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질환 회복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인식: "함께하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변화"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Perception on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An Ongoing and Steady Change Together"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3, 2020년, pp.344 - 355  

남경아 (한림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진주혜 (한국교통대학교 보건생명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overy has a growing influence on policy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aning of recovery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Methods: Using a descriptive qualitativ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참여자가 병원 환경이 아닌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맥락에 있었으므로 연구자는 참여자 모집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K도와 G도에 위치한 일부 정신건강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가나 자조 모임의 장에게 본 연구에 대해 구두로 소개하고 연구설명문을 제공하였다. 전문가가 일하는 기관이나 센터 내 게시판, 정신질환자나 가족의 자조 모임의 블로그 공지 사항 등을 이용하여 연구책임자의 연락처가 포함된 연구 참여 모집안내문을 게시할 수 있도록 협조 요청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이 인식하는 정신질환 회복의 개념적 의미를 조사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개인적, 관계적, 환경적 차원에 따른 회복 개념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특히 관계적 차원에서 환자가 속한 가족 내 구성원, 그리고 공식적, 비공식적 모임 내 환우들에게 회복 가능한 대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가 처한 사회적 상황에서 회복에 관한 일상의 경험에 가치를 두고 그들이 회복에 부여하는 의미를 확인하며, 그러한 의미 과정 맥락에 연구자의 해석을 통합시키고자 하는 구성주의적 관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철학적 입장에 따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을 회복하는 것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적 실체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심리학, 사회학 분야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제분석을 통한 질적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 주제인 ‘점진적인 긍정의 영향’이 이를 뒷받침 한다. 본 연구에서 회복에 대한 가족 참여자의 의견을 보충함으로써 환자의 정신질환 회복에 있어서 가족이 실제 어떻게 서로 간에 유대감을 갖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가정 밖 자조 모임 등의 소사회에서 선배 환우들로부터 힘을 받고 또 후배 환우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으로 도움이 오고 갔다면, 가정 내에서는 환자가 가족으로부터 힘과 에너지를 받아 정신질환 회복과정을 긍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을 포함하여 지역사회 거주 기반의 정신질환자가 인식하는 회복 개념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환자가 자신의 병을 바로 알고, 굳은 의지로 희망을 향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변화된 ‘나’를 발견하는 것이 회복이라고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이 인지하는 정신질환 회복의 개념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회복과정에 있는 환자와 그 가족이 인지하는 정신질환 회복 개념의 구체적인 내용은 어떠한가?’이다.
  • 또한 회복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환자 본인이 선택한 공동체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치유와 변화의 여정이라 정의된다는 점에서[18] 정신질환자의 주관성, 환경 맥락, 삶의 과정 경험이 핵심이므로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으로부터 회복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환자와 그 가족이 말하는 정신질환 회복의 개념적 실체를 조사하고자 한다.
  • 이는 가족을 정신질환자의 회복 틀 내에 함께 위치시키려는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계획한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의 일환이었다. 즉, 환자의 의견에 가족의 의견이 통합적으로 더해져서 정신질환으로부터의 회복이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풍성히 확보하고자 시도하였다. 한편 연구자는 회복을 정신 증상이 없어지거나 기능이 좋아지는 임상적 결과가 아니라 증상이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되고 과도한 증상 없이 지내는 시간이 증가하며, 미래에 대하여 희망을 품게 되는 극히 개별적인 과정[19]이라는 견해에 동의하였다.
  • 첫째, 연구자는 본 연구의 개념 현상에 심층적으로 접근하고자 회복에 대한 문헌을 다수 읽는 것을 시작하였다. 코딩 진행에 따라 주제 생성 및 결과를 해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료수집과 분석 순환 과정 중 후반부참여자 3명으로부터의 검증(member checking)을 거쳤고 코드와 주제 생성 시 추상화 과정을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수행하고자 노력하여 신뢰성(credibility)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과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밝힘으로써 추후 유사 주제로 같은 방법론을 적용할 때 타 연구자가 참조할 수 있으므로 신인성(dependability)이 어느 정도 보장된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G, Ha KH. A study on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reform for deinstitutionalized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ocial Welfare Policy. 2016;43(3):31-57. 

  2. Lee SH, Bae BJ. Nursing service R&D strategy based on policy direction of Korean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1):67-79. 

  3. Park IH. The review of the 2016 amended Korean mental health promotion ac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inclus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2016;17(1):209-79. 

  4. Jeon SM. Development of an alcoholism recovery scale based on the recovery paradigm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4. 163 p. 

  5. Onken SJ, Craig CM, Ridgway P, Ralph RO, Cook JA.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and elements of recove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007;31(1):9-22. https://10.1111/10.2975/31.1.2007.9.22 

  6. Brookes N. Phil Barker: Tidal model of mental health recovery. In: Tomey AM, Alligood MR, editors.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6th ed. St Louis, MO: Mosby; 2006. p. 696-725. 

  7. Bedi H, Andermann L, Chow W, Law S. Assessment of caregiver experiences and psycho-educational needs of Chinese families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a pilot study. University of Toronto Medical Journal. 2015;92(3):66-71. 

  8. Rowe J. Great expectati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role of family carers in severe mental illness, and their relationships and engagement with professional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19(1):70-82. https://10.1111/j.1365-2850.2011.01756.x. 

  9. Waller S, Reupert A, Ward B, McCormick F, Kidd S. Family-focused recovery: perspectives from individuals with a mental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9;28(1):247-255. https://doi.org/10.1111/inm.12528 

  10. Maybery D, Reupert A. A family-focused, recovery approach when working with families when a parent has a history of mental health problems: from theory to practice. In: Santo JC, Cutcliffe JR, editors. Europea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in the 21st century: a person-centred evidence-based approach. Cham: Springer; 2018. p. 283-291. 

  11. Bradshaw W, Armour MP, Roseborough D. Finding a place in the world: the experience of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Qualitative Social Work. 2007;6(1):27-47. https://doi.org/10.1177/1473325007074164 

  12. Ellison ML, Belanger LK, Niles BL, Evans LC, Bauer MS. Explication and definition of mental health recovery: a systematic review.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2018;45(1): 91-102. https://doi.org/10.1007/s10488-016-0767-9 

  13. Mueser KT, Corrigan PW, Hilton DW, Tanzman B, Schaub A, Gingerich S, et al.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a review of the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2002;53(10): 1272-1284. https://doi.org/10.1176/appi.ps.53.10.1272 

  14. Barker P, Buchanan-Barker P. The tidal model of mental health recovery and reclamation: application in acute care setting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010;31(3): 171-180. https://doi.org/10.3109/01612840903276696 

  15. Jacobson N, Greenley D. What is recovery? a conceptual model and explication. Psychiatric Services. 2001;52(4): 482-485. https://doi.org/10.1176/appi.ps.52.4.482 

  16. Kim HJ. Meaning of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findings of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4):379-389. 

  17. Yeo KD, Song KS, Lee MH. Recovery of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2;19(1):46-54. 

  18.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National consensus statement on mental health recovery.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06 February. Report No.: SMA-05-4129. 

  19. Anthony WA.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setting some system level standard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000;24(2):159-168. https://doi.org/10.1037/h0095104 

  20.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06;3(2):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21. Guba EG.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1981;29(2):75-92. https://doi.org/10.1007/BF02766777 

  22. Resnick SG, Fontana A, Anthony F. Lehman AF, Rosenheck RA. An empirical conceptualization of the recovery orientation. Schizophrenia Research. 2005;75:119-128. https://doi.org/10.1016/j.schres.2004.05.009 

  23. Dalum HS, Pedersen IK, Cunningham H, Eplov LF. From recovery programs to recovery-oriented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experiences when facilitating a recovery-oriented rehabilitation program.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15;29(6):419-425. https//doi.org/10.1016/j.apnu.2015.06.013 

  24. Lietz CA, Lacasse JR, Hayes MJ, Cheung J. The role of services in mental health recovery: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service experiences among individuals diagnosed with serious mental illness. Journal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2014;5(2):161-188. https://doi.org/10.1086/675850 

  25. Noiseux S, Ricard N. Recovery as perceived by people with schizophrenia, family memb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 grounded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8):1148-62.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7.07.008 

  26. Schon UK.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a gender perspectiv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0; 24(3):557-64.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9.00748.x 

  27. Hunt MG, Stein CH. Valued social roles and measuring mental health recovery: examining the structure of the tapestry.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012;35(6): 441-446. https://doi.org/10.1037/h0094577 

  28. Cohen AN, Drapalski AL, Glynn SM, Medoff D, Fang LJ, Dixon LB. Preferences for family involvement in care among consumer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Psychiatric Services. 2013;64(3):257-263. https://doi.org/10.1176/appi.ps.201200176 

  29. Topor A, Borg M, Mezzina R. Sells D, Marin I, Davidson L. Others: the role of family, friends, and professionals in the recovery proces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2006;9:17-37. https://doi.org/10.1080/15487760500339410 

  30. David DH, Rowe M, Staeheli M, Ponce AN. Safety, trust, and treatment: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for women who are homeless. Women & Therapy. 2015;38(1-2): 114-127. https://doi.org/10.1080/02703149.2014.9782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