cluse-Tolar, M. Jennings, and T. Baker,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social work and human service work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exploratory study,"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30, No.3, pp.55-74, 2006. 

  71. J. E. Mathieu, "A cross-level nonrecursive model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No.5, pp.607-618, 1991. 

  72. 임동호,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1-38, 2012. 

  73.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976. 

  74. L. J. Williams and J. T. Haze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turnover models: A reanalysis using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No.2, pp.219-231, 1986. 

  75. 조경호, "조직변화에 대한 중간직 공무원의 인식과 경험,"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pp.601-619, 1995. 

  76. 김진미, 호텔종사원의 자아상태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7. 김명수, 장춘수, "Authentic Leadership 이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제1호, pp.101-125, 2012. 

  78. 김기영, 고미애, "호텔 종사원의 교육훈련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4호, pp.347-359, 2013. 

  79. 김지영, 김성혜, 조아로, "조직 초기진입자가 인식한 조직문화와 조직특성이 무형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제21호, 제1호, pp.67-92, 2019. 

  80. 김동주, 유병홍, "인적자원개발제도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구성원의 역량, 인식 및 태도의 역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권, 제4호, pp.29-57, 2012. 

  81. 김문준, 김노사, 노유진,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조직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산업진흥연구, 제2권, 제1호, pp.15-29, 201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