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와 공동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Couple's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6, 2020년, pp.813 - 821  

원수경 (마인드드림 심리상담 센터) ,  설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al Model (APIeM). Methods: Participants were 314 couples who met the study's eligibility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from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상 스트레스의 지속성과 축적성으로 인해 결혼 만족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주요 스트레스보다 더 강하게 나타남에도 [12-14] 불구하고 아직 일상 스트레스와 공동대처 그리고 결혼 만족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 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al Model [APIeM])으로 일상 스트레스가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공동대처가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30, 40대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 공동대처가 결혼 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일상 스트레스는 배우자에게도 영향을 주는 공동의 스트레스로 전이될 수 있고, 배우자의 현재 어려운 상황을 이해한다는 공감과 배우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긍정적 공동대처는 배우자를 위한 대처 행동임과 동시에 자신의 결혼의 질과 배우자와의 친밀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의 강도에 따라 주요함 대 사소함, 노출 기간에 따라 급성 대 만성, 그리고 발생 기원에 따라 내적 대 외적 스트레스로 나뉜다. 본 연구는 부부관계 밖에서 겪는 외적이고 만성적이며 사소한 스트레스로 정의되는 일상 스트레스[10]와 부부의 공동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일상 스트레스는 사소하고 경미하여 잘 인지되지 못하고, 제때 처리되지 못해 축적되어 개인의 신체 및 정신건강을 악화시킨다[11].
  • 본 연구는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가 공동대처를 매개로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APIeM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상 스트레스와 공동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공동대처는 긍정적 공동대처 그리고 부정적 공동대처로 나눠 각각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APIeM을 이용하여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가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공동대처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공동대처는 부부가 상대의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이기 때문에 부부를 독립적인 변인으로 볼 수가 없다. APIeMe 비독립적인 부부 자료에서 개인 내 특성과 부부의 대인 간 특성을 반영하는데, 아내와 남편의 일상 스트레스는 아내와 남편 각각 자신의 공동대처 그리고 결혼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일상 스트레스가 공동대처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자기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아내와 남편의 일상 스트레스는 자신과 상대방의 공동대처를 매개로 상대방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상대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APIeMe 비독립적인 부부 자료에서 개인 내 특성과 부부의 대인 간 특성을 반영하는데, 아내와 남편의 일상 스트레스는 아내와 남편 각각 자신의 공동대처 그리고 결혼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일상 스트레스가 공동대처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자기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아내와 남편의 일상 스트레스는 자신과 상대방의 공동대처를 매개로 상대방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상대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obles TF. Marital quality and health: Implications for marriage in the 21st centu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014;23(6):427-432. https://doi.org/10.1177/0963721414549043 

  2. Bodenmann G. Systemic-transactional conceptualization of stress and coping in couples. Swiss Journal of Psychology. 1995;54(1):34-49. 

  3.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984. p. 181-225. 

  4. Herzberg PY. Coping in relationships: The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and dyadic coping and their effec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xiety, Stress, and Coping. 2013;26(2):136-153. https://doi.org/10.1080/10615806.2012.655726 

  5. Papp LM, Witt NL. Romantic partners'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and dyadic coping: Implications for relationship function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10;24(5):551-559. https://doi.org/10.1037/a0020836 

  6. Landis M, Peter-Wight M, Martin M, Bodenmann G. Dyadic coping and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spouses in long-term marriage. GeroPsych. 2013;26(1):39-47. https://doi.org/10.1024/1662-9647/a000077 

  7. Woo H, Yoo G. Effects of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divorc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3;18(2):51-71. 

  8. Rottmann N, Hansen DG, Larsen PV, Nicolaisen A, Flyger H, Johansen C, et al. Dyadic coping within couples dealing with breast cancer: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Health Psychology. 2015;34(5):486-495. https://doi.org/10.1037/hea0000218 

  9. Falconier MK, Jackson JB, Hilpert P, Bodenmann G. Dyadic cop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5;42:28-46. https://doi.org/10.1016/j.cpr.2015.07.002 

  10. Randall AK, Bodenmann G. The role of stress on close relationships and marital satisfac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9;29(2):105-115. https://doi.org/10.1016/j.cpr.2008.10.004 

  11. Pietromonaco PR, Overall NC. Applying relationship science to evaluate how the COVID-19 pandemic may impact couples' relationships. American Psychologist. Forthcoming 2020 Jul 23. 

  12. Bodenmann G. Dyadic coping and its significance for marital functioning. In: Revenson TA, Kayser K, Bodenmann G, editors. Decade of Behavior. Couples Coping with Stress: Emerging Perspectives on Dyadic Cop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p. 33-49. 

  13. Kim SY, Seo YS. The influence of maladaptive schema and daily hassl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20(4):1243-1265. 

  14. Bodenmann G. [Stress and coping in couples]. Gottingen: Hogrefe; 2000. p. 237-250. German. 

  15. Ledermann T, Macho S, Kenny DA. Assessing mediation in dyadic data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11;18(4):595-612. https://doi.org/10.1080/10705511.2011.607099 

  16. Bentler PM, Chou CP.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987;16(1):78-117. https://doi.org/10.1177/0049124187016001004 

  17. Wang J, Wang X.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cations using Mplu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19. p. 29-88. 

  18. DeLongis A, Folkman S, Lazarus RS.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8;54(3):486-495. https://doi.org/10.1037/0022-3514.54.3.486 

  19. Kim CH. Relationship of the daily hassle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ategies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95;7(1):44-69. 

  20. Spanier G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976;38(1):15-28. https://doi.org/10.2307/350547 

  21. Cho H, Choi SM, Oh HJ, Kwon JH. Validity of the short forms of the Korean dyadic adjustment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1;23(3):655-670. 

  22. Russell DW, Kahn JH, Spoth R, Altmaier EM.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98;45(1):18-29. https://doi.org/10.1037/0022-0167.45.1.18 

  23.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1. p. 91-151. 

  24. Shrout PE,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4):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25. Jung EH, Shin SH.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health status,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n retirement preparation of middle aged couples: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2):154-166. https://doi.org/10.4040/jkan.2018.48.2.154 

  26. Jackson JB, Miller RB, Oka M, Henry RG.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14;76(1):105-129. https://doi.org/10.1111/jomf.12077 

  27. Hwang DJ, Lee JS. A study on the changing trajectory of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couples - applying growth mixture mode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19;71(1):101-121. 

  28. Lee Y. Childbirth and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The mediating effects of changes in leisure with husbands and in their housework.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9;24(4):519-538. 

  29. Choi KI. An analyzing of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with early children: Using API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9;17(5):417-423. https://doi.org/10.14400/JDC.2019.17.5.417 

  30. Stronge S, Overall NC, Sibley CG.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relationship status,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19;33(7):819-829. https://doi.org/10.1037/fam00005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