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빈집제도의 역할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Empty Homes Polic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387 - 394  

홍지완 (신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빈집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제도와 비교하여, 국내의 빈집제도의 개선 방향을 고찰하였다. 빈집을 억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농어촌 정비법', '건축법', '빈집 및 소규모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기반으로 하는 제도를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영국은 강제적인 빈집개량을 시작으로 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빈집 재활용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는 빈집세를 시작으로 빈집 및 유휴 부동산을 재이용하여 주택시장에 공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독일은 빈집을 자원으로 인식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미국은 민간 부동산 정보망을 활용한 감정 평가 시스템과 커뮤니티 랜드 트러스트, 랜드뱅크 등의 제도를 통한 부동산 시장의 조정을 기본으로 한다. 일본은 행정명령, 빈집뱅크를 통한 빈집관리, 지자체의 빈집상담과 진단, 수리비 지원으로 빈집을 관리하고 있다. 빈집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빈집의 현황과 주변 환경을 고려한 세분화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자체가 빈집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 할 수 있는 제도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며, 빈집의 재이용을 위한 세제 및 비용지원을 위한 제도가 되어야 한다. 빈집정보의 지자체간 공유를 위한 정보공유 시스템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빈집이 주택시장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민, 도시·건축 전문가, 민간사업자로 구성된 협의체 구축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mpty house problem" in Korea.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ystems in Korea was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empty house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orea's system is based on comprehensive regulations ce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빈집현황을 토대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의 빈집 관련 제도를 비교하여 국내 빈집제도의 구체적인 제도의 방향성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빈집현황을 토대로 빈집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제도의 특징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빈집제도의 개선 방향을 고찰하였다. 국내의 주택 보급률은 2018년 1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S. Lee, S. H. Kim,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mpty Houses by Region - Centered on 18 Local Governments in Gangwon Province -",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57, No.2, pp.37-64, Dec. 2018. DOI: https://doi.org/10.22418/JSS.2018.12.57.2.37 

  2. H. C. Shim, J. H. Kim, "A Study on the Cause of Abandoned Vacant Houses in Korea -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SH Urban Research & Insight, Vol.9, No.2 pp.49-62, Aug 2019. DOI: https://doi.org/10.26700/shuri.2019.8.9.2.49 

  3. J. H. Kim, J. Nam, "A Study on Vacant Hous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eclini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ciation, Vol.32, No.1 pp.105-122, Mar 2016. DOI: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4. D. H. Kim, D. H. Le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s in Seoul - Focused on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7, No.1 pp.941-942, Apr 2017. 

  5. H. S. Joo, H. K. Cho, J, H, Cho, "A Study on Vacant Hous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eclini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ciation, Vol.32, No.1 pp.105-122, Mar 2016. DOI: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6. B. R. Oh, "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Method of Empty Homes in Jeollabuk-do", Research Report, Jeonbuk Institute, Korea, pp.1-6. 

  7. H. W. Yoon, H. S. Le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Vacant Hous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A Case of Dong-gu, Incheon",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Vol.30 pp.59-93, Fed 2019. DOI: http://dx.doi.org/10.46331/jis.2019.02.30.59 

  8. M. N. Kang, "Policy measures for the preven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empty houses", Krihs Oklicy Brief, No.689, pp.1-8, Nov 2018. 

  9. S. W. Han, "Empty Homes is also Local Asset", Issue & Analysis, Vol.206, Korea, pp.1-24, Nov 2015. 

  10. O. S. Ha, W. S. Jo, "Research on agricultural dwelling welfare application plan according to empty house reality condition -Centered on Yeongwol-gu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8, No.3 pp.214-223, Jun 2015. DOI: http://dx.doi.org/10.17661/jkiiect.2015.8.3.214 

  11.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housing total survey results", http://kostat.go.kr, Ded 2019. 

  1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House Ownership, http://www.kostat.go.kr (accessed Dec. 29, 2019) 

  13.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Statistics Bureau, "Statistic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Census Division Housing and Land Survey Section 2", Housing Land Statistics Survey, Statistics Bureau of Japan, Japan, pp.1-14, 2019. 

  14. Social Economic & Housing Statistics Division, "Quarterly Residential Vacancies and Homeownership", United States Census Bureau, USA, pp.1-4, 2020. 

  15. Statistishe Amter, Zensus 2011, "Gebaude-und Wohnungsbestand Erste Ergebnisse der Gebaude-und Wohnungszahlung", Gebaude-und Wohnungsbestand in Deutschland, Deutschland, pp.1-40, 2011. 

  16.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Tableaux de l'econnomie francaise, Edition 2017", Insee, http://www.insee.fr (accessed Dec. 10, 2019) 

  17. Ministry of Housing Cou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Statistics at MHCLG, http://www.gov.uk (accessed Dec. 15, 2019) 

  18. Sisa in, "Warning of Empty Homes", Publisher of Sisa in, pp11-45, Oct.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