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소도시의 생활SOC 결핍지역 추출 연구 - 전라북도 익산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Living SOC Deficient Areas in Small and Medium Cities Using Big Data - Focused on Iksan-si, Jeollabuk-do -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2 no.4, 2020년, pp.43 - 50  

한다혁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동우 (전남대학교 건축토목공학과) ,  이민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deficiency areas as basic data of policies and projects in the future Living SOC introduction and planning. In order to extract living SOC deficient areas, accessibility data for living SOC and density data for main users by facility were overlapped, foc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시하였다. 또한 생활SOC 시설별 주이용자를 설정하고 접근성과 주 이용자 데이터를 중첩하여 생활SOC 결핍지역을 추출하고자 한다. <Table 7>.
  • 단순한 시설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성이 아닌 주 이용자들의 밀도 분포를 동시에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결핍 지역 추출이 가능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맥락에서 생활SOC 결핍지역을 추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전체가 아닌 도심지역 내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실제 사업에 적용 가능한 결과를 도출해 낼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중소도시인 전라북도 익산시를 대상으로 생활 SOC 결핍지역 추출을 위해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생활SOC 지표를 중심으로 생활SOC 접근성 데이터와 시설별 주이용자 밀도 데이터를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첩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생활SOC 접근성을 파악하고, 시설별 주이용자 밀도지표를 활용하여 결핍 지역을 추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생활SOC 도입 및 계획 시 유지· 관리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여건(이용수요, 유휴시설 등)을 고려한 생활SOC를 공급하는 정책 및 사업의 기초데이터로서 활용에 목적이 있다.
  • 중소도시 생활SOC 연구에서는 생활SOC 공급에 따른 법정리별 유형화를 실시하여 지역별 특성을 도출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주요이용자 분포 특성에 따른 향후 생활SOC 우선공급 지역 추출의 기반을 마련해줄 연구이다. 생활SOC공급 연구에서와 같은 구 단위가 아닌 도시전체 및 지역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소도시 전체에 대한 연구이다<;Table 3>.
  • 투입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SOC를 의미하는 ‘토목사업’ 중심의 대규모 인프라 구축이 아닌 국민들의 삶에 밀착되어 있는 시설군에 대한 투자를 통해 개개인의 삶의 질과 일자리를 확충하는데 목적이 있다.
  • 추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생활SOC 도입 및 계획 시 유지· 관리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여건(이용수요, 유휴시설 등)을 고려한 생활SOC를 공급하는 정책 및 사업의 기초데이터로서 활용에 목적이 있다.
  • 익산시 도시기본계획 상 생활SOC 지표와 밀접한 복지환경 / 위락환경 지표를 살펴보았다. 복지환경 지표는 교육, 사회복지, 의료보건으로 구분되며, 위락환경 지표는 문화체육시설로 구분된다.
  • 익산시 전체에 대한 마을단위 생활SOC의 접근성을 살펴보았다. 익산시 도시화지역을 중심으로 도서관 접근성을 살펴본 결과 용안면, 여산면, 금마면, 삼기면, 왕궁면이 약 5km-10km의 접근 거리로 나타나 도서관 접근성이 낮게 나타나고, 함열읍, 황등면, 왕궁면(2), 춘포면, 도심지역은 약 500m-2.
  • 중소도시 생활SOC 연구에서는 생활SOC 공급에 따른 법정리별 유형화를 실시하여 지역별 특성을 도출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주요이용자 분포 특성에 따른 향후 생활SOC 우선공급 지역 추출의 기반을 마련해줄 연구이다. 생활SOC공급 연구에서와 같은 구 단위가 아닌 도시전체 및 지역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소도시 전체에 대한 연구이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강우석, 기초생활인프라시설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광진구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 국무조정실 생활SOC추진단, 생활SOC 3개년계획(안) (2020-2022), 2019. 

  3. 양지환, 기초생활인프라 최저기준에 따른 보은군의 생활인프라 시설 충족도 분석 및 유형화,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4. 조은희, 남지현,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지역별 특성 연구: 경기도 생활SOC 현황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5), 2019. 

  5. 국토정보플랫폼, http://map.ngii.go.kr/mn/mainPage.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