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주파 특성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화재 대피 안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Characteristics of High Frequency and a Smart Phone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4 no.10, 2020년, pp.1376 - 1383  

전유진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  전연수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  염춘호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 대피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실내공간에서 대피자의 위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실내에서 대피자 위치 파악에 고주파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 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특성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피자 위치 인식 기술 및 화재 대피 안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전체 시스템은 앱 서버, 위치 인식부, 대피경로 탐색 및 출력부, Wi-Fi통신 기반의 스피커 출력부를 포함해 개발했으며, 화재 상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화재 시 고주파를 활용한 대피자 위치 감별을 사용하는 화재 대피 안내시스템의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studies on fire evacuation systems are increasing, studies on the evacuation of evacuees in indoor spaces ar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latest research,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use of high frequency might be effectiv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evacuees indoors. Accordingl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실내에 존재하는 장치를 최대한 활용하며, 대피자의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대피시스템을 제시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주파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음성 데이터를 얻은 결과에 대해 고주파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하여 대피자가 존재하는 구역을 도출해내는 시스템을 개발해서 실내 대피자의 위치를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해 인식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서버, 위치 인식부, 대피경로 탐색 및 출력부, Wi-Fi 통신 기반의 스피커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모의 실험하여 제안하는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현실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반영해 화재 대피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기존 실내 재난 대피 연구들의 추가 장치를 설치해야만 현실에 적용 가능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추가적인 센서 설치 없이 기존 건물에 설치된 장치인 스피커와 스마트폰만을 사용한 방식의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대피자의 스마트폰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며 대피자 관점의 실질적인 정보 제공의 정확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는 대피자 위치 파악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 위치 파악을 위한 신호 검출은 고주파를 감지하고 분류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위치 인식 부가 앱 서버의 파일 저장소로부터 음성신호와 각 범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패턴 정보를 읽어온다.
  • 또한, 화재 시 효과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장치 설치를 위한 비용이 들어 당장에 모든 건물에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화재 시 장치 손실로 인해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실내에 존재하는 장치를 최대한 활용하며, 대피자의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대피시스템을 제시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주파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음성 데이터를 얻은 결과에 대해 고주파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더욱이 재난 시 고주파를 활용하는 기존 연구에서는 현실 화재 상황에 대한 음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실 화재 상황과 유사한 음성 데이터 취득 후 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는 화재 상황 시 고주파를 이용한 대피자 위치 감별을 포함한 화재 대피 안내시스템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를 활용하여 대피자가 존재하는 구역을 도출해내는 시스템을 개발해서 실내 대피자의 위치를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해 인식하고자 한다. 이후 실제 화재 상황과 유사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고주파 감지 성능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 화재 상황에서 고주파 대역의 음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거리별 고주파와 노이즈 송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주파 감지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 D. Lim, J. J. Kim, D. E. Hong, and H. K. Jung, "Deep learning based optima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 case of structure fire disast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3, no. 11, pp. 1371-1376, Nov. 2019. 

  2. Y. G. Yun, N. M. Kim, J. H. Choi, J. H. Park, D. H. An, and Y. G. Kim, "Study on trend analysis of indoor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2, no. 2, pp. 130-135, Jun. 2016. 

  3. H. V. Chung, T. W. Kim, and Y. M. Chung, "Design of emergency evacuation guiding system with serially connected multi-channel speaker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of Korea SP, vol. 48, no. 4, pp. 142-152, Jul. 2011. 

  4. Y. W. Kim, D. H. Kim, H. Y. Kwak, and H. D. Park, "A study of fire shunt guidance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1, no. 11, pp. 1547-1554, Nov. 2008. 

  5. J. G. Kwon and Y. S. Roh, "The shelter course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3, no. 5, pp. 237-246, Sep. 2008. 

  6. B. M. Lee, J. I. Park, and U. G. Ka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automatic disaster an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7, pp. 141-152, Aug. 2012. 

  7. B. C. Hyun, Y. G. Yun, Y. H. Park, and Y. G. Kim, "Study on the direction detection based on audible and non-audible signals using smart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3, no. 1, pp. 51-58, Mar. 2017. 

  8. H. K. Kim, "A atudy of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9, pp. 18-23, Sep. 2017. 

  9. J. H. Kim and S. W. Choi, "Hand gesture classification using inaudible frequenc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3, no. 10, pp. 1664-1669, Oct. 2018. 

  10. V. Filonenko, C. Cullen, and J. D. Carswell, "Indoor positioning for smartphones using asynchronous ultrasound trilateration,"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vol. 2, no. 3, pp. 598-620, Jun. 2013. 

  11. D. I. Kim, J. A. Jeong, S. C. Park, J. Y. Go, and C. H. Yeo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timal evacuation route through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in case of fir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96-110, Mar.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