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기술 도입의향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 '콩 노린재 포획트랩'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doption -Focusing on the Pilot Project on 'Bean Stinkbug Tra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448 - 456  

윤진우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  채용우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기술의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농가가 신기술을 수용하고자 하는 도입의향의 제고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영향 요인에 대한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보급하기 위하여 시행된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농가 99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육지원, 기술지원, 자금지원,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 반감으로 7개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19개의 관측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신기술 도입의향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순서형 로짓 분석에서는 신기술 도입의향에 유의한 변수의 Odds Ratio 크기는 교육지원(6.938), 관찰가능성(2.716), 반감(0.50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한계효과의 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그렇다'의 한계효과는 교육지원(20.2%), 관찰가능성(10.4%), 반감(-7.2%)순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신기술의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첫째, 효과적인 교육으로 양질의 지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관찰이 가능하도록 신기술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농가의 반감요인을 줄이기 위하여 농가와의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농업기관의 신뢰를 제고가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und that it is critical to consider farmers' intention to adopt new technology in order to facilitate the spread of new technology.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following: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of adoption and marginal effects on those factors. Th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신기술 도입에 대한 경영상 위험성, 불확실성, 반감 등의 요인이 농가의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쳐 신기술의 신속한 보급 확산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기술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해 농가의 신기술 도입의향을 증진하고자 순서형 로짓 모형을 통해 신기술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에 대한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신기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기술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농가의 신기술 도입의향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신기술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는 신기술 시범사업과 관련하여 기초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콩 재배 시 충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호르몬제를 활용하여 로켓형 포획 트랩 개발에 대한 기술인 ‘콩 노린재 포획 트랩’ 신기술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농가의 신기술 도입의향을 제고하고자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누적분포함수의 일반형식을 도입한 순서형 로짓 모형을 사용하여 순서화된 다항형 종속변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순서화된 종속변수의 다항 선택성 및 이산성은 일반적인 선형회귀식의 기본가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회귀식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 본 연구는 콩 재배 시 충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호르몬제를 활용하여 로켓형 포획 트랩 개발에 대한 기술인 ‘콩 노린재 포획 트랩’ 신기술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농가의 신기술 도입의향을 제고하고자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도입의향과 변수 간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상관관계나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선행연구와 달리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한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의 신기술 도입에 대한 연구는 어떤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인가? 박정근[2]등은 쌀 농가에 정밀농업을 도입하기 위한 기술적 가능성, 경제적 실현성 및 사회적 수용성을 연구하여 정부의 지원과 전문가 육성,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였다. 또한 신기술 도입에 대한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AM)을 이용하여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영향 정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혁신성, 기술교육, 기술지원, 자금지원, 신뢰도, 용이성, 유용성, 위험성, 기술만족, 기술수용 등의 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3-10].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각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가의 신기술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한계 효과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육지원이 한 단위 증가 할 때 신기술 도입의향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선택할 확률은 20.2%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신기술 보급 시 농번기를 피하여 교육시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높은 수준의 역량을 갖춘 담당 강사를 선정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 등의 교육지원이 매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신기술은 특성상 관행농가가도입하고 운영하기에는 부담이 되고 어렵기 때문에 신기술을 명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역량이 높은 교육 담당강사를 통하여 집중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으로 양질의 지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관찰가능성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신기술 도입의향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선택할 확률은 10.4%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농가들에게 쉽게 관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기술을 도입한 선도농가를 통하여 신기술 도입에 대한 이점과 효과성을 제시하며, 관행농가의 영농 문제 발생 시 선도농가와 개발자, 기술 전문가 등 신기술 보급처를 통하여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신기술과 관련한 정보를 팜플렛, 농민신문 등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변 농가에 신기술 도입의 효과를 홍보하고 나아가 시범사업장을 접근성이 유리한 곳에 설치하여 일반 관행농가의 필요에 따라 관찰과 견학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반감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신기술 도입의향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선택할 확률은 7.4%가 감소하였다. 신기술 도입과 농업기관에 대한 반감이 커질수록 도입을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신기술의 도입확대를 위해서는 신기술과 농업관련기관, 보급처에 대한 반감요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농가의 입장에서는 부담과 위험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하여 신기술 도입으로 인하여 소득이 향상된 농가 성공사례나 신기술에 대한 성과와 효과 등을 입증하고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 및 영농에 대한 상담, 지원 및 지도 서비스 강화뿐만 아니라 농가의 경영, 경제, 복지 등의 영역으로 확대하여 농가와의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농업기관의 신뢰를 제고가 필요가 있다.
신기술 보급은 신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농가의 의지 및 의향이 가장 중요한데 어떤 요인들이 도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러나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기술 수명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빠른 환경변화 때문에 신기술의 도입에 대한 의사결정이 복잡하여 농가 현장에 쉽게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신기술 보급은 신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농가의 의지 및 의향이 가장 중요한데 개인의 성향, 신기술에 대한 위험성, 불확실성, 반감 등이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쳐 신기술의 신속한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신기술 도입과 보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신기술의 만족도, 도입 의향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 C. Song, B. W. Yang, K. S. Hwang, H. G. Jung, "Effect on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Technology Acceptability in Swine Farm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29, No.3 pp. 492-505, September, 2002 

  2. J. K. Park, H. J Lee, H. W. Hwang, "An Analysis of Adoption Possibility for Precision Agriculture in Korean Rice Farms",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46, No.4 pp.1-23, 2005 

  3. W. S. Park, D. K. Seo, S. Y. Lee,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by Farmhouse Typ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36, No.3 pp.509-539, September, 2009 

  4. G. H. Jung, Y. C. Choe, H. D. Park, I. H. Jang,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Farmers' Adoption and Continuous Use of Innovative Technolog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2, No.3 pp. 109-137, 2010 

  5. A. R. Lee, H. S. Shin, D. G. Seo,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conomic Results of Farm Household about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Case Study: Fine Water Sprayer for Fruit Trees-",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Vol.23 No.4 pp. 1-17, 2011 

  6. D. W. Choi, I. K. Yeon, Han. W. Do, Q. L. Lin "Effect Analysis of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 Case Study Base on Automatic Switch for Heat Insulating Cov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18, No.2 pp. 39-45, 2012 DOI: http://dx.doi.org/10.7851/ksrp.2012.18.2.039 

  7. W. Kim, K. K. Lee, Y. S. Yu, D. W. Choi, "An Analysis Acceptance Factors for the Early Diffusion of Mulberry Protected Cultiv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21, No.2 pp. 29-56, June, 2014 DOI: http://dx.doi.org/10.12653/jecd.2014.21.2.0029 

  8. J. H. Park, Y. W. Chae, J. S. Park, "A Study on Farm' Acceptance Intentions of New Seed Variet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Vol.33, No.2 pp. 61-80, 2016 

  9. H. H. Choi, J. W. Yun, Y. W, Chae, J. H. Park, "Analysis of Economic and Introduction Factors of Cropping after Rice Harvest with the Cultivation of Italian Ryegras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45, No.4 pp.776-793, 2018 DOI: http://dx.doi.org/10.30805/KJAMP.2018.45.4.776 

  10. J. S. Choi, J. H. Park, J. W. Yoon, Y. W. Cha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echnology Acceptance for New Variet - Case of Forage Crop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25, No.1 pp.1-13, March, 2018 DOI: http://dx.doi.org/10.12653/JECD.2018.25.1.0001 

  11. W. Kim, H. K. Kim, Y. S Yu, J. J. N, Y. W. Chae, J. S. Choi, "Analysis on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 Using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2 pp.190-199, 2018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9.20.2.190 

  12. Gurland, J., T. Lee, and P. Dahm, "Polychotomous Quantal Response in Biological Assay," Biometrics, Vol.16, pp. 382-398, 1960 DOI: http://dx.doi.org/10.2307/2527689 

  13. B. T. Kim, N. S. Lee, "Consumer Preference, Purchasing Frequency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Abalones: An Ordered Logit Analysis" Ocean policy research, Vol.23, No.2 pp. 165-190, 2008 DOI: http://dx.doi.org/10.35372/kmiopr.2008.23.2.006 

  14. J. Y. Woo,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of Nonghyup by Ordered Logit Model in the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16, no.2 pp. 405-438, 2009 

  15. S. S. Kim, S. T. Seo, "An Analysis of Factors for the Expansion of Cooperative Shipping of Watermelon in Chungbuk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54, No.2 pp 121-139, 2013 

  16. Pindyck, R. S., and D.L. Rubinfeld, Microeconomics, Prentice Hall, 2001 

  17. MacCallum, Robert C., Michael W. Browne, and Hazuki M. Sugawara,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2 pp. 130-149, 1996 

  18. Fornell, C., &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