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ecovery of Gallium and Indium from Waste Light Emitting Diodes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9 no.1, 2020년, pp.81 - 88  

Chen, Wei-Sheng (Department of Resources Engineering,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  Chung, Yi-Fan (Department of Resources Engineering,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  Tien, Ko-Wei (Department of Resources Engineering,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광다이오드는 많은 양의 갈륨인듐을 함유하고 있어, 폐발광다이오드로부터 이들 원소의 회수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은 연구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발광다이오드에 포함된 질화갈륨으로부터 갈륨과 인듐을 회수하고자 시도하였다. 전체 공정은 물성분석, 알칼리배소, 침출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화학성분 분석결과 폐발광다이오드의 경우, 70.32% 갈륨, 5.31% 규소, 2.27% 알루미늄 및 2.07% 인듐이 함유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알칼리배소 공정은 탄산나트륨과 함께, 900℃하에서 3시간의 반응이 최적 조건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공정을 통해 질화갈륨이 질화산화물로 변화되었다. 마지막은 침출 단계로서, 산의 종류 및 농도, 고액비, 반응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최적조건은 반응온도 25℃ 및 2.0 M의 염산 환경에서 30 ml/g의 고액비와 반응시간 32분으로 나타났으며, 그 때의 침출 효율은 갈륨 96.88%와 인듐 96.61%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very of gallium and indium from waste light emitting diodes has been emphasized gradually owing to high content of gallium and indium. This study was established the recovery of gallium (Ga3+) and indium (In3+) from waste gallium nitride was contained in waste light-emitting diodes. The procedur...

Keyword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owever, the chemical stability of gallium nitride is stable, and the acid and alkali resistance make gallium difficult to recover5). This research aims to conquer this tough problem and to recover gallium with high purity.
  • Compared with other reports, in this study, the research would focus on finding the most suitable acid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 liquid-solid mass ratio and apposite oxidant added in the solu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focus on the most suitable leaching condition on waste light emitting diod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haloo-Horeh, N., Mousavi, S.M., 2017 : Enhanced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through optimization of organic acids produced by Aspergillusniger, Waste Manage, 60, pp.666-679. 

  2. Froz, R., Masud, M.M., Akhtar, R., Duasa, J.B., 2013 : Survey and analysis of public knowledge,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ay in Kuala Lumpur, Malaysia - a case study on household WEEE management, J. Clean. Prod., 52, pp.185-193. 

  3. US Geological Survey, 2018 :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18. 

  4. Alonso, E., Sherman, A.M., Wallington, T.J., et al., 2012 : Evaluating rare earth element availability: a case with revolutionary demand from clean technologies, Environ. Sci. Technol., 46, pp.3406-3414. 

  5. Pankove J., 1987 : Properties of Gallium Nitride, MRS Proceedings. 

  6. Cui, J., Zhu, N., Luo, D., et al., 2019 : The role of oxalic acid in the leaching system for recovering Indium from was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ACS Sustain. Chem. Eng., 7, pp.3849-3857. 

  7. Zhan, L., Xia, F., Ye, Q., et al., 2015 : Novel recycle technology for recovering rare metals (Ga, In) from waste light-emitting diodes, J. Hazard. Mater., 299, pp.388-394. 

  8. Wang, Q., Yang, L., Chen, Y., et al., 2013 : Method for Recycling Germanium, Gallium, Indium and Selenium in Waste Diodes, CN102951618 A, China. 

  9. Chen, W.T., Tsai, L.C., Tsai, F.C., et al., 2012 : Recovery of gallium and arsenic from gallium arsenide wast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Clean-Soil Air Water, 40, pp.531-537. 

  10. Swain, B., Mishra, C., Kang, L., et al., 2015 : Recycling of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waste of GaN based power device and LED industry by acidic leaching: Process optimization and kinetics study, J. Power Sources, 281, pp.265-271. 

  11. Xu, K., Deng, T., Liu, J., et al., 2007 : Study on the recovery of gallium from phosphorus flue dust by leaching with spent sulfuric acid solution and precipitation. Hydrometallurgy, 86, pp.172-177. 

  12. Li, L., Dunn, J.B., Zhang, X.X., et al., 2013 : Recovery of met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with organic acids as leaching reagent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J. Power Sources, 233, pp.180-18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