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대한 구조모형
Structure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Service Quality of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4, 2020년, pp.203 - 212  

이성호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adolescents need balanced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y are in the process of forming healthy lifestyles and are in an important period when they ne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 healthy life through active health management and guidance. Th...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중학생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가족지지, 건강통제,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여, 중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에 필요한 교육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가설1(H1) 가족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H2) 건강통제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H3)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H4)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H5) 건강통제행위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6(H6) 자기 효능감이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7(H7)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E(2010). A comparison on the influence of family's·peer's·teacher's support on self-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 Graduate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2. Choi BY(2014). Effect of oral health-related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lifestyle for promoting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3. Heo SY(2010).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4. Jang BS, Kim DH(2015).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J Korean Acad Commun Health Nurs, 26(3), 199-208.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3.199. 

  5. Jang TY(2016). A study on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s of the youth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stress. Graduate school of Westminster Theology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6. Jung GM(2019).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ubjective happiness :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7. Kang YH(2012).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behavior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School Commun Health Educ, 13(3), 81-100. 

  8. Kim AR(2010).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9. Kim HW, Cho SY, Kim M(2010). Effects of significance of study, pressure for study and succes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8(5), 49-60. https://doi.org/10.6115/khea.2010.48.5.049. 

  10. Kim JY(2016).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adolescents. Graduate school of Ch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1. Ko YN(2014).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J Res Educ, 27(4), 27-52. 

  12. Oh MA(2018). Effect of the family support on the establishment of ego ident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mparative study for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gender, Graduate school of Jeju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3. Yang SM(2017). Effects of a family support and participative activity experi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erceived by rural adolescent: focusing on comparison of bowlby and sullivan perspective on significant object a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chanism in adolescent stage. Korean J Commun Living Sci, 28(4), 625-640, https://doi.org/10.7856/kjcls.2017.28.4.6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