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방댐 대상지 선정 기준마련을 위한 AHP 분석기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AHP Analysis Method to Prepare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Target Site of Check Dam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446 - 453  

배현석 (사방협회 연구조사처) ,  이광연 (사방협회 연구조사처) ,  최영진 (사방협회 연구조사처) ,  이진호 (사방협회 연구조사처) ,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인자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시범 적용함으로써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을 위해 평가항목 및 평가인자를 구분한 결과 평가항목은 3개(위험성, 취약성 및 시공성), 평가인자는 총 12개(위험성 10개, 취약성 및 시공성 각 1개), 평가기준은 평가인자별 2~6개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평가항목, 평가인자 및 평가기준별 중요도를 활용하여 평가기준별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취약성 항목인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교육시설 및 민가 등이 타 항목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방댐 타당성평가 적격 판정지역의 중요도를 강원도 내 사방댐 미설치유역 24,431개소에 적용한 결과, 사방댐 배치가 가능한 산림유역은 전체 산림유역의 35.2%에 해당하는 8,601개소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we calculated the weight of factor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check dam sites and generated basic data related to the selection of the target site. As a result of the AHP classification, three evaluation items(Susceptibility, Vulnerability, a...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AHP 분석기법은 의사결정에 관한 여러 요소를 계층 구조화하고, 같은 계층에 있는 항목들에 대해서 상대적인 평가를 통해 각 항목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이를 기초로 연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복잡한 의사결정을 객관화, 단순화하게 된다(Saaty, 1988). 연구에서는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정성적인 인자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시범 적용함으로써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AHP 분석으로 산정된 중요도는 강원도 내 사방댐 설치유역 및 미설치유역과 사방댐 타당성평가 결과 적격지역 및 부적격지역에 각각 적용함으로써 현재 사방댐 설치지역의 적정성 여부와 중요도 평가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사방댐 설치 유역은 산사태 정보시스템(http://sansatai.
  • 이 연구는 최근 산림분야에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방댐 대상지 선정에 관련된 정성적 항목을 정량적인 중요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산출된 중요도를 사방댐 설치 및 미설치유역에 적용․ 비교함으로써, 향후 중장기 사방댐 시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산출된 중요도를 사방댐 설치 및 미설치유역에 적용․ 비교함으로써, 향후 중장기 사방댐 시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g, H.S., Kweon, H.K., Lee, J.W. and Kim, M.J. 2014.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disaster risk rating for forest road using AHP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3(2): 258-263. 

  2. Chae, K.J. and Kim, O.I. 2010.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strategies to forest policy. Journal of Government and Policy 2(2): 109-126. 

  3. Choi, H.S., Lee, C.W., Kim, K.H., Youn, H.J. and Kim, G.Y. 2013. Developing the humanity and social risk index for landslide disasters i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5): 203-210. 

  4. Choi, J.R., Kim, G.W., Jee, Y.K. and Park, I.C.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ecise debris-flow risk assessment index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3): 107-113. 

  5. Chung, J.S., Lee, B.D. and Lee, S.K. 2002. Development of a forestland slope interpretation module for predicting landslide haza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1(1): 34-41. 

  6. Hong, J.M. 2011. An AHP approach for the importance weight of renewable energy investment criterion in the private sector. Korea Energy Economic Review 10(1): 115-142. 

  7. Im, I.S., Lee, K.H. and Kim, D.G. 2014. Watershed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site installation Gyeongbuk debris barri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12(2): 104-116. 

  8. Jung, K.W., Park, S.J. and Lee, C.W. 2008. Development of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 case stud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7(3): 332-339. 

  9. Kang, M.J., Kim, K.D., Oh, K.S., Park, J.W. and Park, J.H. 2016.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0(5): 111-120. 

  10. Kang, W.P., Murai, H., Omura, H. and Ma, H.S. 1986. On the determination of slope stability to landslide by quantification(I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75(1): 32-37. 

  11. Korea Forest Service. 2018. Master plan for erosion control work. pp. 82. 

  12. Korea Forest Service. 2019. Sta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 448. 

  13. Kim, J.Y. 2009. A study on the policy and situation of sediment check dams: Case of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4): 131-144. 

  14. Kim, K.N. and Jang, S.J. 2014. Development of criteria for zonning of debris flow hazard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6): 177-183. 

  15. Kim, S.W., Chun, K.W., Kim, K.N., Kim, M.S., Kim, M.S., Lee, S.H. and Seo, J.I. 2013. Significance and future direction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 prone zones. Journal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 29(3): 237-248. 

  16. Lee, J.Y., Ju, H.J. and No, J.Y. 2010. Research on priority of forest values based on AHP.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0(3): 301-317. 

  17. Lee, K.Y., Kim, K.N., Jang, J.W. and Chun, K.W. 2017. On analyzing the topography of shallow Failure: On the Mt. Umy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7(3): 173-181. 

  18. Lee, S.S. 2010.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80-92. 

  19. Park, S.J., Lee, J.W., Choi, Y.H., Kim, M.J., Kweon, H.K., and Jeon, Y.J. 2010. A study on location condition for erosion Control Dam: Focus on chungcheong region and Kyeongsangbuk-do.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7(2): 223-229. 

  20. Park, J.H., Ji, B.Y., Hwang, J.S., Oh, J.H., Jung, D.H. and Cha, D.S. 2013. Study on the allocation method for forest road network using GI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3(4): 1-11. 

  21. Park, J.W., Cho, S.W., Jung, G.H., Kim, B.M., Woo, H.S., and Lee, Y.H. 2020. Development of forest thinning evaluation factor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9(3): 350-360. 

  22. Park, S.H., Jung, H.K. and Seok, H.D. 2013. Policy priority in long-term forest managemen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Korean Jounal of Forest Economics 20(1): 13-24. 

  23. Park. J.H. 2011. Rapid increase in the change of the target site of the check dam. http://www.geoje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47. 

  2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 Road design manual of mountain area. pp. 162. 

  25. Saaty, T.L. 1988. What i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thematical models for decision support, NATO ASI Series F48: 109-133. 

  26. Saaty, T.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1): 9-26 

  27. Woo, C.S., Kwon, H.J., Lee, C.W. and Kim, K.H. 2014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ap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applying in the whole country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6): 117-12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