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가뭄평가 - 보령지역을 중심으로 -
Drought evaluation using unstructured data: a case study for Boryeong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2, 2020년, pp.1203 - 1210  

정진홍 (서경대학교 대학원 도시기반방재안전공학과) ,  박동혁 ((주)라온티앤씨) ,  안재현 (서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다양한 수문학적 또는 기상학적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가뭄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이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활용중인 가뭄지수들은 단일변량의 부족량을 통해 산정되며,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가뭄의 사상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단순 단일변량의 부족을 가뭄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수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타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가뭄지수에 활용 중인 기상 및 수문정보(강수량, 댐 유입량)에 각각 비정형 데이터(뉴스데이터)를 결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가뭄지수의 검증을 통해 가뭄해석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결합가뭄지수 산정을 위해 Clayton Copula 함수를 활용하였으며, 매개변수 추정은 교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가뭄지수(SPI, SDI)보다 비정형 데이터를 결합한 가뭄지수가 가뭄기간을 적절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score가 기존의 가뭄지수들보다 높게 산정되어 가뭄해석에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결합가뭄지수는 기존 단일변량 가뭄지수의 해석적 한계를 보완하고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가뭄지수의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hydrological or meteorological factor,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ssess drought event, but various drought indices have been developed to interpret them quantitatively. However, the drought indexes currently being used are calculated from the lack...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뉴스 데이터 혹은 SNS 데이터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의 장점은 가뭄이 발생하거나 피해를입으면 많은 기사들이 쏟아지고, SNS에 관련 글이 업로드 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데이터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가뭄지수에 활용 중인 기상 및 수문 정보(강수량, 댐 유입량)에 각각 비정형 데이터(뉴스 데이터)를 결합하여 기상학적 빅데이터 가뭄지수(Meteological Bigdata Drout Index, MBDI)와 수문학적 빅데이터 가뭄지수 (Hydrological Bigdata Drought Index, HBDI)를 산정하고, 산정된 가뭄지수의 검증을 통해 국내 가뭄해석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Fig.
  • 하지만 최근에는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정보를 생산하거나 지수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가뭄지수에 활용 중인 기상 및 수문정보에 비정형 데이터를 결합한 가뭄지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가뭄지수의 검증을 통해 가뭄해석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데이터와 강수량, 뉴스데이터와 댐 유입량을 각각 결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가뭄지수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e, J.Y., and Go, Y,S. (2006). "Development of soil moisture index." Water of Future, Vol. 39, No. 3, pp. 24-28. 

  2. Keyantash, J., and Dracup, J.A.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3, No. 8, pp. 1167-1180. 

  3. Kim, S.D., Ryu, J.S., Oh, K.R., and Jeong, S.M. (2012). "An application of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for determining comprehensive drought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2, No. 1, pp. 223-230. 

  4. Kwak, J.W., Lee, S.D., Kim, Y.S., and Kim, H.S. (2013). "Return period estimation of droughts using drought variables from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8, pp. 795-805. 

  5. Kwon, H.J., Park, H.J., Hong, D.O., and Kim, S.J. (2006). "A study on semi-distributed hydrologic drought assessment modifying SWS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8, pp. 645-658. 

  6. Lee, B.R., Bae, B.G., and Choi, S.H. (2015). "Drought analysis using comparison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ocial bigdata."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Vol. 6, No. 6, pp. 16-18. 

  7.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s 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U.S. 

  8.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 (2002). Three years and counting: What's new with the drought monitor, drought mitigation center faculty publication 4. NE, U.S. 

  9.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Silver Spring, MD, U.S. 

  10. Park, S.H., Kwon, J.H., and Kim, T.I. (2018). "Developing the maritime news index using news bigdata analysis." Marin Poilcy Reserch, Vol. 33, No. 1, pp.281-301. 

  11. Shiau, J.T., Feng, S., and Nadarajah, S. (2007).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s for the Yellow river, China, using copula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No. 16, pp. 2157-2163. 

  12. Sklar, K. (1959). "Fontions de reprartition an dimensionset leurs marges." Publications de l'Institut Statistique de l'Universite de Paris 8, pp. 229-231. 

  13. So, J.M., Sohn, K.H., and Bae, D.H. (2014).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ased on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2, pp. 171-182. 

  14. Yoo, C.S., and Ryoo, S.R. (2003). "Analysis of drought return and duration characteristics at seou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6, No. 4, pp. 561-573. 

  15. Yoo, J.Y., Shin, J.Y., Kim, D.H., and Kim, T.W. (2013). "Drought risk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and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4, pp. 425-4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