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시설물 대상 홍수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Sewage Treatment Plan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2, 2020년, pp.110 - 118  

노재덕 ((주)엔지스) ,  한지희 ((주)엔지스) ,  이창희 (중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환경시설을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대비한 재해 예방능력을 강화하고자 정량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시설의 침수에 취약한 시설물을 분석하고 구조적, 비구조적인 평가지표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구조적 평가지표는 환경시설에 취약한 측면을 시설의 유형적인 측면에 대해 11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비구조적 평가지표는 내부인자와 외부인자로 구분하여 시설의 운영·상태 등 무형적인 측면에 대해 내부인자 8개와 외부인자 6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는 기존 환경시설물의 침수피해 대비 홍수취약성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수에 대한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evaluation indicators on environmental facilities highly vulnerable to flood damage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in order to reinforce the ability or preemptive disaster prevention. At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ilities into structural factor and no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경시설물 대상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수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절차는 아래 Fig.
  • 1과 같으며 우선 기존취약성 평가기법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환경시설물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점검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환경시설물 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시설 중 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향후에 진행될 홍수취약성 평가를 평가자 측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시설 중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안양 박달하수처리장, 부천 굴포공공하수처리장, 부천 역곡공공하수처리장, 광주 하수처리장, 곤지암하수처리장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한 주요 점검 사항은 침수피해이력, 침수피해 예방/대비/대응 관련 시설·장치 보유 및 운영 여부, 침수피해 관련 매뉴얼 및 교육·훈련 등 대처계획 여부에 대해 진행하였으며, 홍수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점검리스트 도출을 목적으로 수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시설물의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취약성 평가기법 사례 조사 및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환경시설물 현장조사를 통해 환경시설물의 점검리스트를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환경시설물의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 해당 평가지표를 실제 시설물 사례에 적용하여 평가 점수를 도출하였다.
  • 이와 달리 환경시설물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연구는 기초수준으로 타분야에 비해 연구도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홍수취약성 평가에 활용한 지표들을 분석하고, 하수처리장 등 환경시설물을 구조적, 비구조적인 점검리스트를 조사·분석 후 환경시설물 대상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한 주요 점검 사항은 침수피해이력, 침수피해 예방/대비/대응 관련 시설·장치 보유 및 운영 여부, 침수피해 관련 매뉴얼 및 교육·훈련 등 대처계획 여부에 대해 진행하였으며, 홍수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점검리스트 도출을 목적으로 수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MOIS). (2018). Disaster Annual Report 2018. Sejong-si, Republic of Korea : MOIS. 

  2. H. N. Park & J. M. Song. (2014). Empirical Study on Environmental Justic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lood Vulnerability Indicator and the Ratio of the Poor Popul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7), 169-186. DOI : 10.17208/jkpa.2014.11.49.7.169 

  3. W. S. Han, O. B. Sim, B. J. Lee & J. H. Yoo, (2012). The Proposal of Evaluation Method for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Relating to Climate Change Driven Flood. Climate Change Research, 3(1), 25-37 

  4. M. W. Son, J. Y. Sung, E. S. Chung & K. S. Jun. (2011).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3), 231-248. DOI: 10.3741/JKWRA.2011.44.3.231 

  5. H. S. Lee & J. J. Lee. (2018).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 S), 1161-1169. DOI : 10.3741/JKWRA.2018.51.S-1.1161 

  6. N. H. Hwang, H. S. Park & G. H. Chung. (2019).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10), 729-742. DOI : 10.3741/JKWRA.2019.52.10.729 

  7.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1).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Sejong-si, Republic of Korea : MOCT. 

  8.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5).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Sejong-si, Republic of Korea : MOCT. 

  9.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09). Strengthen facility standards against excess climate. Goyang-si, Republic of Korea : KICT. 

  10.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1). Assessment for urban flood risk &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plan. Sejong-si, Republic of Korea : NEMA. 

  1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System for Flood Vulnerability Index. Sejong-si, Republic of Korea : NEMA. 

  1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2). Construction of Fundamental Technology for Disaster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Sejong-si, Republic of Korea : NEMA.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1). Coastal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Sejong-si, Republic of Korea : MO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