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162 - 171  

강민정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유희정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7년 까지 포털 웹사이트에서 '유아+재난+안전교육'을 키워드로 온라인 텍스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1차와 2차 데이터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단어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키워드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재난안전교육과 함께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로는 '교육'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체험', '유치원', '예방', '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 역시 '교육', '체험', '예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방', '생활', '대피' 키워드는 빈도순위보다 연결중심성에서 높은 순위가 나타나 단어들 간의 연결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재난안전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기에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기관에서 '예방'과 '체험'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extom big dat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young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online text data using the keywords 'young children+d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교육 분야의 하나인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키워드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회적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에 유아재난교육에 대해 교사, 부모, 정책가 등이 의견과 질문을 남기는 포털 사이트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과 키워드간의 의미연결망 분석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가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해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고 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통해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원자료는 1차 및 2차 정제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빅데이터 연구가 없는 현시점에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우리 사회가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고 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유아들은 재난 발생 시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성인에 비해 매우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피해 및 상해는 가히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엔개발계획에서는 재난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재난(disaster)이란 불길한 모습을 상징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하늘로부터 비롯된 인간의 통제가 불가능한 해로운 영향"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1]. 우리나라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 제1호에 제시된 재난은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호우 홍수 대설 가뭄 등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의미한다고 제시되어 있으며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 UNDP)은 재난을 사회의 기본 조직 및 정상 기능을 와해시키는 갑작스러운 사건이나 정상적인 능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재산, 사회간접시설, 생활수단의 피해를 일으키는 단일 또는 일련의 사건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빅데이터(big data)분석은 어떤 방법인가? 한편, 21세기의 인공지능시대 개막과 동시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유통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연구측면에서 빅데이터(big data)분석 기법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을 활용하는 분야가 많아지고 있다 [16]. 빅데이터(big data)분석은 사회 전반적인 인식 및 현상을 살펴보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까지 포함하고 있는 개념으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17]. 그러므로 빅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석이며 그 분석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이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재난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위해 사전교육을 통해 대처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7배 증가하는 61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 이처럼 현대사회의 자연재난과 인적재난은 증가하고 있고 재난의 발생양상도 도발적, 가변적이어서 언제, 어디서 발생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없다. 또한 예측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재난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민행동요령이나 대처훈련 등 사전교육을 통해 대처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허병이, 김성중, "교육시설 재난사고 실태 분석에 따른 재난안전 평가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1권, 제3호, pp.25-35, 2012. 

  2. 국민안전처, 재해연보, 서울: 국민안전처, 2014. 

  3. 최경철,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요인분석 : 국민안전처 출연금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 정건희, "재난 위험도 평가과정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pp.366-372, 2014. 

  5. 배천직, 재난안전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보고서, 제5호, pp.75-98, 2016. 

  6. 박소연, 구원회, 백민호, "교육기관 재난관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제13권, 제3호, pp.405-412, 2017. 

  7.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8. 심진아, 어린이집별 맞춤형 재난대비 매뉴얼 구축을 위한 재난안전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개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한명옥, 유아안전교육을 위한 상황중심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 L. Peterson and L. Mori, "Prevention of child injury: An overview of targets, method, and tactics for psychologis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3, pp.586-595, 1985. 

  11. 김경중, 최대훈, 윤준영,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 조망," 예술인문 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5권, 제4호, pp.631-648, 2015. 

  12. 성미영,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매뉴얼 개발, 서울:학지사, 2019. 

  13. 이병호, 박윤주, 이재림,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학교시설에 대한 재난안전관리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7권, 제2호, pp.11-21, 2018. 

  14. 임은옥, 자연재해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사고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5. 박은미, 영상매체를 활용한 재난안전 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World Economic Forum, 2016. 

  17. 이강훈, 제희선,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창의 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121-144, 2018. 

  18. 김동완,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경영논총, 제34권, pp.39-52, 2013. 

  19. 최현주, 최연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 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601-627, 2016. 

  20. 강승지, 이연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45-72, 2017. 

  21. 김병만,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보통합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2호, pp.17-39, 2019. 

  22. 조화순, 조은일, "빅데이터 정책과 새로운 기술 거버넌스의 모색," 국가정책연구, 제29권, 제2호, pp.1-21, 2015. 

  23. 서현정 조부경,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465-484, 2016. 

  24. 최윤정, 권상희,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241-286, 2014. 

  25. 송태민,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복지정책 동향분석," 보건복지포럼, Vol.213, pp.101-113, 2014. 

  2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013. 

  27.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J. C. Johnson, Analyzing social network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3. 

  28. 김용학, 김진, 사회연결망 분석(4판), 서울: 박영사, 2016. 

  29. 김준호, 초등학교 안전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0. 강욱, 조준택, "모든 위험 접근법을 활용한 유소년 재난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제29권, 제2호, pp.93-108, 2018. 

  31. 김성제, 초등학교 저학년 참여식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2. A. S. Kendrick, R. Kaufmann, and K. P. Messenger, Healthy young children : A manual for programs, NAEYC, 1988. 

  33. 뉴시스, 유.초.중.고 학기당 안전교육 51시간 이상 의무화, 2016. 3. 13. 

  34. 고정완,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5. 김선아, 전래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6. M. E. Ast, Preschool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safety and moral ru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University, Norman, 1995. 

  37. 최선미, 아동 안전 관련법에 기초한 문제 상황활동이 유아의 안전능력에 미치는 변화과정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8. 김혁곤,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체험교육 시설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9. 최상경, 문정민, "재난 대응력 향상을 위한 아동 재난안전 교육과 안전체험 교실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57권, pp.23-37, 2019. 

  40.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 동아, 2018. 

  41. N. Coppens and B. McCabe, "Promoting children's use of bicycle helmet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Vol.9, No.2, pp.51-58, 1995. 

  42. D. Glik, J. Kronenfeld, and K. Jackson, Perceived risk of childhood injury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990. 

  43. 성외옥, 소방안전교육이 영아의 소방안전지식 및 소방안전문제 해결능력과 소방대피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4. 이미경,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5. 서영임, 만2세 영아의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육과정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47. 유정민, 영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운영 실태 :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8. 이설자, 어린이집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교육 및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9. 주영미, 영아교사의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조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0. 최원희,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안전교육실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 한국산업안전공단, 어린이 안전교육의 중요성, 서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