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의 독성적(toxic)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 조직 응집력의 매개효과
A Study of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oxic Leadership : Group Cohesion Mediate Effec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285 - 303  

배상희 (국제대학교 군사학과) ,  박수경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초록

군은 기업과 같이 이익을 추구하거나 연구기관과 같이 실적과 성과가 나타날 수 있는 조직이 아니다. 그래서 연공서열 중심의 관료적 성격이 짙고 어느 조직보다 계급을 중심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집단이며 상명하복의 조직문화가 다른 조직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군조직의 임무가 국가 안보를 다루다보니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있어 폐쇄적이고 어느 조직보다 더 보수적인 성향이 짙다. 이러한 환경에서 군 조직의 역할이 사람의 생명을 담보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어느 조직의 리더보다 군 조직 리더의 역할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정된 분야에서의 리더십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긍정적인 분야, 발전적이고 건설적인 리더십 연구에만 치우쳐져 있어 이에 해당하지 않는 많은 부분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2003년 미 육군 장관(Secretary of US army) Thomas E. white의 지시로 인하여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독성적(toxic) 리더십이 군 조직과 그리고 전장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필요성을 절감하였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군조직의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질적 및 양적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부정적 리더십 중 독성적(toxic)리더십의 범위와 행동양식에 대한 문헌연구와 현재 군 조직의 독성적(toxic) 리더의 경험적 자료를 구축하고, 하급자들이 독성적(toxic) 리더와 일할 때 발생할 직업 만족도에 대한 변화 그리고 결과와 원인을 매개하는 조직응집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집단과 조직을 개인보다 우선시하는 군에서는 더욱 시급하고 중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는 것부터 군 리더의 역할과 영향에 대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ilitary is not an organization that seeks profits, such as a company, or a research institute whose results and outcomes can produ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e of the bureaucracy is stronger than any other organizations, which perform the task centered based on ranks. In addition,...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위주의적 리더십이란?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부하들로부터 의심할 여지가 없는 복종을 요구하는 절대 권위와 부하들에 대한 통제로 정의되며, 해당 개념은 독성 리더십의 하위적 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57]. 권위주의적 리더 십의 구조와 척도는 가부장적 리더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중국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해당 개념은 권위주의를 필연적으로 유독하거나 파괴적이라고 개념화하지 않았다.
리더에 의한 이탈현상이 끼치는 경제외적 손실은? 한편 리더에 의한 이탈현상(derailment)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추산하면 1985년 미국을 기준으로 1인당 약 50만 달러가 소요되고[6], 이를 2009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100만 달러 이상[7], 2019년 기준으로는 120만 달러 가까이 소요된다[8]. 더구나 이러한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 외에도 조직 내 지적·사회적 자본의 손실, 구성원의 박탈감과 같은 비경제적 손실요인에 대한 관리도 더 중요한 문제가 된다[5]. Merethe S.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 감정에 비해 잘 전염되는 이유는? 조직 내에서 부정적인 감정이 형성되고 확산되면 성과 저하 등 조직 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찾았고 따라서 조직 내 부정적인 감정의 근원지를 찾아내고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1]. 또한 Petty & Cacioppo,(1981)의 연구에 따르면 공포, 슬픔 등의 부정적 감정은 즐거움 등의 긍정적인 감정보다 인간의 생존본능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감정 표출이 더 크게 나타나고, 주위 사람들도 자신의 생존 위 협을 감지하면 부정적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됨을 제시한 바 있다[2]. 그렇기 때문에 비록 부하들의 일부만이 일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조직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그들을 부정적인 감정을 통한 리더십을 발휘한다면 이것은 앞서 말했듯이 부정적인 감정의 특성에 의해 당사자와 피 당사자 간의 문제가 아닌 조직 전체의 문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송주헌 "구성원들의 부정적 감정, 전염성 높다," MANAGEMENT TREND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press, 제195권, p.4, 2012. 

  2. Richard E. Petty and John T. Cacioppo, Attitudes and Persuasion: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Dubuque, IA: Wim. C. Brown, 1981. 

  3. 이황원, R&D조직에서의 부정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구성원의 창의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 Robinson L. Sandra and Rebecca. J. Bennett, "A typology of deviant workplace behavior :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2, pp.555-572, 1995. 

  5. S. A. Merethe, S. Anders, N. Guy, B. N. Morten, and E. Stale, "The Prevalence of Destructive leadership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Vol.21, No.2, pp.438-452, 2010. 

  6. M. L. Mochael, N. R. Marian, and D. M. Cynthia, "Explanations of success and derailment in upper level management positions," Journal of Bus iness and Psycology, Vol.2, No.3, pp.99-216, 1988. 

  7. J. Hogan, R. Hogan, and R. B. Kaiser, "Management Derail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3, pp.555-575, 2010. 

  8. https://www.aier.org/cost-of-living-calculator/ 

  9. L. Roy, "The tyranny of toxic managers : apply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deal with difficult personalities," Ivey Business Journal, Vol.68, pp.1-7, 2004. 

  10. E. B. James and E. B. Michelle, "Working place bully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Vol.13, No.1, pp.69-84, 2011. 

  11. B. S. James, E. Anthony, and G. H. Michael, "A method for measuring destructive leadership and identifying types of destructive leaders in organizations," Leadership Quaterly, Vol.22, No.4, pp.575-590, 2011. 

  12. A. Skogstad, S. Einarsen, T. Torsheim, M. S. Aasland, and H. Hetland, "The destructiveness of laissez-faire leadership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2, No.1, pp.80-92, 2007. 

  13. 이황원, 정범구, "부정적 리더십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제1호, p.32, p.42, 2012. 

  14. 황성주, 전병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장 내 일탈행동에미치는영향 : 조직지원인식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HRD연구, 제9권, 제2호, pp.1-24, 2014. 

  15. H. A. Hornstein, Brutal Bosses and their pray. New York: Riverhead Books, Hogan, R., "The dark side of leadership" Interest Group Psychologist Symposium 14-15 July, 2006. 

  16. J. T. Bennett,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No.2, pp.178-190, 2000. 

  17. S. M. Kile, Helsefarleg leierskap Health endangering leadership, Bergen, Norway: Universiteteti Bergen, 1990. 

  18. A. Blake, Petty tyranny in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47, p.47, p.755, p.779, 1994. 

  19. N. Gary and N. Ruth, The bully at work: What you can do to stop the hurt and reclaim your dignity on the job, Sourcebooks: Naperville, IL. pp.178-79, 2000. 

  20. V. Shackleton, Leaders who derail, In V. Shackleton (Ed.), pp.50-51, Business leadership, 1995. 

  21. M. M. Lombardo and M. W. J. McCall, Coping with an intolerable boss. Greensboro, North Carolina: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pp.20-22, 1984. 

  22. A. Furnham and J. Taylor, The dark side of behaviour at work, Understanding and avoiding em ployees leaving, thieving and deceiving.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p.55-60, 2004. 

  23. C. M. Brodsky, The Harassed Worker, MA. Toronto: Lexington Books, D.C. pp.180-190, 1976. 

  24. L. Jean, The allure of toxic leaders: Why we follow destructive bosses and corrupt politicians - and how we can survive them,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pp.88-90, 2005a. 

  25. L. Jean, "The allure of toxic leaders: Why followers rarely escape their clutches," Ivey business Journal, January/February, pp.1-8, 2005b. 

  26. L. Jean, "Toxic leadership: When grand illusions masquerade as noble visions," Leader to Leader, Spring 2005, pp.29-36, 2005c. 

  27. 박오수, 고동운, "차상위 리더의 리더에 대한 모욕행 위의 적하효과: 리더십을 매개하여 부하의 리더신뢰 및 LMX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8권, 제4호, pp.1027-1058, 2009. 

  28. 이경근, 조용현,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시민행동 차원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 제3호, pp.173-191, 2010. 

  29. 한주원, 박경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2호, pp.233-259, 2009. 

  30. 김선주, 비인격적 감독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 : 권력거리 성향과자기 통제능력이 조절하는 상호작용공정 성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1. G. E. Reed, "Toxic leadership" Military Review, Jul-Aug, pp.67-71, 2004. 

  32. D. F. Williams, "Toxic leadership in the U.S. Army," 2005. http://www.strategicstudiesinstitute.army.mil/pdffiles/ksil3.pdf 

  33. A. S. Andre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oxic leadership scale, M.A degree, University Maryland, College Park, 2008. 

  34. D. Dyck, "The toxic workplace," Benefits Canada, Vol.25, pp.52-57, 2001. 

  35. K. Macklem, The toxic workplace, Maclean's, Vol.118, pp.34-35, 2005. 

  36. K. Y. Wilson-Starks, 2003, www.transleadership.com 

  37. G. Alen, "High toxicity leadership: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dysfunctional organization,"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pp.733-746, 2006. 

  38. M. Katherine, "The toxic workplace," Maclean's, Vol.118, pp.34-35, 2005. 

  39. P. Kathie, "Leader toxic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oxic behavior and rhetoric," Leadership, Vol.6, No.4, pp.373-389, 2010. 

  40. G. E. Reed, "Toxic leadership," Military Review, Jul-Aug, pp.67-71, 2004. 

  41. S. Einarsen, M. S. Aasland, and A. Skogstad, Destructive leadership, 2007. 

  42. A. John, J. Bruce, and S. Nagaraj, "Contextand leadership: an examination of the nine factor full range leadership theory using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Leadership Quarterly, Vol.14, No.2 pp.61-295, 2003. 

  43. J. T. Bennett, "Abusive supervision in work organizations: Review, synthesi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33, pp.261-289, 2007. 

  44. A. Blake, "Petty Tyranny in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47, No.755, p.78, 1994. 

  45. P. J. Frost, "Handling toxic emotions: New challenges for leaders and their organization," Organizationa Dynamics, Vol.33, pp.111-127, 2004. 

  46. B. Kellerman, Bad leadership: What it is, how it happens, why it matter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4. 

  47. S. M. Kile, Helsefarleg leierskap, Health endangering leadership, Bergen, Norway: Universiteteti Bergen, 1990. 

  48. 정범구, 박상언, 김주엽, 송계충, 조직행동론, 경문사, pp.284-285, 2017. 

  49. A. B. Peter and B. B. Samuel,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 problem drinking: Taking resistance, stress and subordinate personality into account," Human Relations, Vol.59, No.6, pp.723-752, 2006. 

  50. A. M. O'Leary-Kelly, R. W. Griffin, and D. J. Glew, "Organization-motivated aggression: A research frame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1, pp.225-253, 1996. 

  51. M. F. Kets de Vries, "What's playing in the organizational theater? Collusive relationships in management," Human Relations, Vol.52, pp.745-773, 1999a. 

  52. S. A. Rosenthal and T. L. Pittinsky, "Narcissistic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7, pp.617-633, 2006. 

  53. I. D. Yalom,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s (AZ), 1995. 

  54. R. A. Baron, J. H. Neuman, and D. Geddes, "Social and personal determinants of workplace aggression: Evidence for the impact of perceived injustice and the Type A behavior pattern," Aggressive Behavior, Vol.25, No.4, pp.281-296, 1999. 

  55. J. M. Hoobler and D. J. Brass, "Abusive supervision and family undermining as displaced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 No.5, pp.1125-1133, 2006. 

  56. http://www.strategicstudiesinstitute.army.mil/pdffiles/ksil3.pdf 

  57. B. Cheng, L. Chou, T. Wu, M. Huang, and J. Farh, "Paternalistic leadership and subordinate responses: Establishing a leadership model in Chinese organizations,"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7, pp.89-117, 2004. 

  58. S. E. Hobfoll, "The influence of culture, community, and the nested self in the stress process: Advanc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0, pp.337-370, 2001. 

  59. A. S. Andrew, "An examination of toxic leadership, job outcomes and the impact of military development," Human Relations at Work, 3rd, (N. Y.: Mcgraw-Hill, 1967), p.23, 2014. 

  60. S. T. Hannah, J. Schaubroeck, B. Avolio, J. Doty, S. Kozlowski, R. Lord, and L. Trevino, ACPME Technical Report 2010-01: MNF-I Excellence in Character and Ethical Leadership (EXCEL) Study, Army Center of Excellence for the Professional Military Ethic, 2010. 

  61. M. B. Reuben and A. K. David,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1986. 

  62. 최석신, 김윤근, 한병섭, "아시아계 이주근로자의 문화적 가치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홉스테드 지수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국제 경영리뷰, 제16권, 제4호, pp.97-125, 2012. 

  63. H. Geert, "Motivat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o American theories apply abroad?," Organizational Dynamics, Vol.9, No.1, pp.42-63, 1980. 

  64. 한세희, "한국인의 문화적 가치지향성에 내재된 차별," 사회이론, 제23권, pp.241-264, 2003. 

  65. J. L. Johnson and J. B. Cullen, Trust in cross-cultural relationships, The Blackwell Handbook of Cross-Cultural Management, Blackwell Publishing, 2002. 

  66. A. D. Michael and J. G. Gary, "Exploring the nature of power distance: Implications for micro-and macro-level theories, processes, and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Vol.40, No.5, pp.1202-1229, 2014. 

  67. I. C. Botero and L. Van Dyne, "Employee voice behavior: Interactive effects of LMX and power distance in the United States and Colombia,"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23, No.1, pp.84-104, 200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