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 고찰을 통한 인체조직기증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Measures of Human Tissue Donation in Korea through Comparing with Foreign Countr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836 - 844  

현윤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수사과학대학원) ,  이난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  김동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수사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 사회는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인체조직기증에 대하여 인식도와 기증률이 낮아 기증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고찰 및 나라별 이식 등록기구 홈페이지 자료를 참조하여, 인체조직기증과 관련한 국내 법률과 운영 제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인체조직기증 활성화 방안으로 법률적 측면에서 이원화된 장기와 조직이식에 관한 법체계의 통합화, 제도 운영적 측면에서 과도한 압력이 없는 국가의 장기기증에 대한 추정적 동의 방식인 Opt-out 제도의 활성화와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대국민 홍보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추정적 동의 방식은 다양한 사회적 공론화 단계가 필요하며, 거부 의사를 위한 등록체계 운영사항에 대해 국내 실정에 맞는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외국에 비하여 낮은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 정비가 요구되며, 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 대중 홍보 및 사후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human tissue donation along with organ donation. However, the awareness of tissue donation and actual donation rates remain very low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laws and systems, and to compare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과 관련된 법률 제도 및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기증률이 높은 해외 주요 국가의 법률 및 운영 상황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인 기증 활성화를 위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국내 인체조직기증 활성화 방안을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보건복지부는 장기와 인체조직의 이원화된 구득체계를 통합하고 인체조직 이식재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공 조직은행을 설립하고자 2016년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2017년 7월 한국 공공 조직은행으로 공식 출범하였다. 출범 당시 KODA로 인체조직 구득 기능이 이관되어 구득 기능을 제외한 인체조직의 채취, 가공 및 분배, 연구개발 등을 공익적으로 수행하여 조직의 적정한 수급과 안전을 도모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시설과 청정실을 기반으로 고도로 훈련된 채취 및 가공인력과 장비가 구비된 6 개 조직은행, 즉 서울성모조직은행, 분당차조직은행, 양산부산대조직은행, 빛고을전남대조직은행, 건양대조직은행, 성남조직은행(가공전담)으로 구성되어 엄격한 품질관리 체계를 갖추어 안전하고 우수한 뼛가루(본칩)를 비롯한 100여개 항목의 조직 이식재를 의료기관에 분배하고 있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 S. Jeoung. Anatomical Donation Strategy Promotion in Korea - Focusing on Human Tissue, Organs, Corn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Studies, Seoul, Korea, pp.1-85, 2009. 

  2. T. Y. Kim. General People's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Seoul, Korea, pp.1-53, 2004. 

  3. B. S. Kim.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haring Organ and Tissue by Sociodemographic Factor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Studies, Daegu, Korea, pp.1-49, 2015. 

  4. I. H. Jung, K. U. Kim, K. H. Choi.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plan of human tissue donation in Korea, Weekly health and disease. Vol.10, No.40, pp.1087-1090, 2017. Available From: www.cdc.go.kr (accessed May 13, 2020) 

  5. H. Choi, H. S. Shin, M. K. Lee. The Necessity for and the Roles of a Domestic Tissue Bank, Weekly health and disease. Vol.12, No.39, pp. 1559-1565. 2019. Available From: www.cdc.go.kr 

  6. D. H. Lee. A proposal of opt-out system to activate donation. Korean public tissue bank Megazine Vol.8, pp.16-19, 2019. 

  7. C. Baraniuk, Why Spain has more organ donors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cited 2017 December 29], Available From: https://qz.com/1315673/spain-leads-the-world-in-organ-donation-whats-stopping-other-countries-catching-up/ (accessed May 11, 2020) 

  8. R. Matesanz, B. Dominguez-Gil, E. Coll, B. Mahillo, R. Marazuela. How Spain Reached 40 Deceased Organ Donors per Million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Vol.17, pp.1447-1454, 2017. DOI: https://doi.org/10.1111/ajt.14104 

  9. K. H. Choi, K. S. Jang. Study on promotion of organ donation in foreign countries. Weekly health and disease. Vol.11, No.39, pp.1301-1307, 2018. Available From: www.cdc.go.kr 

  10. H. S. Lee. A study on an organ donor's presumed consent in light of the bioethics law in France. Wonkwang Legal Research Institute. Vol.15, pp. 91-117, 2016. 

  11. M. S. Son. Legal regulation of the human tissues transplantation in Germany. Ewha Law Journal, Vol.19, No.3, pp. 249-272, 2015. 

  12. Y. M. Song. The recent global trends over the method of expression of will in organ donation. Wonkwang Legal Research Institute. Vol.19, pp. 67-92, 2018. DOI: https://doi.org/10.22397/bml.2018.19.67 

  13. W. H. Cho. Status of Organ Donation and Solution of Organ Shortage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Vol.32, pp.38-48, 2018. DOI: https://doi.org/10.4285/jkstn.2018.32.3.38 

  14. L. J. DeRoos, W. J. Marrero, E. B. Tapper, C. J. Sonnenday, M. S. Lavieri, et al. Estimated Association Between Organ Availability and Presumed Consent in Solid Organ Transplant. JAMA Netw Open, Vol.2, e1912431, 2019. DOI: https://doi.org/10.1001/jamanetworkopen.2019.1243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