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 발효조건에 따른 isoamyl acetate 생성 비교
Effects of Isoamyl Acetate Production in Makgeolli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2, 2020년, pp.162 - 168  

송충성 (전남대학교 공학대학 생명산업공학과) ,  주현목 (농업회사법인(주)청산녹수) ,  김진만 (전남대학교 공학대학 생명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주를 대표하는 주종인 막걸리는 최근 지속적인 출고량의 감소세를 보여 막걸리의 고급화 또는 프리미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고급화를 위해서는 술의 향기가 중요한데 대부분 막걸리의 경우에 소비자들이 관능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향기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98-5KCCM11396P 효모와 isoamyl acetate의 합성을 저해하는 unsaturated fatty acid가 존재하는 일반적인 도정율의 쌀을 사용하여 발효온도와 당농도를 달리하여 대표적인 바나나 향기인 isoamyl acetate 생성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효온도 20℃에서 관능적으로 바나나향기를 가장 잘 느낄 수 있었으며 GC-MS 분석결과에는 발효온도 10℃와 당농도가 높을수록 isoamyl acetate가 다량 정량 되었다. 이에 막걸리 담금 과정에서 발효 초반 isoamyl acetate의 기질인 isoamyl alcohol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alcohol acetyltransferase의 열에 의한 안정성 및 불포화지방산에 의한 저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저온발효로 인한 생산 원가 부담을 감안하여, 발효 초반 당성분을 보충해주고 발효 온도를 20℃~25℃로 높게 유지해야한다. 이후 관능적으로 바나나 향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isoamyl acetate 이외의 향기성분을 생성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추가 담금을 해가며 단계적으로 온도를 10℃~15℃까지 낮추는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막걸리에서 바나나 향기를 생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a continual reduction in its domestic market share, the quality of the Makgeolli, a Korean traditional liquor, needs to be upgraded. Among the several options for quality improvement, sufficient organoleptic expression of flavor is very important. We analyzed production changes of isoamy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부분 보고된 연구에서는 탁주의 향기성분에 관련된 연구나[1, 3, 7, 14] 향기 생성능력이 있는 효모의 분리 동정에 관한 연구만 있을 뿐 [14-17], 이미 분리한 향기생성 능력이 우수한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조건이 특정한 향기성분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분리한 바나나향기 생성 능력이 우수한 효모를 사용하여 상업적 생산 방식을 기준으로 발효조건에 따른 isoamyl acetate 생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막걸리(탁주)는 전분질을 원료로 하여 병행복발효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전통주의 한 가지 종류로 오랜 세월 즐겨 마셔 온 술이다[1]. 현재도 주세법상으로 분류되는 모든 주종 가운데 2018년 기준 전체 출고량의 11.
전통주에는 어떤 것이 있나? 현재도 주세법상으로 분류되는 모든 주종 가운데 2018년 기준 전체 출고량의 11.7%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폭넓은 의미로 전통주로 분류될 수 있는 주류(탁주, 약주, 청주, 증류식소주, 일반증류주, 리큐르)의 출고량 중 91.5%를 차지하여 국민들에게 가장 사랑을 받는 전통주라고 할 수 있다[2].
일본 사케의 대표적인 향기 성분은? 막걸리 뿐 아니라 대부분 주류 고급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술의 향기이며, 일본 프리미엄급 사케의 경우 오래 전부터 이른바 긴죠향의 존재 여부에 따라 사케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바나나향이라고 하는 isoamyl acetate와 서양배향이라고 하는 ethyl caproate가 긴죠향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향기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7]. 국외 주류의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향기성분을 생산하는데 관여하는 단백질 합성의 유전자 정보와 발현 및 기작에 관한 연구는 이미 2000년대 초반에 확립이 되어 있으며[8-10] 최근에는 효모를 돌연변이 시켜 향기 성분을 생산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K. J. and Yu, T. 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2. Liquor Tax Report, National Tax Service of Korea [https://stats.nts.go.kr/early/major_detail.asp?year2019&catecodeA10001] 

  3. Kim, S. H., Kang, J. G. and Jung, B. W. 2016. A Study on Makgeolli characteristics which is consumers prefer by types of premium Makgeolli. KJAMP 43, 511-538. 

  4. Kim, H. R., Jo, S. J., Lee, S. J. and Ahn, B. 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5. Kazuoka, T. 2015. Isolation of sake brewing yeast and its practical use. J. Brew. Soc. Japan 110, 298-305. 

  6. Liquor Tax Report, National Tax Service of Japan [https://www.nta.go.jp/taxes/sake/shiori-gaikyo/seizojokyo/07.htm] 

  7. Yoshizawa, K. 1999. Sake: Production and flavor. Food Rev. Int. 15, 83-107. 

  8. Fujii, T., Yoshimoto, H. and Tamai, Y. 1996. Acetate ester produc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lacking the ATF1 gene encoding the alcohol acetyltransferase. J. Ferment. Bioeng. 81, 538-542. 

  9. Fukuda, K., Kuwahata, O., Kiyokawa, Y., Yanagiuchi, T., Wakai, Y., Kitamoto, K., Inoue, Y. and Kimura, A. 1996. Molecular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isoamyl acetate-hydrolyzing esterase gene (EST2)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J. Ferment. Bioeng. 82, 8-15. 

  10. Fukuda, K., Yamamoto, N., Kiyokawa, Y., Yanagiuchi, T., Wakai, Y., Kitamoto, K., Inoue, Y. and Kimura, A. 1998. Brewing properties of sake yeast whose EST2 gene encoding isoamyl acetate-hydrolyzing esterase was disrupted. J. Ferment. Bioeng. 85, 101-106. 

  11. Hirooka, K., Yamamoto, Y., Tsutsui, N. and Tanaka, T. 2005. Improved production of isoamyl acetate by a sake yeast mutant resistant to an isoprenoid analog and its dependence on alcohol acetyltransferase activity, but not on isoamyl alcohol production. J. Biosci. Bioeng. 99, 125-129. 

  12. Takahashi, T., Ohara, Y., Sawatari, M. and Sueno, K. 201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ke yeast mutants with enhanced isoamyl acetate productivity. J. Biosci. Bioeng. 123, 71-77. 

  13. Lee, J. S., Lee, T. S., Park, S. O. and Noh, B. 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4. Kim, H. R., Baek, S. H., Seo, M. J. and Ahn, B. H. 2006. Feasibility of Cheonghju brewing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from Nuruks. Kor. J. Microbiol. 34, 244-249. 

  15. Kim, H. R., Kwon, Y. H., Jo, S. J., Kim, J. H. and Ahn, B. H. 2009. Characterization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of Nuruks. Kor. J. Food Sci. Technol. 41, 296-301. 

  16. Baek, S. Y., Lee, Y. J., Kim, J. H. and Yeo, S. H.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or improving liquor flavor and quality. MBL 43, 56-64. 

  17. Shin, K. R., Kim, B. C., Yang, J. Y. and Kim, Y. D. 1999.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 1.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28, 794-800. 

  18. Lee, D. H., Kim, J. H. and Lee, J. 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J. Kor. Soc. Food Sci. Nutr. 22, 606-611. 

  19. Choi, J. H. 2004. Etude des mots du vin de la langue francaise au point de vue semiotico-culturel. REVUE D'ETUDES FRANCO-COREENNES 28, 435-456. 

  20. Kang, J. E., Jeong, S. T., Kim, C. W., Baek, S. Y. and Yeo, S. H. 2017. Soju brewing characteristics of yeast strains N4 and N9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Kor. J. Food Preserv. 24, 714-724. 

  21. Fujii, T., Kobayashi, O., Yoshimoto, H., Furukawa, S. and Tamai, Y. 1997. Effect of aeration and unsaturated fatty acids on expression of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alcohol acetyltransferase gene. Appl. Environ. Microbiol. 63, 910-915. 

  22. Verstrepen, K. J., Derdelinckx, G., Dufour, J. P., Winderickx, J., Pretorius, I. S., Thevelein, J. M. and Delvaux, F. R. 2003.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alcohol acetyl transferase gene ATF1 is a target of the cAMP/PKA and FGM nutrient-signalling pathways. FEMS Yeast Res. 4, 285-296. 

  23. Saerens, S. M., Delvaux, F. R., Verstrepen, K. J. and Thevelein, J. M. 2010. Production and biological function of volatile ester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b. Biotechnol. 3, 165-177. 

  24. Matsuura, K., Hirotsune, M., Hamachi, M. and Nunokawa, Y. 1992. Thermal control strategy for isoamylacetate formation in sake brewed with a saccharified rice solution. J. Ferment. Bioeng. 74, 112-116. 

  25. Kuriyama, K., Ashida, S., Saito, Y., Suginami, K. and Imayasu, S. 1986. Alcohol acetyltransferase of sake yeast. : The enzymatic studies of sake brewing (IV). Hakkokogaku Kaishi 64, 169-173. 

  26. Plata, C., Mauricio, J. C., Millan, C. and Ortega, J. M. 2005. Influence of glucose and oxygen on the production of ethyl acetate and isoamyl acetate by a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1, 115-1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