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원물 웹툰에 나타난 폭력의 양태와 맥락에 대한 내용분석
A Study on Frequency, Type, and Context of Violence in School-Life Webto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245 - 258  

김윤종 (동아일보) ,  문안나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연재된 학원물 웹툰 열편의 폭력 장면에서 나타난 폭력의 빈도, 유형, 그리고 맥락을 분석했다. 내용 분석 결과 작품 1회 당 2.15건의 PAT(Perpetrator-Action-Target)이 나타났다. 폭력의 유형으로는 물리적 폭력이 전체 PAT의 73.2%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나타났다. 등장인물의 캐릭터 특성을 보면 폭력 가해자의 외모가 뛰어난 것으로 설정된 경우가 53.6%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가해자의 캐릭터가 영웅인 경우가 35.9%, 악당인 경우는 37.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친구 사이인 경우가 60.8%를 차지했다. 과도한 신체표현, 오버액션, 말풍선과 같은 표현 기법으로 폭력 장면을 희화한 한 장면이 66.7%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동기로는 개인과 집단의 이익과 신념을 위한 수단(29.4%)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 재미(20.9%)가 그 다음을 차지했다. 폭력에 대한 처벌이나 보상을 알 수 없는 경우(79.9%)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type, and context of violence in 10 school-life webtoon published on Korean portal-site, Naver.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2.15 PAT(Perpetrator-Action-Target) per 1 episode. As for the types of violence, physical violence accounted for 73.2 percent of PATs. ...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원물이란 무엇인가? 폭력은 특히 ‘학원물 웹툰’에서 중심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학원물’은 학교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애니메이션, 드라마, 소설 등을 총칭한다. 10대 학생이 주인공, 학교가 배경인 것이 특징이고, 로맨스·미스터리·액션 등 다양한 장르 형태를 보인다.
만화 산업의 성장은 어떠한 회사가 주도 했는가? KT경제경영연구소는 2020년 국내 웹툰 자체 시장만 1조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1]. 만화 산업은 네이버에서 분사한 네이버웹툰주식회사와 카카오의 자회사 포도트리(웹툰컴퍼니)가 성장을 주도했다. 네이버웹툰은 세계 기준 사용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다.
한국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연재된 학원물 웹툰 열편의 폭력 장면에서 나타난 폭력의 빈도, 유형, 그리고 맥락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한국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연재된 학원물 웹툰 열편의 폭력 장면에서 나타난 폭력의 빈도, 유형, 그리고 맥락을 분석했다. 내용 분석 결과 작품 1회 당 2.15건의 PAT(Perpetrator-Action-Target)이 나타났다. 폭력의 유형으로는 물리적 폭력이 전체 PAT의 73.2%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나타났다. 등장인물의 캐릭터 특성을 보면 폭력 가해자의 외모가 뛰어난 것으로 설정된 경우가 53.6%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가해자의 캐릭터가 영웅인 경우가 35.9%, 악당인 경우는 37.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친구 사이인 경우가 60.8%를 차지했다. 과도한 신체표현, 오버액션, 말풍선과 같은 표현 기법으로 폭력 장면을 희화한 한 장면이 66.7%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동기로는 개인과 집단의 이익과 신념을 위한 수단(29.4%)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 재미(20.9%)가 그 다음을 차지했다. 폭력에 대한 처벌이나 보상을 알 수 없는 경우(79.9%)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재필, 성승창, 홍원균,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웹툰의 미래, 서울:kt경제경영연구소, 2013. 

  2.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연구, 제10권, 제2호, pp.194-210, 2014. 

  3. 박석환, "웹툰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제4권, pp.123-158, 2009. 

  4. 김재필, 성승창, 홍원균,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웹툰의 미래, KT경제경영연구소, 2013. 

  5. 이승연, 박지훈,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스피치와커뮤니케이션, 제23호, pp.209-242, 2014. 

  6. 이종승, "TV드라마.웹툰에서 반영된 갑을관계/청년세대 문제와 법제(개)정의 관계," 씨네포럼, 제18호, pp.309-343, 2014. 

  7. 윤기헌, 정규하, 최인수, 최해솔,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8호, pp.177-194, 2015. 

  8. 김정선, 윤영민, "욕설로 대화하는 한국영화,"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5호, pp.82-104, 2011. 

  9. 민영, 이정교, 김태용, "주시청 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 폭력의 양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5호, pp.84-126, 2007. 

  10. 서영남, 김창숙, 한균태, "한국뮤직비디오의 폭력성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1권, 제1호, pp.187-221, 2009. 

  11. 하승태, 곽은경, 정기완, "국내 지상파TV 드라마에 나타난 폭력성: 폭력의 양태와 맥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2호, pp.77-104, 2009. 

  12. 한균태, 하승태, 서영남, 조의현, "지상파 텔레비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311-351, 2007. 

  13. 정유경, 조민선, "한국 학원물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55호, pp.365-394, 2019. 

  14. 전지니, "학원물과 재난물의 조우, '학원재난' 웹툰의 스토리텔링 연구," 우리문학연구, 제60집, pp.379-412, 2018. 

  15. G. Gerbner, L. Gross, M. Morgan, and N. Signorielli,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0, No.3, pp.10-29, 1980. 

  16. National Television Violence Study, National Television Violence Study, Thousands Oaks, CA: Sage, 1997a, 1997b, 1998. 

  17.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0년 지상파TV프로그램의 폭력성 분석 결과, KBI 분석리포트, 2001. 

  18.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 1971. 

  19. B.S. Greenberg, N. Edision, F. Korzenny, C. Fernandez-Cllado, and C.K. Atkin, "Antisocial and Prosocial Behaviors on Television," In B. S. Greenberg (Ed.), Life on Television: Content Analyses of U. S. TV Drama, NJ: Ablex Publishing, pp.99-128, 1980. 

  20. T, Williams, M. Zabrack, and L. Joy, "The Portrayal of Aggression on North American Televis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2, No.5, pp.360-380, 1982. 

  21. W. Potter and R. Warren, "Considering Policies to Protect Children from TV Vio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6, No.4, pp.40-57, 1996. 

  22. W. Potter and R. Warren, "Humor as Camouflage of Televised Vio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2, pp.40-57, 1998. 

  23. C. A. Anderson, L. Berkowitz, E. Donnerstein, L. R. Huesmann, J. D. Johnson, D. Linz, N. M. Malamuth, and E. Wartella,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on Youth,"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4, No.3, pp.81-110, 2003. 

  24. 김재엽, 송아영, 이지혜,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pp.150-176, 2008. 

  25. 정지혜, 한지아, 최종복,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들의 충동성, 우울 및 학교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제8권, 제4호, pp.271-280, 2013. 

  26. B. Gunter, Dimensions of Television Violence, England: Gower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85. 

  27. B. Gunter, "The Question of Media Violence," In J. Bryant(ed.),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pp.163-211, 1994. 

  28. C. Hoffner and J. Cantor,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Responses to an Television Characters Appearance and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No.6, pp.1065-1074, 1985. 

  29. D, Zillmann and J. Bryant, "Responding to Comedy : The Sense and Non-sense in Humor," J. Bryant and D. Zillmann (Eds.), Responding to the Scree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pp.261-279, 1991. 

  30. 하승태, 김창숙, 유성훈, "케이블TV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41호, pp.200-231, 2008. 

  31. 나은영, "미디어 폭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심리적효과," 한국방송학보, 통권6호, pp.41-77, 1995. 

  32. 김정기,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 특성비교," 한국언론학보, 제28권, 제3호, pp.252-290, 2005. 

  33. A. Bandura, "Influence of models reinforcement contingencies on the acquisition of imitative re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 pp.589-595, 1965. 

  34. A. Mustonen and L. Pulkkinen, "Television Violence: A Development of Coding Schem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7, pp.168-187, 1997. 

  35. Baron and Ball, "The Aggression-Inhibiting Influence of Nonhostile Humo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10, No.1, pp.23-33, 1974. 

  36. 강남준, 김지환,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의 역할," 한국방송학보, 제13권, pp.47-86, 1999. 

  37. C. Atkin, "Effects of Realistic TV Violence vs. Fictional Violence on Aggression," Journal Quarterly, Vol.60, No.4, pp.615-421, 1983. 

  38. R. G. Geen, "The Meaning of Observed Viole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9, No.4, pp.270-281, 1975. 

  39. 한국콘텐츠진흥원,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2015. 

  40. G. Gerbner, L. Gross, N. Signorielli, and M. Morgan, Television's Mean World: Violence Profile no. 14-15,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at Annenberg School of Communication, 1986. 

  41. S. L. Smith, A. I. Nathanson, and B. J. Wilson, "Prime-ime Television: Assessing Violence during the Most Popular Viewing Hour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2, No.2, pp.84-111, 2002. 

  42. D. Linz, E. Donnerstein, and S. Penrod, "The Effects of Multiple Exposure to Filmed Viol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No.3, pp.130-147, 1984. 

  43. L. Berkowitz, "Aggressive Humor as a Stimulus to Aggressive Respons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6, pp.710-717, 197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