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비율과 온도에 따른 현미막걸리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brew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mixing ratios of Nuruk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1, 2020년, pp.94 - 102  

김진경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조승화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김은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함승희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도연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친환경 현미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에서 보유 중인 알코올 내성이 강하며, 풍미가 좋은 효모를 이용하여 온도조건 및 누룩비율별 품질특성을 진행 후, 막걸리 품질향상 및 제조 표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막걸리 제조는 모두 현미 무게 대비 적용비율이며, 증자 후 방랭한 현미에 물 150% (v/w)로 첨가한 다음 누룩 비율 5, 10, 15%를 첨가하고, S. cerevisiae SRCM102596 (8.0±0.10 log10 CFU/mL)를 모든 시료에 10% (v/w)로 첨가하였다. 발효 온도는 20, 25℃로 5일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pH, 총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pH 범위는 낮아졌으며, 총산도는 높아졌다. 알코올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으며 17.15%까지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소량 증가하였으며, 유리당 함량은 glucose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maltose는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lact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succinic acid, acetic acid의 순으로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24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0℃ 누룩비율 10% 시료에서 327.50±5.59 mg/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칠맛을 나타내는 glutamic acid는 누룩 5%에서 25℃로 발효된 시료에서 20.98±1.22 mg/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threonine, serine, alanine 함량은 20℃ 누룩비율 10% 시료에서 각각 5.45±0.14, 7.64±0.28, 23.16±3.15 mg/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막걸리의 차별화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막걸리 품질 표준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wn rice Makgeolli was brewed by using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SRCM102596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temperatures at 20 and 25℃ and Nuruk ratios of 5, 10, and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 and total acidity between samples. The alcohol conte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에서 보유중인 알코올 내성이 강하며, 탄산이 풍부하고 향미가 좋은 효모와 친환경 현미를 이용한 막걸리의 누룩비율 및 온도별 발효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 술인 막걸리의 맛과 품질향상 및 제조 표준화에 기여함으로써 막걸리의 고부가 창출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친환경 현미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에서 보유 중인 알코올 내성이 강하며, 풍미가 좋은 효모를 이용하여 온도조건 및 누룩비율별 품질특성을 진행 후, 막걸리 품질향상 및 제조 표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막걸리 제조는 모두 현미 무게 대비 적용비율이며, 증자 후 방랭한 현미에 물 150% (v/w)로 첨가한 다음 누룩 비율 5, 10, 15%를 첨가하고,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다른 주류와 차별화된 특성은? 우리의 전통 민속주 중의 하나인 막걸리는 예로부터 널리 음용되어 온 양조주로서 당화와 발효의 공정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주류이다(Wang 등, 2012a). 특히, 일반 주류와는 달리 당질, 비타민 B군 및 단백질이 풍부하고, 다양한 아미노산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등이 많아 영양가가 풍부하여 다른 주류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Woo 등, 2010; Jeong 등, 2006). 생 막걸리는 효모와 유산균이 살아있어 살균 막걸리보다 맛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높고 많이 음용하는 막걸리의 형태이다(Han 등, 1997; Park 등, 2011).
막걸리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술을 대표하는 막걸리는 주로 멥쌀, 찹쌀을 원료로 누룩을 이용하여 빚는 발효 곡주이다(Son 등, 2011). 막걸리는 감미, 산미, 신미, 고미, 삽미의 오미가 고루 조화되어 있으며, 특유의 구수한 맛과 탄산가스로 인한 청량감이 있는 알코올성 음료이다(Lee 등, 1996).
막걸리의 규격화된 제품 생산이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막걸리에 적합한 효모 선발이나 육종 및 생산에 관한 연구와 이를 활용한 주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막걸리의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관여 미생물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규격화된 제품 생산이 쉽지 않다. 따라서 품질의 고급화와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ois, Marsden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 1199-1200 (1958) 

  2. Budak HN, Guzel-Seydim ZB.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wine vinegars produced by two different techniques. J. Sci. Food Agr. 90: 2021-2026 (2010) 

  3. Cai Y, Luo Q, Sun M, Corke H.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2004) 

  4. Choi SR, Kim CS, Kim JY, You DH, Kim JM, Kim YS, Song EJ, Kim YG, Ahn YS, Choi DG.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in Schisandra chinensis by harvesting times. Korean J. Med. Crop Sci. 19: 414-420 (2011) 

  5.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912) 

  6. Han EH, Lee TS, Noh BS,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mash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7. Jeon MJ, Kim M, Lee DG, Hwang HJ, Kang MS, Kim BK, Lee SW, Jang H. Lee SH. Analysis of properties of Makgeollies made by isolated yeast strain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Korean Soc. Biotech Bioeng J. 27: 21-27 (2012) 

  8. Jeon MH, Lee WJ.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2011) 

  9. Jeong CH, Choi GN, Kwak JH, Kim JH, Choi SG, Shim KH, Heo HJ.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cocoa phenolics. Korean J. Food Preserv. 17, 100-106 (2010) 

  10.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2006) 

  11. Jin TY, Kim ES, Eun JB, Wang SJ, Wang MH.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2007) 

  12. Jo DH, Chung HJ, Cho HY, Lim ST. Health function and utilization products of germinated brown rice. Food. Sci. Ind. 44: 76-86 (2011) 

  13. Kim MJ, Lee SY, Kim KB, Song WR, Song EJ, Kim AR, Kim JH, Ji KW, Ahn IS, Ahn DH. Effect of chitosan of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Chitin Chitosan. 12: 198-204 (2007) 

  14. Kim OS, Park SS, Sung JM.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93-1700 (2012) 

  15. Ko MR, Choi HJ, Han DK, Yoo SS, Kim HS, Choi HS, Choi SW, Hur NY, Kim CN, Kim BY, Baik MY.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 Food. Eng. Prog. 15: 195-202 (2011) 

  16. Kwon YH, Lee AR, Kim HR, Kim JH, Ahn BH.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1: 70-76 (2013) 

  17.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2011) 

  18.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996) 

  19. Lee HS, Park CS, Choi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5-62 (2010) 

  20. Lee CH, Tae WT, Kim GM, Lee HD.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991) 

  21. Lee YJ, Yi HC, Hwang KT, Kim DH, Kim HJ, Jung CM, Choi YH.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85-1791 (2012) 

  22. Lim S, Jwa MK, Mok C, Park YS, Joo GJ.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foxtail millet Takju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33-238 (2004) 

  23.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by Mashing Types. Korea J. Food Sci. Tecnol. 2: 207-215 (2012) 

  24.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2011) 

  25. Seo GU, Choi SY, Kim TW, Ryu SG, Park JH, Lee SC. Functional Activities of Makgeolli By-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 505-511 (2013) 

  26.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2008) 

  27. Shon SK, Rho YH, Kim HJ, Bae SM. Takju brewing of uncooked rice starch using Rhizopus koj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 18: 506-510 (1990) 

  28. So MH, Lee YS, Noh WS. Change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66-232 (1999) 

  29. Son, HS, Park BD, Ko BK, and C. H. Le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3-457 (2011) 

  30. Sosulski F, Krygier K, Hogge L.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 3.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in cereal and potato flours. J. Agric. Food Chem. 30: 337-340 (1982) 

  31. Vichapong J, Sookserm M, Srijesdaruk V, Swatsitang P, Srijaranai 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 rice varieties. LWT-Food Sci. Technol. 43: 1325-1330 (2010) 

  32. Wang SJ, Lee HJ, Cho JY, Jang MY, Park KH, Moon JH. Inhibition Effect against the Rat Blood Plasma Oxidation of the Makgeolli (Takju) Korean Rice Wine. Korean J. food. preservation. 1: 116-122 (2012a) 

  33. Wang SJ, Lee HJ, Cho JY, Park KH, Moon J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4-20 (2012b) 

  34. Woo SM, Kim TY, Yeo SH, Kim SB, Kim JS, Kim MH,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4: 557-563 (2007) 

  35.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