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피뎀의 체계적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Zolpid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462 - 471  

정수철 (부산광역시약사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수면제로 사용되는 졸피뎀은 신경 억제 물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GABA 수용체에 결합한다. 실제 졸피뎀을 4주 이상 연속으로 복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의약품 사용평가(DUR)은 졸피뎀의 사용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수면제인 졸피뎀의 과다 사용을 예방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 10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검색된 총 125,197건의 문서 중 1차 및 2차 선별을 실시하여 진행하였다. 졸피뎀 과다 사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최종 254개의 문헌 사례를 선정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통해 졸피뎀의 과다 사용을 예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선별과정에서 연구의 비뚤림 효과를 최소화 하였다. 졸피뎀의 과다 사용은 심각했으며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다. 졸피뎀을 이용한 범죄도 증가하고 있었다. 졸피뎀은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과 의약품 사용평가를 통해 관리 될 수 있다고 연구되었다. 졸피뎀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과 과다 사용자 교육을 통한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억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Zolpidem, commonly used as a sleeping pill, binds to GABA receptors to increase neuro-inhibiting transporters.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take Zolpidem for more than four weeks in a row. The Drug Utilization Review, currently in effect in South Korea, can identify the use patterns of Zol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졸피뎀의 사용 빈도가 높은 환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 되었다. 졸피뎀의 사용이 4주 이상일 경우,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졸피뎀을 장기간 복용하는 환자임을 DUR을 통해 경고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불면증 환자가 보다 안전하게 약을 복용할수 있는 관리 방안을 찾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실시하였다.
  • 연구 계획및 프로토콜 작성, 문헌 검색, 문헌 선택 및 분류, 자료 추출, 문헌 평가, 자료 분석 및 결과 제시, 자료 평가 및  결론 도출 등을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실시하였 다. 본 연구는 언론 자료나 졸피뎀을 사용한 의사나 약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졸피뎀 사용의 현상황을 반영하려고 하였다. 의사나 약사들과의 기초 면담을 토대로 졸피뎀의 사용에 있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방향을 정했다.
  • 본 연구에서는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졸피뎀을 복용하는 환자 중 4주 이상 복용 시 경고를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장기 환자의 경우 수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 약물학적 치료 이외에 심리학적, 행동학적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수면 위생교육, 이완 훈련등을 통해 수면장애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연구하였다. 또한, 약물학적 치료와 비약물학적 치료를 병행할 경우 수면장애 개선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언론 자료나 졸피뎀을 사용한 의사나 약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졸피뎀 사용의 현상황을 반영하려고 하였다. 의사나 약사들과의 기초 면담을 토대로 졸피뎀의 사용에 있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방향을 정했다.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통해 졸피뎀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졸피뎀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 방안를 연구하고자 한다.
  • 의사나 약사들과의 기초 면담을 토대로 졸피뎀의 사용에 있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방향을 정했다.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통해 졸피뎀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졸피뎀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 방안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영민, 김도형, 이소라, 정지연, 신경황, 김지현, 지영구, "졸피뎀 유발 섬망의 발생률 및 위험요인," 대한내과학회지, 제84권, 제6호, pp.804-809, 2013. 

  2. 김홍익, 조성호, 홍효림, 이인희, 안기성, 강건우, "졸피뎀 중독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에 의한 급성 신손상 1예," 대한내과학회지, 제90권, 제6호, pp.550-553, 2016. 

  3. 이상진, 고석만, 최정원, 박한선, "고용량 졸피뎀 의존 및 디아제팜을 사용한 금단증상의 해독 증례," 신경정신의학, 제51권, 제3호, pp.134-138, 2012. 

  4. 김진희, 황윤하, 김병석, 김중석, "졸피뎀 사용 후 발생한 일과성 완전 기억상실," 대한신경과학회지, 제36권, 제3호, pp.226-230, 2018. 

  5. 황지혜, 이가현, 이상암, "졸피뎀 유발성 수면관련먹기 장애," 수면연구학회지, 제9권, 제1호, pp.15-18, 2012. 

  6. 한준우, 김선지, 고영진, 박병주,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보건의료기술평가, 제6권, 제1호, pp.43-49, 2018. 

  7. 박성수, "프로포폴(propofol) 등의 오남용과 효율적 관리," 한국범죄중독학회보, 제4권, 제2호, pp.75-98, 2014. 

  8. 김석주, "불면증의 약물치료," 대한의사협회지, 제52권, 제9호, pp.719-726, 2009. 

  9. 안상원, 박성수, "선진외국의 마약류 관리 및 마약피해지수(DHI)에 대한 고찰,"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7권, 제3호, pp.71-88, 2017. 

  10. 백진희, 권영희, 조윤숙, 김향숙, 권경희, "의료용 마약류의 국내외 관리지침 비교분석을 통한 마약류의약품의 합리적 관리방안 연구," 병원약사회지, 제30권, 제2호, pp.141-156, 2013. 

  11. 유수연, 조현민, 강현아, 김수경, "의료용 마약류 유통 관리에 대한 고찰과 정책적 함의: 유통자료 및 청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약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80-285, 2015. 

  12. 유명식,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의료용 마약류 관리," 대한내과학회지, 제93권, 제4호, pp.313-316, 2018. 

  13. 박경희, 이재현, "졸피뎀, 과연 안전한 불면증 치료제인가?," 대한내과학회지, 제84권, 제6호, pp.802-803, 2013. 

  14. 이영진, 구미옥,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낙상발생 시 현황, 낙상위험요인 및 낙상발생 예측요인," 임상간호연구, 제21권, 제2호, pp.252-265, 2015. 

  15. 김린, "스트레스, 수면생리, 그리고 관련 불면장애,"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8호, pp.707-716, 2010. 

  16. Enrico Sanna, Fabio Busonero, Giuseppe Talani, Mario Carta, F. Massa, M. Peis, E. Maciocco, and G. Biggio,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zaleplon, zolpidem, and triazolam at various GABAA receptor subtype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제452권, pp.103-110, 2002. 

  17. 박진실,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치료현황 및 대책에 대한 연구," 법학논문집, 제39권, 제2호, pp.201-236, 2015. 

  18. 예상균, "마약수사에서의 통제배달기법 고찰 -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위반사범 중 밀수범죄와 관련하여," 법과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pp.665-689, 2015. 

  19. Li-TaoYi, Li Zhang, An-Wei Ding, Qun Xu, Qin Zhu, and Ling-Dong Kong, "Orthogonal Array Design for Antidepressant Compatibility of Polysaccharides from Banxia-Houpu Decoction, a Traditional Chinese Herb Prescription in the Mouse Models of Depression,"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제32권, 제10호, pp.1417-1423, 2009. 

  20. 강동윤, 박소영, 이철우, 김예지, 최남경, 이중엽, 박병주, "Zolpidem Use and Risk of Fracture in Elderly Insomnia Patients," 예방의학회지, 제45권, 제4호, pp.219-226, 2012. 

  21. M. N. Bomalaski, E. S. Claflin, W. Townsend, and M. D. Peterson, "Zolpidem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AMA Neurol, 제74권, 제9호, pp.1130-1139, 2017. 

  22. S. Feng, O. T. Cummings, and G. McIntire, "Zolpidem and Zolpidem Carboxylic Acid Results from Medication Monitoring," Journal of Anal Toxicol, 제42권, 제7호, pp.491-495, 2018. 

  23. 송광섭, "우리 나라 마약류범죄의 최근 동향과 그 대처방안," 비교형사법연구, 제4권, 제1호, pp.340-352, 2002. 

  24. 김학신, "마약류 관리법상 청소년의 마약범죄 실태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 법학논총, 제36권, 제1호, pp.469-505, 2012. 

  25. 박성수, "정부의 마약공급범죄에 대한 정책방향,"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6권, 제2호, pp.1-27, 2016. 

  26. 강준혁, 맹성준, 김영호, "한국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제도 활성화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중독치료 전문가 관점을 중심으로 -," 생명연구, 제52권, 제1호, pp.129-152, 2019. 

  27. 박효주, 박병주, 신주영, 신선미, "유럽의 전향적 DUR시스템 운영 및 후향적 DUR연구 추진현황," 대한보건연구, 제39권, 제2호, pp.49-62, 2013. 

  28. 윤창겸, "Drug Utilization Review (DUR) 관련 정부정책 동향과 개선방향,"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7호, pp.544-547, 2010. 

  29. 신광식, "다처방에 의한 의약품의 병용으로 인한 중복 및 병용금기의 문제: 고양시 및 제주도 DUR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약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06-114, 2011. 

  30. 엄고혜, 이주연, 조윤희, 조윤숙, 한현주, "약사의 중재활동에 의한 약반납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병원약사회지, 제23권, 제3호, pp.1-9, 2006. 

  31. 김태희, 신윤정, 윤은형, 고종희, 안지현, 손은선, 김성은, 석현주, "원내 DUR 프로그램을 통한 신기능 변화에 따른 약사의 중재활동," 병원약사회지, 제29권, 제3호, pp.264-270, 2012. 

  32. 노일석, "미국의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과 보험," 보험법연구, 제9권, 제2호, pp.351-400, 2015. 

  33. 전하림, 박주희, 김동숙, 최병철, "의약품 사용평가(DUR) 사업의 미국 47개주 Medicaid 자료비교 및 정책적 함의 고찰,"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192-221, 2014. 

  34. 최종수, 김동수, "동시적 의약품 사용평가(cDUR) 시스템 구축 및 적용 사례 연구 : 국내 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9권, 제1호, pp.20-29, 2013. 

  35. 박성식, "의료환경과 의사의 약물 오남용: 현황 및 문제점," 대한의사협회지, 제56권, 제9호, pp.755-761, 2013. 

  36. 최남경, 박병주, "한국형 DUR의 효과적 추진전략,"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12호, pp.1130-1138, 2010. 

  37. 김한나, 김계현, 이정찬, 민혜영, "의약품 처방 규제관련 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과제: 의약품 사용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24권, 제4호, pp.69-91, 2010. 

  38. 이명현, 정우진, 조은, 김노을, 이선미, "의원 외래환자의 약품비 변화 관련요인: 처방총액 절감 인센티브 제도와 DUR 제도 시행 전후를 중심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61-578, 2012. 

  39. 박용훈, 원혜욱, 김진영, 민경철, "마약류 범죄수사에서 모발감정 결과의 증거사용과 투약시기추정,"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3호, pp.171-200, 2008. 

  40. 박영규, "약물범죄자 처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정연구, 제41권, 제1호, pp.47-83, 2008. 

  41. 정수철, "의약품 사용평가(DUR) 확대를 통한 의약품 부작용 보고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234-241,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