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 범주와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for Developing Graduate Program Guidelines in Archival Studi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1, 2020년, pp.27 - 46  

이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기록관리교육은 대학원마다 교육과정의 편차가 커서 기록관리 교과과정의 변화에 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기록관리 교육지침서와 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였다. 지침서는 서문, 사명과 목표, 교육내용, 행정적 요소, 결론으로 구성되며,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배워야 할 교육내용의 핵심 지식범주는 ① 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② 선별, 평가, 수집, ③ 정리 및 기술, ④ 보존, ⑤ 정보서비스와 접근, ⑥ 아웃리치, 지도, 옹호, ⑦ 관리와 행정, ⑧ 사회적, 문화적 시스템, ⑨ 법적, 재정적 시스템, ⑩ 정보기술로 도출되었다. 향후 지식범주는 학계와 현장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원 교과과정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ed for changes in archiv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steadily raised because of the wide varia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the foreign archival studies guideline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f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교육지침서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기록관리 지침서 개발 시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교육 내용에 있어서 핵심 범주와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표는 선진국의 기록관리 교육지침서와 인증기준을 검토하여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 을 위한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기록관리 지침서 개발을 통해 기록관리 대학원 교육과정의 핵심 교육 요소를 규정해야하며 나아가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배출하는 교육기관에 대한 인증이나 평가가 이루어지도 록 준비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파악하고,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하 기 위해 첫째, 기록관리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침서의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외국의 지침서와 인증기준을 비교하였다. 기록관리 선진국은 기록관리 교육의 최소 기준이면서 내외부에 아키비스트가 전문가임을 인증해주는 도구로 지침서나 인 증기준을 통해 기록관리 프로그램의 최소기준을 설정하여 교육의 질을 관리하고 있었다.
  • 이 시험의 목표는 아키비스트의 전문지식 및 실무경험을 평가하고, 각 개인의 직업적 전문지식 및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AA(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이란 무엇인가? 1936년에 설립된 SAA(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는 북미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기록전문가협회로 정부, 대학, 기업, 도서관, 역사단체에 고용된 6,2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을 대표한다. SAA의 비전은 지속적인 가치 를 가진 기록을 식별, 보존, 이해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의 우수성을 달성하고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아키비스트를 지원하는 것이다.
아키비스트 인증시험의 목표는 무엇인가? 이 시험의 목표는 아키비스트의 전문지식 및 실무경험을 평가하고, 각 개인의 직업적 전문지식 및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매년 1회 SAA의 연례총회 주간에 인증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시험의 범주는 아키비스트 로서 지녀야 할 전문지식 및 고도의 실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출제하고 있다.
SAA 지침서의 구성은 어떻게 되나? SAA 지침서의 구성은 1) 서문, 2) 기록관리교육: 사명과 목표, 3) 교과내용, 4) 운영, 교수진, 구조, 5) 결론과 각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아키비스트의 역할과 기록관리 대학원 프로그램의 역할을, 사명과 목표에서는 대학원 프로그램은 그들이 추구하는 교육적 관점의 미션, 목표를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ng, Eun-Bi, Oh, Hyo-Jung, Kim, Chan-Young,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Archives & Record Management on the Professionalism of Archivis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 147-17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4.147 

  2. Gang, Ju-Yeon, Kim, Tae-Young, Bae, Sung Jung, Lee, Seung Chae, & Oh, Hyo-Jung (2019).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s of Curriculum Operation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2), 25-50.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025 

  3. Kim, Soon-Hee (2009). A Study on a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 Ability for Records Manag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71-293. 

  4. Kim, Iek Han (2003).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chivist and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7, 129-148. 

  5. Kim, Jang-hwan (2019). A Study on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Record Management System. 2019 A Collection of Symposium to Celebrate the Archives Day, 17-40. 

  6. Park, Soon-Bok (2005).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for Archivists and Record Managers through Foreign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7. Yu, Hye-Jung (2012).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Factors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8. Lee, Jae Young (2008). A Study on Curriculum for Training the Archivist and Records Ma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Dept.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9. Lee, Jee-Yeon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Training the Archivist and Records Manager. Record Management Forum. National Archives of Korea(2009.3.27.), 40-41. 

  10. Lee, Jeong-Hyeon (2016).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Work Improvement of Professionals of Records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t. of Archive & Record Management. 

  11. Jang, Hye-Li & Choi, Jae-Hwang (2008).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123-142. 

  12. Chung, Yeon-Kyoung (2002a). A Study o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grams in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U.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4), 101-122. https://doi.org/10.4275/KSLIS.2002.36.4.101 

  13. Chung, Yeon-Kyoung (2002b). A Study on the Archival Graduate Programs in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English-Speaking Canad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4), 37-59. 

  14. Chung, Yeon-Kyoung (2003). A Study of the Guidelines for Graduate Archiv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10, 31-48. 

  15. Chung, Yeon-Kyoung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a New Direction for Archiv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1), 99-118. 

  16. Bastian, Jeannette & Yakel, Elizabeth (2005). Are We There Yet?: Professionalism and the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r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95-114. 

  17. Benoit, Edward & Force Donald C. (2019). One Size Does Not Fit All: Graduate Archiv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American Archivist, 82(1), 24-52. 

  18. Cox, Richard J. (1993). Educating the American Archivis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34(1), 3-73. 

  19. Cox, Richard J. et al. (2001). Archival Education in North Americ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chool. The Library Quarterly, 71(2), 141-194. 

  20. Cox, Richard J. (2015). Graduate Archiv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Personal Reflection About Its Past and Future. Journal of Comtemporary Archival Studies, 2(3), 1-9. 

  21. Duranti, Luciana (2000).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Graduate Archival Education: A Sneak Preview of Future Directions. The American Archivist, 63(2), 237-242. 

  22. Eastwood, Terry (2017). A Personal Reflection on the Development of Archival Education. Education for Information, 33(2), 75-88. 

  23. Ellis, Mary & Greening, Anna(2002). Archival Training in 2002: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Archives and Records, 23(2), 197-208. 

  24. Hickerson, H. Thomas (2001). Ten Challenges for the Archival Profession. The American Archivist, 64(1), 6-16. 

  25. Linn, Mott (2015). Not Waiting for Godot: The History of 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Archival Field. The American Archivist, 78(1), 96-132. 

  26. Miller, Fredric M. (2000). The SAA as Sisyphus: Education Since the 1960s. The American Archivist, 63(2), 224-236. 

  27. Tibbo, H. R. (2006). So Much to Learn, So Little Time to Learn It: North American Archival Education Programs in the Information Age and the Role for Certificate Programs. Archival Science, 6(2), 231-245. 

  28. Trace, Ciaran B. & Ovalle, Carlos J. (2012). Archival Reference and Access: Syllabi and a Snapshot of the Archival Canon. The Reference Librarian, 53(1), 76-94. 

  29. Archives and Records Association. 검색일자: 2019. 9. 9. https://www.archives.org.uk/ 

  30. Association of Canadian Archivists. 검색일자: 2019. 9. 9. https://archivists.ca/ 

  31. 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 검색일자: 2019. 9. 9. https://www.archivists.org.au/ 

  32. 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검색일자: 2019. 9. 9. https://www.certifiedarchivists.org/ 

  33.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검색일자: 2019. 9. 9. https://www2.archivists.org/ 

  34. 국가기록원 정보공개청구자료 (2020.2.5.).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현황조사 취합결과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