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를 통한 논벼 증발산량 산정 방법 평가
Assessment of paddy ri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based on comparison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2, 2020년, pp.1131 - 1142  

김상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토목공학과) ,  조건호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토목공학과) ,  최경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공급계획 및 수리시설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논벼 수요량 추정에 있어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농업용수 공급량을 기반으로 평가해 보았다. 증발산량 산정 방법은 기존의 논벼 수요량에 적용 되어온 Modifeid-Penman (MP) 방법과 최근에 농촌진흥청에서 작물계수 개발에 적용한 Penman-Monteith (PM) 방법이 고려되었다. 호남지역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지구를 선정하여 기상특성을 분석하고, MP 방법과 PM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을 산정하여 현장의 용수 공급량과 비교분석하여 증발산량의 적용성을 평가해 보았다. 대상지구의 기상특성은 30년 기간 연평균 및 논벼 생육기간 평균기온은 증가하고 연평균 강우량과 논벼 생육기간 강우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상특성은 증발산량 산정과 논벼 수요량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증발산량 산정방법 적용에 의한 수요량 결과 비교분석에서 MP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이 PM 방법 보다 더 높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분석에서 MP 방법이 PM 방법 보다 더 적은 격차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현장여건이 반영된 농업용수 공급량 기반 평가에서 논벼 수요량 산정에 MP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농업용수 관리계획 및 용수공급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evapotranspiration (ET) methods applying for estimation of paddy rice water demand based on agricultural water supply. The Modified Penman (MP) method and the Penman-Monteith (PM) method recently sugges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ere considered. The 6 Korea Rur...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지단위의 논벼 수요량 산정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필요수량 구성요소가 되는 증발산량의 산정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MP 방법과 최근 제안되고 있는 PM 방법을 적용한 논벼 수요량을 산정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농업용수 공급량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농업환경에 적합한 논벼 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8%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논벼 수요량 대비 농업용수 공급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농업용수 공급량은 주수원공과 보조수원공 자료가 모두 가용한 2019년 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공급계획 및 수리시설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논벼 수요량 추정에 이용되는 증발산량 산정 방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농업용수 공급량과 기존의 MP 방법과 최근에 제안된 PM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된 논벼 수요량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PM 방법에 의한 작물계수가 개발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대상지구를 선정하여 기상특성을 분석하고, 두 증발산량 산정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과 농업용수 공급량의 비교분석을 통해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len, R.G., Perie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2. Cho, G.H., Hwan, G.H., and Choi, K.S. (2019). "Analysi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 on application of modified Penman and Penman-Monteith moethods." The Korea Sov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61 No. 6, pp. 93-101. 

  3. Cho, G.H, Moon, J.K, and Choi, K.S. (2020). "Analysis of channel water loss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a Gyeongcheon drought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62, No. 2, pp. 53-62. 

  4. Chung, S.O. (2012), "Projection of paddy rice consumptive use in the major plains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54, pp. 35-34. 

  5. Doorenbos, J., and Pruitt, W.O. (1977).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2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1995). A study on the water requirement variation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pp. 144-146. 

  7.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1997). A study on the water requirement variation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8. Lee, Y.J. (2005). An investigative study for the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in paddy land.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9. Lee, Y.J., Kim, P.S., Kim, S.J., Jee, Y.G., and Joo, U.J. (2008). "Estimation of water loss in irrigation canals through field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50, pp. 13-21. 

  10. Lee, Y.J., Kim, S.J., Kim, P.S., Jee, Y.G., and Lee, J.Y. (2006).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irrigation water considering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pp. 923-927. 

  1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8). Design criteria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plan for agriculture: Irrigation. pp. 102-111.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9). Evaluation of soil water movement and nutrient availability with weighing lysimeter. pp. 35-37. 

  13. Yoo, G.Y., Kim, J.T., and Kim, J.E. (2008). "Development of an adaptive capacity indicator to climate change in the agricultural water sector."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JEP, Vol. 7, pp. 35-55. 

  14. Yoo, S.H., Choi, J.Y., Lee, S.H., Oh, Y.G., and Park, N.Y. (2012).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addy water demand and unit duty of water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54, pp. 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