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 제품 실증을 위한 수면-각성 평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leep-Wake Assessment for Substantiation of Sleep Product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7 no.2, 2020년, pp.51 - 55  

이유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면의학센터) ,  김다정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면의학센터) ,  이하영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면의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면산업의 발전을 위해 수면제품 실증의 국내외사례와 평가 방법들에 대해 리뷰해 보았다. 국외에는 실증을 위한 회사나 단체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제품을 검증하려고 하고 있지만 기관에 따라 다소 다른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고, 표준화된 실증가이드가 확립되지는 않고 있었다. 국내의 경우는 객관적인 실증을 포함하는 평가는 사실상 전무하였다. 수면제품 실증을 위한 수면-각성 평가의 평가는 제품 자체에 관한 전문가 평가 및 사용자의 효과성 평가가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 대상 평가는 주관적, 객관적 수면-각성 평가 및 일주기 리듬 평가 방법이 활용될 수 있겠다.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무작위 배정법, 대조 용품 활용법, 교차실험설계 등의 디자인도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validation of sleep products for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leep industry. Foreig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trying to verify products relatively systematically for demonstration purposes, but they are using d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고 있다. 다만, 제품에 대한 테스트 과정과 제품권장 사항을 결정을 내리는 방법에 대해 가능한 한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단에서는 회사와의 재정적 관계가 재단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는다고 표방하고 있다.
  • 하지만, 국내에서는 다양한 수면제품을 실증하기 위한 시스템이 부재하고, 유효성 검증 방법에 대한 표준화는 전 무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면제품의 유효성을 실증하기 위한 해외의 사례를 알아보고, 국내의 현실에서 수면-각성 평가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면산업의 발전을 위해 수면제품 실증의 국내외사례와 평가 방법들에 대해 리뷰해 보았다. 국외에는 실증을 위한 회사나 단체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제품을 검증하려고 하고 있지만 기관에 따라 다소 다른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고, 표준화된 실증가이드가 확립되지는 않고 있었다.
  • 대상자가 1~2주일 동안 작성한 수면일기의 수면지표들을 평균하여 입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 수면 효율 등을 평가하게 된다. 설문지 기반 수면평가는 대상자가 수면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을 읽고 응답하는 설문지들로 구성되며, 이 또한 대강 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수면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다. 설문지의 평가 목적에 따라 평가항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수면제품을 실증하기 위한 실험 디자인으로는 대조 용품과의 비교를 위한 무작위 배정, 교차 설계 방법 등이 있다. 제품 평가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 및 해당 제품 분야의 전문가들의 리뷰 및 의견, 대표성 있는 소비자의 제품 리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논문에서는 수면제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평가 위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의료기관 수면검사실을 통해 제품의 과학적 검증을 하는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해 보고자 한다.
  • 제품 평가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 및 해당 제품 분야의 전문가들의 리뷰 및 의견, 대표성 있는 소비자의 제품 리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논문에서는 수면제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평가 위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의료기관 수면검사실을 통해 제품의 과학적 검증을 하는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박정우. 침구류 제품 산업동향. 201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2. Amagai Y, Ishikawa S, Gotoh T, Kayaba K, Nakamura Y, Kajii E. Sleep duration an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events in a Japanese population: the Jichi Medical School cohort study. J Epidemiol 2010;20:106-110. 

  3. Bailey SL, Heitkemper MM. Circadian rhythmicity of cortisol and body temperature: morningness-eveningness effects. Chronobiol Int 2001;18:249-261. 

  4. Benloucif S, Guico MJ, Reid KJ, Wolfe LF, L'Hermite-Baleriaux M, Zee PC. Stability of melatonin and temperature as circadian phase markers and their relation to sleep times in humans. J Biol Rhythms 2005;20:178-188. 

  5.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6.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7. Douglass AB, Bornstein R, Nino-Murcia G, Keenan S, Miles L, Zarcone VP Jr, et al. The sleep disorders questionnaire. I: creation and multivariate structure of SDQ. Sleep 1994;17:160-167. 

  8. Duffy JF, Rimmer DW, Czeisler CA. Association of intrinsic circadian period with morningness-eveningness, usual wake time, and circadian phase. Behav Neurosci 2001;115:895. 

  9. Gangwisch JE, Malaspina D, Boden-Albala B, Heymsfield SB. Inadequate sleep as a risk factor for obesity: analyses of the NHANES I. Sleep 2005;28:1289-1296. 

  10. Gottlieb DJ, Punjabi NM, Newman AB, Resnick HE, Redline S, Baldwin CM, et al. Association of sleep time with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Arch Intern Med 2005;165: 863-867. 

  11. Griefahn B, Robens S. The cortisol awakening response: a pilot study on the effects of shift work, morningness and sleep duration. Psychoneuroendocrinology 2008;33:981-988. 

  12. Hasan S, Santhi N, Lazar AS, Slak A, Lo J, von Schantz M, et al. Assessment of circadian rhythms in humans: comparison of realtime fibroblast reporter imaging with plasma melatonin. FASEB J 2012;26:2414-2423. 

  13. Hoddes E, Dement W, Zarcone V.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Stanford sleepiness scale (SSS). Psychophysiology 1972;9:150. 

  14. Horne JA, Ostberg O.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 J Chronobiol 1976;4:97-100. 

  15. Jeon HJ, Bang YR, Yoon IY. A validation study on three screening questionnaire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Korean community sample. Sleep Breath 2019;23:969-977. 

  16. Jeong HS, Jeon Y, Ma J, Choi Y, Ban S, Lee S, et al. Validation of the Athens Insomnia Scale for screening insomnia in South Korean firefighters and rescue workers. Qual Life Res 2015;24:2391-2395. 

  17. Korean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http://kssc.kostat.go.kr. 

  18. Lee JH, Kim SJ, Lee SY, Jang KH, Kim IS, Duffy J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in adults aged 20-39 years. Chronobiol Int 2014; 31:479-486. 

  19. Mastin DF, Bryson J, Corwyn R. Assessment of sleep hygiene using the sleep hygiene index. J Behav Med 2006;11:223-227. 

  20. Mendels J, Hawkins DR. Sleep laboratory adaptation in normal subjects and depressed patients (‘first night effect'). Electroenceph Clin Neurophysiol 1967;22:556-558. 

  21. Morin CM, Vallieres A, Ivers H.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DBAS): validation of a brief version (DBAS-16) Sleep 2007;30:1547-1554. 

  2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a01600m01.do?modeview&articleNo131445. 2019. 

  23. Pandi-Perumal SR, Smits M, Spence W, Srinivasan V, Cardinali DP, Lowe AD, et al. Dim light melatonin onset (DLMO): a tool for the analysis of circadian phase in human sleep and chronobiological disorder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 2007; 31:1-11. 

  24. RAND corporation. https://www.rand.org/randeurope/research/projects/the-value-of-the-sleep-economy.html. 

  25. Roth T, Coulouvrat C, Hajak G, Lakoma MD, Sampson NA, Shahly V, et al. Prevalence and perceived health associated with insomnia based on DSM-IV-TR;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ion; an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criteria: results from the America Insomnia Survey. Biol Psychiatry 2011;69:592-600. 

  26. Sadeh A. The role and validity of actigraphy in sleep medicine: an update. Sleep Med Rev 2011;15:259-267. 

  27. Smith CS, Reilly C, Midkiff K.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 Appl Psychol 1989;74:728. 

  28. Sohn IS, Kim DH, Lee MY, Cho YW.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 803-812. 

  29. Suh S, Kim SH, Ryu H, Choi SJ, Joo EY. Validation of the Korean Munich Chronotype Questionnaire. Sleep Breath 2018;1-7. 

  30.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20. 

  31.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Valid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Rating Scale for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 2003;4:121-132. 

  32. Tryon WW. Issues of validity in actigraphic sleep assessment. Sleep 2004;27:158-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