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일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A Study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for Developing Creativity Human Resourc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656 - 664  

최용금 (선문대학교 건강보건대학 치위생학과 및 유전체 기반 바이오 IT 융합연구소) ,  오태진 (선문대학교 건강보건대학 제약생명공학과 및 유전체 기반 바이오 IT 융합연구소) ,  이현 (선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임근옥 (선문대학교 건강보건대학 치위생학과 및 유전체 기반 바이오 IT 융합연구소) ,  홍지헌 (선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수라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원 융합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분석하여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물리치료학과, 치위생학과, 제약공학과, 컴퓨터공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 하였으며 IBM SPSS/Win statistics 23.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인 졸업 고등학교 지역이 수도권인 경우와 학과만족도가 높은 경우 창의융합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또한, 비교과프로그램인 교내/외 경진대회, 글로벌 직무역량교육/해외연수 프로그램, 캡스톤디자인 및 팀 프로젝트 기반수업을 경험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이에 창의융합역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다양한 비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보인 다양한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확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btained basic data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with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level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2019 to November 10, 2019 o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창의융합역량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한 점수로 측정하여 실제 학생 개인의 창의융합역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일반적 특성과 비교과과목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의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조절 및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차이를 보인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본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학 차원에서 다양한 비교과목의 개발 및 수행 방향을 고민하게 하고, 본 연구결과를 교수자가 교과운영계획에 반영하여 설계한다면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창의융합역량의 영향요인과 실제 개발 운영된 비교과프로그램 및 교과운영 사례를 토대로 창의융합역량 효과 크기를 분석한다면 변화하는 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창의융합역량을 함양하고, 부족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창의역량과 융합역량을 포괄하는 ’창의융합역량‘의 총체적 개념을 적용한 창의융합역량의 수준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분석하여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비교과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현재와 미래의 발전을 이끌어 갈 인재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졸업고등학교와 학과만족도는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둘째, 교내외 경진대회, 해외연수 프로그램, 캡스톤 디자인/팀프로젝트와 같은 역량기반교과목의 이수는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비교과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현재와 미래의 발전을 이끌어 갈 인재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졸업고등학교와 학과만족도는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둘째, 교내외 경진대회, 해외연수 프로그램, 캡스톤 디자인/팀프로젝트와 같은 역량기반교과목의 이수는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대학생 전체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여 적용할 때 생기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편의추출을 통해 일부 특정 대학에 연구대상자가 한정되어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대학생 전체로 연구결과를 해석해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창의융합역량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한 점수로 측정하여 실제 학생 개인의 창의융합역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일반적 특성과 비교과과목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의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조절 및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의융합역량 수준에 차이를 보인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본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학 차원에서 다양한 비교과목의 개발 및 수행 방향을 고민하게 하고, 본 연구결과를 교수자가 교과운영계획에 반영하여 설계한다면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혁신적인 흐름에 따라 고도의 성장을 이루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란, 고차원적인 사고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식이 국제 경쟁력의 기반으로 작용하여 급속도로 변화⦁발전하는 사회를 의미한다[1].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유연한 사고와 창의적 혁신을 시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상이 대두되었고[2]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Y. Park, K. H. Le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rts college students on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Global Creative Leader:Education & Learning, Vol.8, No.4, pp.103-116, 2018. DOI: http://doi.org/10.34226/gcl.2018.8.4.103 

  2. J, Y. Min, J. M. Ta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a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 Journal of Curriculum intergraion, Vol.11, No.4, pp.145-164, 2017. 

  3. J. W. Lee, S. H Moon, "Proposal about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e manpower training-foucused on foreign language department's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18, No.8, pp.1987-1994, Aug, 2014. DOI:https://doi.org/10.6109/jkiice.2014.18.8.1987 

  4. J. H. Jeong, T. W. Le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xpans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8, No.8, pp.167-174, Aug, 2013. DOI: http://dx.doi.org/10.9708/jksci.2013.18.8.167 

  5. H. J.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urse on convergence liberal art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Korea, pp.192-193, June 2014. 

  6. S. Y. Kim "Design program based on STEAM Theory and K-12 instructional design models-Stanford university K12 lab design program-",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orea institute of exhibition industry convergence, Korea, pp.119-133, June 2015. DOI: http://dx.doi.org/10.17548/ksaf.2015.06.20.119 

  7. Y. M. Kim, "The development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20, No.11, pp.2172-2180, Nov, 2016. DOI: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11.2172 

  8. J. Y. Kim, K. H. Lee, "Verification of 5C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7, July, pp.89-97, 2017.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07.46 

  9.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Seperate Book 1, Overview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No.2015-18, 2015. 

  10. Y. J. Kim, A society that embraces everyone, education that opens the future, 2019 report, Ministry of Education, Korea, pp.6. 

  11. H. J. Hong, J. K. Lee,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9, No.3, Sep, pp.163-192, 2015. 

  12. A. H. Lee, M. S. Choi,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diagnosis tool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30, No.4, pp.561-588, 2014. DOI: http://dx.doi.org/10.17232/KSET.30.4.561 

  13. J. Y.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Test for university student,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Seoul, Koera, pp.5-6, 2016. 

  14. W. D. Kim, "Proposal about developing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STEAM", STEPI Insigh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Korea pp.1-31. 

  15. M. Y. Park, "Meta Reflection on Creative Methodology for Engineer", The Korean society for thinking and communication, Vol.6, No.1, pp.7-62, 2013. DOI: http://doi.org/10.19042/kstc.2013.6.1.7 

  16. Y. M. Kim, J. S. Choi, Y. J. Lee, J. Y. Kim, Y. J, Ha,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administrators in creative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onlogy deucation, Vol.18, No.2, pp169-189, 2018. 

  17. E. J. Lim, B. K. Kim, S. Y. Kim, H. J. Lim,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extra curricular program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13, No.2, pp.287-312, April, 2019. 

  18. M. S. Jeong, "The effect of creative competency courses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22, pp.601-618, 2018.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22.601 

  19. J. C. Kang,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education for creative conver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27, No.3, pp275-305.2015. DOI: http://doi.org/10.17927/tkjems.2015.27.3.276 

  20. H. L. Park, "Composition Education for the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Based on Convergence Thinking - Focused on the Writing of Academic Essays Utilizing Literary Tex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6, No.4, pp.41-102, 2012. 

  21. Dewey J, Art as experience, Publishers Seoul: World of book, 2003, pp.1-162 

  22. K. H. Lee, O. S. Shin, D. G. Kim, J. M, Tae, "The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creative personality to promote the confluence education base on the core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asearch, Vol.13, No.2, pp.1-24, 2015. 

  23. H. J. Lee, "Issues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fo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 No.3, pp.151-17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