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 HPS
Development and Effect of Nursing Process Scenarios for Cerebral Infarction: HP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223 - 231  

장애리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오문주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HPS를 활용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전통적 강의방식과 그 효과를 비교·평가해 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27일부터 12월 26일까지 간호대학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8명, 대조군 39명으로 최종 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단계와 연구 설계단계를 거쳐 개발단계에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거쳤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후의 자신감, 이론적 지식, 임상수행기술은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뇌경색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가 개발 되었으며, 이는 3가지 간호진단을 유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결과 두 그룹 모두 임상수행기술을 제외한 사전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간 사후점수 및 사전, 사후의 차이검증에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개발된 시나리오가 실습 뿐 아니라 이론적 학습까지 통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nursing process simulation scenario for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using HPS for nursing students. The effects of this simulation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rd grade stu...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전통적 강의방식과 그 효과를 비교평가해 보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위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시나리오 및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전통적 강의방식과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나리오는 타 연구의 도구화된 체크리스트 평가와는 달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뇌경색 환자 간호과정을 표준화하여 체험해보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타 연구에서 개발된 시나리오는 시나리오 진행 개요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예상되는 간호수행 여부를 도구화된 체크리스트에 의해 평가[12]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나리오는 뇌경색환자 간호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간호진단 3가지를 먼저 설정하고, 각 간호진단에 사용된 사정자료를 시나리오의 사정단계에 포함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객관적, 주관적 사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뇌경색환자 간호 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전통적 강의방식 과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가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해당 대학의 시뮬레이션 실습센터에서 시행되었으며, 연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는 1주일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오리엔테이션 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뇌경색환자 간호과정에 대한 자신감과 이론적 지식, 임상수행기술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30분 정도의 해당 시나리오관련 사전 동영상 학습자료를 통해 자가학습 하도록 하고,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운영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위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시나리오 및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의 간호교육에서 중요시 되는 것은?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간호학생들이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1]. 또한 미래의 간호교육은 단순한 주입식 교육보다는 다양한 경험중심의 복잡한 문제상황 해결이 중요해진다[2]. 따라서 임상상황을 재연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반복적 경험을 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기반교육[3]은 이론과, 실습을 통합하는 간호교육법으로 이러한 상황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간호과정에서 시뮬레이션기반교육을 적용하려는 근거는? 따라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습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간호과정이란 간호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간호 문제상황 해결접근과정으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로 구성되어 복잡한 임상상황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간호사의 임상추론능력을 뒷받침하므로 시뮬레이션교육에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은 간호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5].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간호학생들이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1]. 또한 미래의 간호교육은 단순한 주입식 교육보다는 다양한 경험중심의 복잡한 문제상황 해결이 중요해진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 J. Kim, Y. H. Ahn, M. W. Kim, Y. O. Jeong, J. H. Lee,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flection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prof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 No.6, pp.1002-1011, 2006. 

  2. J. S. D. Michael, L. O. Irvin, "Research, technology, education & scholarship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 Influences in nursing and the health sciences",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Vol.66, pp.1-3, 2019. DOI: http://dx.doi.org/10.2152/jmi.66.3 

  3. J. Norman,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Vol.23, No.2, pp.24-28, 2012. 

  4. P. R Jeffries,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2nd ed,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12, p. 25-42. 

  5. T. L. Taraneh, B. Saatchi, "Training of NANDA-I nursing diagnoses(ND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NIC)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NOC), in psychiatric war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rsing Open, Vol.6, No.2, pp.612-619, 2019. DOI: https://doi.org/10.1002/nop2.244 

  6.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8.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7606(assessed Sep. 24, 2019) 

  7. KSN: Cerebral infarction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urologists; c2019[cited 2019 Sep 23]. Available from: http://www.sinsamo.or.kr/disease/ 

  8. Y. L. H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Yeonsei, Seoul, Korea, pp.1-127, 2005. 

  9. J. H. Kim, I. H. Park, S. Shin,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3, pp.307-319, 2013. 

  10. Y. E. Kim, H. Y. Ka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s: caring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particular", Korea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1, pp.236-248, 2013. 

  11. KABONE, simulation practice standards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2017.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70117184604.pdf.(assessed Sep 23, 2019) 

  12. H. Y. Kang, E. J. Kim, Y. J. Oh,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hyperkalemia of liver cirrhosis in emergency unit", Korea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9, pp.312-321, 2013. 

  13. C. R. Newey, R. Bell, M. Burks, P. Nattanmai, "A new strategy in neurocritical care nurse continuing stroke education: A hybrid simulation pilot study", Electronic physician. Vol.9, No.5, pp.4255-4260. 2017. DOI: https://doi:org/10.19082/4255. 

  14. T. O, Lopes, H. H. Peres, "A comparison between expositive and simulation classes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NI 11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ursing Informatics, Montreal, Canada, 2012 June 23-27. 

  15. R. Angela, L. Thomas, J. Peter, B. Jonathan, "Simulation training for hyperacute stroke unit nurs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20, No.21, pp.1352-1356, 2011. DOI: https://doi.org/10.12968/bjon.2011.20.21.1352 

  16. J. M. Lee, E. J. Ko, M. H. Lee, "The effects of team composi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erceived interaction on team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7, No.24, pp.253-273,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24.253 

  17. K. P. Beischel,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in a simulation experience: A mixed methods stud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5, No.2, pp.226-247, 2013. DOI: https://doi.org/10.1177/0193945911408444 

  18. Y. H. Kim, Y. A. Kim,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9, pp.589-598. 2016. 

  19. B. G. Bak, J. U. Lee, S. P. Hong, "Reconstructing the classificatory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propos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Vol.19, No.3, pp.699-717, 2005. 

  20. D. W. Han, C. H. Lee, J. K. Tak, "Standardization of spilberger state anxiety testing", Journal of Student Guidance. Vol.10, No.1, 1993. 

  21. H. Y. Hong,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Korea, 1995. 

  22. A. R. Jang, M. O. Song, "Priority of High-Fidelity Simulation Topic for Adult Nursing Care Using Delphi Method". Asia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in press. Vol.13, No.1, pp.36-43, 2020. 

  23. V. Elfrink, J. Nininger, L. Rohig, J. Lee, "The case for group planning in human patient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0, No.2, pp.83-86, 2009. 

  24. P. R. Jeffries, B. Rogers, K. Adamson,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brief narrative descrip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6, No.5, pp.292-293, 2015. 

  25. S. B. Ko, "General management of acute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25., No.4, pp.334-339, 2009. 

  26. T. H. Herdman, S. Kamitsuru,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2015-2017 (10Eds), Oxford Wiley Blackwell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iaud.ac.ir/dorsapax/userfiles/file/Daneshkadeh/Parastari_mamaei/Nursing%20Diagnoses%202015-2017%20-%20Definitions%20and%20Classification,%2010th%20Edition%20(Nanda%20Internation.pdf (assessed Sep. 23, 2019) 

  27. KABONE. 3-cycl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Document[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6 [cited 2018 Apr 2],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view.php?&bbs_idkab01&page&doc_num65 

  28. J. J. Rethans, S. Gorter, L. Bokken, L. Morrison, "Unannounced standardised patients in real practic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dical Education. Vol.41, No.6, pp.537-549, 2007. 

  29. K. L. Becker, L. E. Rose, J. B. Berg, H. J. Park J. H. Shatzer,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5, No.4, 2009. 

  30. Y. K. HA, C. K. Ko, "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9, No.2, pp.119-126, 2012. DOI: https://doi.org/10.1111/j.1365-2929.2006.02689.x 

  31. D. L. Rodgers, S. Jr. Securro, R. D. Pauley,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on educational outcomes in a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course" Simulation in Healthcare. Vol.4, No.4, pp.200-206, 2009. DOI: http://dx.doi.org/10.1097/SIH.0b013e3181b1b877 

  32. M. J. Chae, S. H. Choi, "Effectiveness of student learning with a simulation program focusing on cardiac arrest i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4, pp.447-458, 2016. 

  33. J. J. Yang,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8, No.1, pp.14-24, 2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