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간척지 토양 염농도의 경시적 변동 특성: 10년 조사 결과
Annual Changes of Soil Salinit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Tide Land during Last 10 Year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9 no.4, 2020년, pp.327 - 333  

류진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연구팀) ,  오양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연구팀) ,  이수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연구팀)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영주 (전주비전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rough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283 ㎢ of new land is planned to be created and the reclaimed land of 89.7 ㎢ will be used as agricultural land. Therefore, monitoring of soil salinity is requir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land for agricultural purpose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의 효과적인 농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토양 염농도의 변화에 대한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연구에서는 새만금 간척지에서 간석지로 노출된 간척 초기부터 토양의 제염이 대부분 완료되는 시기까지 토양 염 농도의 변동 특성을 구명하고 적합한 토양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방조제 완공 2년 후인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김제시 광활면 인근 새만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 새만금 간척지의 토양화학성 변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김제시 광활면 인근 새만금 간척지를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토양 염농도의 토양 염농도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Fig. 1). 이를 위해 방조제 완공 2년 후인 2008년 6 월에 노출지 889 ha를 대상으로 기존 방조제 인근은 100 m 간격으로 해안 뱡향으로는 200 m 간격으로 총 311지점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DIA (Saemangeum Development and Investment Agency) (2014) The Master Plan for Saemangeum, pp. 1-154, SDIA, Korea. 

  2. Koo JW, Choi JK, Son JG (1998) Soil properties of reclaimed tidal lands and tidelands of western sea coa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1(2), 120-127. 

  3. Kim SC (1987) Changes of some chemical constituents in different soil depth with textures of Fluvio-marine soil under assessment of reclamation dura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 23-28. 

  4. Mun HT, Cho SR, Kim KH (1996)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reclaimed area by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4(2), 149-153. 

  5. Koo JW, Son JG, Choi JK, Lee DW, Song JD (2002)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s for desalinization in reclaimed tidel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8(3), 33-40. 

  6. Sonn YK, Hyeon KS, Seo MC, Jung KH, Hyun BK, Jung SJ, Song KC (2006) A taxonomical consideration based on changes of salinity and profile features of the texturally different two reclaimed tidal soi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9(2), 59-64. 

  7. Seo DU, Kim HT, Chang PW, Lee SH (2009) Development of prediction method of desalination on a saturated soil in Saemanguem reclaimed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2), 29-34. 

  8. Kang SS, Roh AS, Choi SC, Kim YS, Kim HJ, Choi MT, Ahan BK, Kim HW, Kim HK, Park JH, Lee YH, Yang SH, Ryu JS, Jang YS, Kim MS, Sonn YK, Lee CH, Ha SG, Lee DB, Kim YH (2012)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6), 968-972. 

  9. Kim YH, Kong MS, Lee EJ, Lee TG, Jung GB (2019)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from 2001 to 2017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8(3), 213-218. 

  10. Kim JY, Son JG, Koo JW, Choi JK (2002)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recclaimed tidal land soils by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8(1), 3-14. 

  11. Yang CH, Yoo CH, Jung JH, Kim BS, Park WK, Ryu JH, Kim TK, Kim JD, Kim SJ, Baek SH (2008)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in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1(2), 94-102. 

  12. Kim YJ, Ryu JH, Lee SH, Oh YY, Kim S, Jung J, Hong HC, Kim YD, Kim SL (2016)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alinity in Saemangeum Gyehwa newly reclaimed 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8(1), 113-117. 

  13. Son JG, Choi JK, Cho JY (2009)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proposed horticultural complexes of Saemangeum reclaimed tide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4), 67-73. 

  14. Sohn BK, Lee DJ, Park BK, Chae, KS (2007) Effects of phospho-gypsum fertilizer as reclamation material in the newly reclaimed paddy field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0(2), 145-150. 

  15. Baek SH, Lee SU, Kim DG, Heo JW, Kim SJ (2008) Influence of gypsum, popped rice hulls and zeolite on contents of cation in reclaimed tideland soils in Mangyeo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 321-327. 

  16. Choi KC, Yoon SH, Shin JS, Kim DK, Han HS, Supanjani, Lee KD (2010) Effects of soil amendment application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yields of summer forage crops in the sukmoon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9(4), 354-361. 

  17. Kim SJ, Baek SH, Lee SU, Kim DG, Na YJ (2005) Effects of gypsum, popped rice hull and zeolite on soil aggregation in reclaimed tidelan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8(5), 231-2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