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시각화(Big Data Visualization) 전략에 관한 연구: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UX)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g Data Visualization Strategy Based on Social Communication:Focusing on User Experience (UX) based on Big Data Visualization Typ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142 - 151  

추진기 (경기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는 이제 초연결사회(Hyper-Connectivity)에 살고 있다. 오늘날 대중이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이유는 필요한 정보가 웹(Web) 공간을 통해서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라는 이름으로 수집되고 분류되어 정보의 생태계인 빅데이터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정보가 대중에게 꼭 필요한 정보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알기 쉽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각화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의 정보에 따른 시각화 유형을 분류하였고, 경험 평가대상으로 실제 빅데이터 시각화를 직접 활용하고 연구해야 하는 관련 전공생들과 일반인을 포함한 체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험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관리·분석·활용할 수 있는 시각화 전달방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빅데이터 시각화 전략은 SNS상의 데이터 환경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방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사용자를 위한 빅데이터 시각화가 상품서비스나 사회적 트렌드에 적용하여 활용된다면 개인의 상품 구매, 취향, 문화 등 그 역할과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적용 대상이 많아질 것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ason why today's public actively uses social communication is that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classified under the name of social big data through the web space to create the big data era, an ecosystem of information. In order for big data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public,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에 따른 경험 분석을 위해 직접 사용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설문 조사 기간은 2019 년 7월 3일부터 8월 26일까지 실시하였다.
  • 넷째, 빅데이터 시각화는 얼마나 유용하게 데이터를 표현하였는가에 대한 부분과 실제 그 시각화된 표현에서 얼마나 직관적이고 빠르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느냐에 대한 체험자의 반응이 매우 중요시된다는 점에 서 표현상 데이터 변화의 크기를 잘 확인할 수 있는 단순한 면적표현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셜 커뮤니케이션이 만드는 빅데이터 정보 시각화의 유형과 사용자에 대한 경험을 사용자 대상으로 평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서 하나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제한된 인원에 의한 경험 분석은 사용자 전체의 경험을 대변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고 사용자가 겪는 정형, 비정형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기능적 측면에서만 논의될 단점이 있다.
  • 빅데이터를 위한 시각화 전략을 연구하는 시점에 있어 현재 그 기반이 된 소셜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고찰하였고, 시대적으로 그로 인해 양산되는 정보화 기술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각화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빅데이터 시각화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정보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단계에서 사용자 경험(UX)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합한 시각화 방향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 [표 4]는 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은 현재 통용되고 활용되고 있는 시각화 유형을 사례로 선정한 것이다. 실제 설문자들에게 시각화 유형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평가내용에 따라 측정하기 위한 사례로써 현재 소셜미 디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태의 시각화 자료이다.
  • 이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빅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빅데이터의 시각화 범위를 조사하고 유형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소셜 빅데이터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였다.
  • 이를 통하여 빅데이터 시각화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정보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단계에서 사용자 경험(UX)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합한 시각화 방향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시각화 표현에 대해 평가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시각화의 목적은 무엇인가?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시각화의 목적은 도표 (Graph)라는 수단을 통해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13]라고 하였다. 빅데이터는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던 구조적 데이터에 비구조적 데이터를 더해서 활용하는 것을 뜻한다.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비정형 데이터가 90%에 달하고 있다며 하며 전문가들은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전문 데이터 분석가(Deep Analytical Expertise)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빅데이터란 기존의 관리, 분석 체계로 감당하기 어려운 막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원래 엄청난 거대 데이터 집합만을 의 미했지만, 최근 관련도구나 플랫폼(Platform), 분석 기법까지 포괄하는 용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마티야스 샤피로다 제시한 빅데이터 시각화의 3가지 핵심단계는 무엇인가? 빅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시각화 방법을 기술한 ‘정보 디자인 교과서’의 [그림 5]의 정보 시각화 방법 비교 [19]를 보면, 정보 시각화 프로세스에 대해 조직화된 데이터(Organized data), 시각적 매핑(Visual mapping), 시각적 형태(Visual form), 전달 방식 (Representation)의 4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마티야스 샤피로(Matthias Shapiro)는 질문 만들어 내기, 데이터 수집하기, 시각적 표현을 적용하기의 3단계 핵심단계를 제시했다. 이는 빅데이터 시각화처럼 어느 정도의 정해진 범주를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화를 다루는 사람에 의해서 설득적으로 좌우된다고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오인균, 이단비, "디자인 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방안,"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제13권, 제4호, p.201, 2013. 

  2. 이기복,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감각적 마케팅의 발전방안,"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 제5권, 제3호, p.129, 2012. 

  3. 최용록, 소셜 마케팅의 패러다임, 더북인, 2011. 

  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9D%B4%ED%84%B0_%EB%B6%84%EC%84%9D_%EC%A0%84%EB%AC%B8%EA%B0%80, 2019.8.3. 

  5. https://ebizstory.tistory.com/707, 2019.7.3. 

  6. http://terms.tta.or.kr/dictionary/searchList.do 

  7. 올리비에 블랜챠드(Olivier Blanchard), inmD 역, SOCIAL MEDIA(소셜미디어), 에이콘출판, p.32, 2011. 

  8. 전영준, 기업마케팅 전략으로서 소셜 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8, 2011. 

  9. 정용민, 송동현, 소셜 미디어 시대의 위기 관리, e비즈북스, p.31, 2011. 

  10. 네이선아우(Nathan Yau), 송용근 역, 비주얼라이즈디스:빅데이터의 시각화+인포그래픽 기법, 에이콘출판, p.39, 2012. 

  11. 김정숙,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 기술 고찰,"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1호, p.34, 2012. 

  12. 이태분, 김병준, "정책 PR 분야에서 소셜 빅데이터 어낼러틱스 활용 가능성," 홍보학 연구, 제19권, 제1호, p.336-384, 2015. 

  1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9D%B4%ED%84%B0_%EC%8B%9C%EA%B0%81%ED%99%94 

  14. 김현영, "김재웅, 문화예술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385, 2019. 

  15. 윤홍근, "문화산업에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10호, p.157-179, 2013. 

  16. 정용찬, 빅데이터(Big Data), 커뮤니케이션북스, p.53, 2013. 

  17. 정혜정, 오경화,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윤리 소비유형, 동기와 감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17권, 제4호, p.875, 2016. 

  18. 이지선,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방법 및 표현,"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6권, 제10호, pp.263-265, 2013. 

  19. 장성복,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공연예술의 온라인 여론 분석," 한국트렌드디자인학회, 제12권, 제2호, pp.82-83, 2017. 

  20. BenFry, VisualizingData, O'Reilly Media, p17. 2007. 

  21. 네이선아우(Nathan Yau), 송용근 역, 비주얼라이즈디스:빅데이터의시각화+인포그래픽 기법, 에이콘출판, p.87, 2012. 

  22. 피터모빌, yuna 역, 검색 2.0발견의 진화, 한빛미디어(주), p.147, 200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